-
충청남도 서남부에 있는 군. 서천군은 충청남도 서남부 지역에 자리하고 있으며, 서해로 통하는 해상 교통의 관문이다. 또한 기름진 옥토와 서해가 조화를 이루는 충절의 고장이기도 한다....
서천읍
-
충청남도 서천군에 속하는 법정읍. 서천읍(舒川邑)의 ‘서천(舒川)’이라는 지명은 조선 전기부터 사용되었고, 금강을 중심으로 작은 하천들이 펼쳐져서 수려한 환경을 이루고 있는 지역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지명이라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 속하는 법정리. 군청 소재지가 있다는 의미에서 군사리(郡司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사동(寺洞)의 사(寺) 자와 유곡리(楡谷里)의 곡(谷) 자를 따서 사곡리(寺谷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 속하는 법정리. 오석리(烏石里)는 검은 돌이 많이 나온다고 하여서 붙여진 지명이다. 오석리 남쪽 사곡리와 걸쳐 있는 오석산(烏石山) 역시 검은 돌이 많이 나와 붙여진 지명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담화리(淡花里)의 화(花) 자와 성북리(城北里)의 성(城) 자를 따서 화성리(花城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태산리(台山里)의 태(台) 자와 월지리(月支里)의 월(月) 자를 따서 태월리(台月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 속하는 법정리. 둔덕리(屯德里)의 ‘둔덕(屯德)’이라는 지명은 자연 마을인 둔덕리[둔더기, 둔덕]에서 유래하였는데, 지형이 둔덕 모양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또는 『1959년 충청남도 지명 조사철』에 따르면 예로부터 장군이 둔(屯)을 친 곳이라는 전설이 내려와 ‘둔덕리’라 이름이 붙여졌다고 전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후기 동산(東山) 아래 있다고 하여 동살 또는 동살미라고 불렀던 것으로부터 동산리(同山里) 이름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 속하는 법정리. 산이 셋이 있어 ‘삼산리(三山里)’라는 명칭이 붙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삼산리는 대부분 평지로 되어 있다. 이보다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삼수동(三水洞)의 삼(三) 자와 길산리(吉山里)의 산(山) 자를 따서 삼산리라 불리게 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시대까지는 마을 뒷산에 소나무 숲이 울창하였으나, 현재는 250년쯤 되는 노송(老松)이 한 그루 있어 매년 제사를 지낸다 하여 신송리(新松里)라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신송리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던 서천 신송리 곰솔이 있어서 매년 마을의 무사 안녕을 비는 정월 곰솔제를 지냈다. 자연 마을 지명 대부분이 곰솔과 관련이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화산리(花山里)의 화(花) 자와 금산리(衿山里)의 금(衿) 자를 따서 화금리(花衿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시대부터 마을 뒷산에 거북바위가 있다고 하여 거북바위 또는 구암이라 부른 데서 구암리(九岩里) 이름이 비롯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두모동(斗毛洞)의 두(斗) 자와 선왕리(先旺里)의 왕(旺) 자를 따서 두왕리(斗旺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 속하는 법정리. 남산리(南山里)는 옛 고을이 남산 아래 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장항읍
-
충청남도 서천군에 속하는 법정읍. 조선 후기 서천군 남부면 관할 지역이었던 장암진(長岩津)의 장(長) 자와 항리(項里)의 항(項) 자를 따서 장항리(長項里)라 한 데서 장항읍(長項邑) 이름이 비롯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에 속하는 법정리. 마서면 도삼리와 송내리, 성주동에 걸쳐 있는 성주봉(星住峯) 아래 있었던 마을에서 성주리(聖住里) 명칭이 비롯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에 속하는 법정리. 송림리(松林里)[장항읍]는 원래 지형이 마치 목처렁 생겼다고 하여 목리 또는 항리라고 불리었다고 한다. 1938년 주변 간척지와 함께 장항읍에 편입된 송림리는 간척 사업 이전에 유독 소나무가 무성한 섬이 있었다고 하여 송빈정(松濱町)으로 불리다가 1947년 송림동(松林洞)으로 개칭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에 속하는 법정리. 신창리(新昌里)는 매립지에 새로 생긴 마을로, 나날이 발전하고 번창한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지명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옥포(玉浦) 남쪽에 있다고 하여 옥남리(玉南里)라 이름이 붙여졌다....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에 속하는 법정리. 옥포(玉浦) 동쪽에 있다 하여 옥동리로 불리다가, 옥산리(玉山里)로 개칭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원모리(元毛里)의 원(元) 자와 수여리(水餘里)의 수(水) 자를 따서 원수리(元水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에 속하는 법정리. 길고 큰 바위가 있는 수군진영이라는 의미의 장암진(長岩鎭)에서 장암리(長岩里) 이름이 비롯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에 속하는 법정리. 1947년 창선동1가(昌善洞一街)로 불리었다가 창선1리(昌善一里)로 개칭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에 속하는 법정리. 1947년 창선동2가(昌善洞二街)라 이름이 붙여진 데서 창선2리(昌善二里) 이름이 비롯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에 속하는 법정리. 물이 좋아 장수 마을로 유명하다는 뜻에서 화천리(和泉里) 이름이 유래되었다....
기산면
-
충청남도 서천군에 속하는 법정면. ‘기산면(麒山面)’이라는 지명은 면의 북쪽에 있는 기린봉(麒麟峰)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좌리(加佐里)의 가(加) 자와 온공리(溫公里)의 공(公) 자를 따서 가공리(加公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광현리(光峴里)의 광(光) 자와 광현고개 너머 쌍암리(雙岩里)의 암(岩) 자를 따서 광암리(光岩里)라 하였다. 광암리의 옛 지명인 광현리, 즉 빛고개 마을은 고갯마루에 오르면 동쪽 태양이 뜬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 읍성 서문을 통과하여 서천으로 가려면 지금의 한산향교 앞을 지나 광현고개를 넘어야...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내동리(內東里)는 한산군 서하면의 지역으로 두문동(杜門洞)의 안쪽이 되어 붙여진 이름으로 안두문, 내두문이, 내두문동(內杜門洞) 또는 내동이라고 불렸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동의 남쪽에 있다 하여 두남리(斗南里)라 불리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시대 한산군 서하면 지역으로서 두문동 북쪽에 위치하여 두북이라 부른 데서 두북리(斗北里) 이름이 비롯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옛날 장군봉에 군사들이 진을 쳤을 때 막을 치고 파수를 보았던 곳이라 하여 막골 또는 막동이라 한 데서 막동리(幕洞里) 이름이 붙여졌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중간에 산이 있다 하여 산너멀 또는 산넘말이, 산말너머라고 불리며, 또는 정자나무가 있다 하여 산정말 또는 산정이라고도 불린 데서 산정리(山亭里) 이름이 붙여졌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산리(辛山里)는 예부터 마을 부근에 따뜻한 물이 나오는가 하면, 들은 기름지고 산이 수려하여 살기 좋은 곳에 마을이 생겼다 하여 신산이라고 불린 데서 이름이 비롯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영모리(永慕里)는 고려 시대의 성리학자 목은 이색의 영모암이 있어 영모암 또는 영모라 한 데서 따온 이름이라 추측된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원길리(院吉里)’라는 이름은 뒷산에 있는 산인 질메 혹은 길산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하여진다. 조선 시대에는 신곡역에 딸린 길산원(吉山院)이 있었던 마을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월천리(月川里)의 월(月) 자와 삼기리(三岐里)의 기(岐) 자를 따서 월기리(月岐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앞 화양산의 이름을 따서 화산리(華山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황사리(黃寺里)는 자연 마을 이름인 누른절을 한자식으로 바꾼 황사에서 유래되었다....
마산면
-
충청남도 서천군에 속하는 법정면. 지역 내 마산(馬山)의 이름을 따서 마산면(馬山面)이라 불리게 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양리(嘉陽里)는 곰말·갬말·가양이라고도 불렸는데, 고양이 바위가 근처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며, 햇빛 아래 산수가 아름다워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관촌리(冠村里)의 관(冠) 자와 대포리(大浦里)의 포(浦) 자를 따서 관포리(冠浦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군간리(軍干里)는 장군대좌형(將軍大坐形)의 명당이 있다 하여 ‘군간’이라 불렀다고 전한다. 군간 북쪽에 있는 마을을 전장촌(戰場村) 또는 전장말이라 부르는데, 백제가 망한 후 백제 부흥군이 주류성에서 진을 치고 싸우다가 왕자와 복신 좌평, 중 도침과의 권력 다툼에 분산되면서 밀려온 부흥군이 끝까지 저항한 싸움터라 전장촌, 전정말이라고 부르게...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나궁리(羅弓里)는 지형이 궁(弓)처럼 생겼다 하여 나궁이라고 부른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산(馬山)의 마(馬) 자와 마명리(馬鳴里)의 명(鳴) 자를 따서 마명리(馬鳴里)라 하였다고 한다. ‘마산’은 마을 뒤에 말처럼 생긴 산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 하며, 마산에는 말이 엎드려 있는 형상을 한 마복혈(馬伏穴)의 명당이 있다고 전한다. 목은 이색이 무학대사를 대동하고 묏자리를 찾다가 마복혈의 지형을 보고, 명당이라 하여 한산 이씨...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벽오리(碧梧里)는 문화 류씨 집성촌이며 1590년(선조 23)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한 유복흥(柳復興)[1560~1642]의 고향이다. 유복흥의 고향집에는 큰 벽오동나무가 있었는데, 친척들을 가르치며 효제충신(孝悌忠信)하며 살았다고 한다. 이에 고향집에 큰 벽오동이 있어서 ‘오정(梧亭)’이라는 정자 이름으로 호(號)를 정하고, 마을 이름도...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삼월리(三月里)는 신월리(新月里), 반월리(半月里), 설월리(雪月里)의 3개 마을이 합쳐져서 붙여진 이름이다. 신월리는 마을에 달이 뜨면 항상 새 달처럼 밝게 비쳐서 마을이 한결 돋보인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현재 신월리 지역은 저수지에 수몰되었다. 반월리는 마을 지형이 반달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설월리는 마을에 돌이...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이 푸른 녹지대에 있어서 ‘소야’라 불린 데서 소야리(所也里) 이름이 붙여졌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송림리(松林里)[마산면]는 마을에 소나무가 많아서 송림(松林)이라 불린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구시리(九時里)의 시(時) 자와 선동리(仙洞里)의 선(仙) 자를 따서 시선리(時仙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리(新里)의 신(新) 자와 서봉리(西鳳里)의 봉(鳳) 자를 따서 신봉리(新鳳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새로 장터가 생겼다 하여 새장터 또는 신장이라 한 데서 신장리(新場里)라 불리게 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안민리(安眠里)의 안(安) 자와 필당리(筆堂里)의 당(堂) 자를 따서 안당리(安堂里)라 하였다고 한다. 안민리는 마을이 조용하며 소란이 없어 항상 안정된 마을이라는 의미라고 전한다. 필당리는 옛날에 땅이 질퍽거려서 펄땅이라고 하다가 변하여 필당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요곡리(堯谷里)는 지대가 낮은 골짜기가 있어 욧골 또는 요곡(堯谷)이라 불렀다고 전하여진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시대 배나무에 둘러싸인 절이 있었다 하여 배절, 배저울, 이사(梨寺)라고 불린 데서 이사리(梨寺里) 이름이 비롯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팔지리(八芝里)의 지(芝) 자와 음산리(陰山里)의 산(山) 자를 따서 지산리(芝山里)라 하였다고 한다....
마서면
-
충청남도 서천군에 속하는 법정면. 1938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마동면(馬東面)의 마(馬) 자와 서남면(西南面)의 서(西) 자를 따서 마서면(馬西面)이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계동리의 계(桂) 자와 동죽리(東竹里)의 동(東) 자를 따서 계동리(桂東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남산리(南山里)의 남(南) 자와 합전리(蛤田里)의 전(田) 자를 따서 남전리(南田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뒤에 당산이 있어 당산(堂山) 또는 당선(堂仙)으로 불리다가 당선리(堂仙里)로 이름이 정착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암리(德岩里)’라는 지명은 백암이라 하는 마을에 흰 바위가 있어 흰바위라 불리다가 차츰 변하여 흠바위라고도 한 것으로부터 유래한다. 『1959년 충청남도 지명 조사철』에는 홍덕리(洪德里)의 덕(德) 자와 백암리(白岩里)의 암(岩) 자를 결합한 지명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의 뒷산에 세 봉우리가 솟아 있다고 하여 도사미 또는 도삼리(道三里)라 불린 데서 지명으로 정착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봉화리(烽火里)의 봉(烽) 자와 남산리의 남(南) 자를 따서 봉남리(烽南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산북리(山北里)의 산(山) 자와 원내리의 내(內) 자를 결합하여 산내리(山內里)가 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마을이 솔리, 또는 우거진 솔밭 안쪽에 자리 잡았다는 의미에서 송내리(松內里)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송내리(松內里)의 송(松) 자와 와석리(臥石里)의 석(石) 자를 따서 송석리(松石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신리(新里)의 신(新) 자와 은포리(銀浦里)의 포(浦) 자를 결합하여 신포리(新浦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주변에 느릅나무가 많아서 느릅매 또는 어산이라 불리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어리(於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옥북리(玉北里)는 마을에 두곡역이 있어 역졸들과 역마가 머물렀던 곳이라는 의미에서 역리 또는 역말이라고 한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1959년 충청남도 지명 조사철』에는 구슬은 북쪽 관저물에 있다는 의미라고 기록되어 있다. 분절 동쪽에 얕은 개를 두고 자리 잡은 지역이 구슬처럼 아름답다는 뜻으로 붙여진 지명 구수랑개[玉浦]와 두곡역 시절...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옥산리(玉山里)[마서면]는 자연 마을인 구슬뫼[玉山]에서 이름이 비롯되었다. 구슬뫼는 산이 수려하고 들에 티끌 하나 없이 깨끗하여 선비가 유리처럼 밝게 살 수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인데, 구슬과 같은 둥근산 아래 자리를 잡은 곳임을 뜻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월산리(月山里)의 월(月) 자와 금포리(金浦里)의 포(浦) 자를 따서 월포리(月浦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수하는 사람이 많은 마을이라고 하여 장선리(長善里)라 불리다가 지명으로 정착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죽산리(竹山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대나무 밭이 많아서 붙여진 지명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한성리(漢城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한성리’ 지명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행정 구역 개편 이전의 한성[한성굴]은 흙으로 쌓은 산성 아래 평탄한 지대를 이루고 있었던 큰 마을로 김녕 김씨 집성촌이었다. 『1959년 충청남도 지명 조사철』에 한성리의 지명 유래에 김씨네 벼슬을 따라 한성이라고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은 예전...
문산면
-
충청남도 서천군에 속하는 법정면.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문장면(文章面)의 문(文) 자와 두산동면(豆山洞面)의 산(山) 자를 따서 문산면(文山面)이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자연 마을인 구변(九邊)의 구(九) 자와 대동(大洞)의 동(洞) 자를 따서 구동리(九洞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복리(金福里)는 굽이치는 계곡마다 가을이면 황금빛으로 빛나는 기름진 땅에 자리한 마을이라는 뜻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시대 문장, 문장골 또는 문장동 이름을 따서 문장면(文章面)이 된 데서 문장리(文章里) 이름이 유래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북향리(北向里)의 북(北) 자와 우산(于山里)의 산(山) 자를 따서 북산리(北山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정수리(淨水里)의 수 자와 건암리(健岩里)의 암 자를 따서 수암리(水岩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옛날 신장군의 농막이 있었다고 하여서 신농소 혹은 신농이라 한 데서 신농리(神農里) 이름이 비롯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은적리(恩寂里)의 은(恩) 자와 대곡리(大谷里)의 곡(谷) 자를 따서 은곡리(恩谷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팔지리(八支里)의 지(支) 자와 서원리(書院里)의 원(院) 자를 따서 지원리(支院里)라 하였다....
비인면
-
충청남도 서천군에 속하는 법정면. 비인면(庇仁面) 이름은 과거부터 명문이 낙향하여 자리를 정한다고 하여 비인이라고 불렸던 데서 유래하였다. 비인현, 군내면, 현내, 북면, 일방이라고도 불리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안잇굴 남쪽으로 옛날부터 정성을 드리면 큰 인물이 나온다는 산이 있어서 명당에 제사를 지내 왔다고 하는데, 관(冠)을 쓸 인물이 나올 명당이 있다고 하여서 관동(冠洞), 또는 관골이라고 부른 데서 ‘관리(冠里)’라는 명칭이 유래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남쪽의 터전이 아름다운 마을이라는 뜻의 ‘남당’에서 남당리(南塘里) 이름이 유래되었다. 즉, 새로 개척하러 들어와서 스스로 이룩하는 명소를 만든다는 뜻을 가진 마을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다사리(多沙里)’라는 이름은 모래가 많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배가 드나들었다고 하여 배들이 또는 선입, 선입리라고 한 데서 선도리(船島里) 이름이 유래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성내리(城內里)’라는 명칭은 과거 통일 신라 시대 월명산 아래로 옮겨 읍성 안에 있다 하여 성안 또는 성내, 읍내라고 불린 데서 유래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비인읍성의 북쪽에 있어 성뒤, 성외 도는 성북이라고 불리던 데서 성북리(城北里) 이름이 유래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점굴 서쪽 지역에 성을 끼고 자리 잡았다고 하여 성산이라 한 데서 성산리(城山里) 이름이 비롯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율리(栗里)’라는 이름은 과거로부터 밤나무가 많은 지역이어서 율리 혹은 율동이라고 불리었고, 율리산 뒷산이 밤처럼 생겨 율리라고 불리었던 데서 유래되었다. 율리에는 밤나무로 절구를 만들 정도로 오래된 밤나무가 있었다고 한다. 또 다른 말로는 산 아래 있는 마을이 중국 도연명이 살던 율리와 같다고 한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고도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진리(長津里)의 장(長) 자와 포성리(浦城里)의 포(浦) 자를 따서 장포리(長浦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후기 비인군 군내면 지역에 옻나무가 많았다고 하여 칠지리(七支里)라고 한 데서 칠지리(漆枝里) 이름이 유래되었다....
서면
-
충청남도 서천군에 속하는 법정면. ‘서면(西面)’이라는 이름은 조선 후기 비인군의 서쪽에 자리하고 있어 서면이라고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 조선 세종[재위 1418~1450] 이후에는 도두음곶이라고 알려졌고, 도둔곶, 마량곶이라고도 불렸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개야리(介也里)는 마을의 지형이 개의 목과 같다고 하여 ‘개목’ 또는 ‘개 야목’ 또는 ‘개묵’이라고 불리었다는 이야기가 전하여지고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구복리(九福里)는 조선 후기 곰북 또는 구복이라 하였는데, 마을의 모습이 곰이 엎드린 형국과 같다는 의미의 ‘곰복’이 발음 변화로 ‘구복’이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자연 마을 가운데 하나인 원구복이라는 지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과거 지명을 리의 지명으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도둔리(都屯里)는 마을 지형이 곶을 이루고 있다고 하여 도둠곶, 도둠고지, 도두음곳, 도둔이라고 한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1655년(효종 6) 남포현(藍浦縣)에 있던 수군첨절제사진 마량진(馬梁鎭)이 비인현에 설치되면서 마량진 또는 마량리(馬梁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시대 빈번한 사화로 선비들이 한양을 뒤로하고 지방으로 내려올 때 선비들이 머무르면 화를 입지 않는다 하여 속칭 은자(隱者)들이 탐내는 곳이므로 부사먼[부사문]이라고 부른 데서 부사리(扶士里)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전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신촌리(新村里)의 신(新) 자와 합전리(蛤田里)의 합(蛤) 자를 따서 신합리(新蛤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원두리(元頭里)는 산의 머리 쪽이 된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조선 후기에는 원머리 또는 원두리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시초면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의 지형이 달[月]의 목처럼 생겼다고 하여 달목, 다리목으로 불렸는데, 한자로 표현하여 월항(月項), 월항리라고도 불린 것을 간략화하여 월리(月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에 속하는 법정면. 풀이 많아 초리[새울]라 불렸으며, 조선 전기에는 초리의 이름을 따서 초처면(草處面)으로 불렸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시왕동면(時旺洞面)의 시(時) 자와 초처면의 초(草) 자를 따서 시초면(時草面)이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월하리(月下里)의 월(月) 자와 호동리(狐洞里)의 호(狐) 자를 따서 월호리(月湖里)라고 하였는데, 이때 호동의 여우 호(狐) 자를 호수 호(湖) 자로 고치면서 월호리가 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봉암리(鳳岩里)의 봉(鳳) 자와 선돌리(仙乭里)의 선(仙) 자를 따서 봉선리(鳳仙里)라 하였다. 봉암리는 마을 뒤에 부엉이가 사는 부엉바위가 있다는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으며, 선돌리는 봉암 북동쪽에 선돌이 있다는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형이 선인이 술에 취하여서 누운 모습이라 주항리(酒缸里)라 칭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조선 시대 수렁이 많다는 의미에서 수랑골 또는 주황동이라 부르던 것이 지명으로 정착된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예는 자연 마을인 수랑골 지명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선이 글을 읽는 선인독서형(仙人讀書形) 지형과 같다 하여 선동리(仙東里)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선동리(仙洞里)의 선(仙) 자와 생암리(生岩里)의 암(岩) 자를 따서 선암리(仙岩里)라고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기(新基)의 신(新) 자와 지곡(紙谷)의 곡(谷) 자를 따서 신곡리(新谷里)라 하였다고 한다. 지곡은 조선 시대에 종이를 만들던 지역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현재도 닥나무가 지곡에 분포하여 있다. 신기는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전기 서천군 소속이었으며, 조선 후기 서천군 초처면(草處面)에 속한 지역이었다. 이후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초리, 석교리, 신기리의 각 일부를 합하여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 신흥리(新興里)로 개설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구리(龍九里)의 용(龍) 자와 당곡리(堂谷里)의 곡(谷) 자를 따러 용곡리(龍谷里)라 하였다고 한다. 용구리는 용구지라고도 하는데 마을에 용처럼 생긴 못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전하며, 또는 옛날에 용이 승천하였던 마을이라 붙여진 이름이라 전하기도 한다. 당곡리는 용구리 서쪽에 있는 마을이며, 옛날에 신당이 있어 당골이라는 이름이...
-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에 속하는 법정리. 초현리(草峴里)는 자연 마을인 천초(千草)의 초(草) 자와 홍현(紅峴)의 현(峴) 자를 따서 붙여진 이름이다. 천초는 약초 등의 풀이 자라는 마을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홍현은 마을 지형이 기러기처럼 생겼다 하여, 또는 옛날에 마을 주변에서 빨간 흙이 많이 나왔다 하여 홍현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전하여진다....
-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에 속하는 법정리. 해당 지역에 있는 태성(台城)[태성리산성]의 이름을 따서 태성리(台城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풍동(豊洞)의 풍(豊) 자와 행정리(杏亭里)의 정(亭) 자를 따서 풍정리(豊亭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에 속하는 법정리. 후동(厚洞)의 후(厚) 자와 유도암(有道岩)의 암(岩) 자를 따서 후암리(厚岩里)라 하였다고 한다. 후동과 유도암은 후암리의 자연 마을이다. 마을 뒷편에 있어서 후동이라 불렸다고 하며, 유도암은 유독바위 혹은 우두(牛頭)바위 아래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종천면
-
충청남도 서천군에 속하는 법정면. ‘종천면(鍾川面)’ 명칭은 장대봉에서 발원하여 판교면을 거쳐 계속하여 바다로 흐르는 종천(鍾川)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당동(堂洞)의 당(堂) 자와 여정리(余丁里)의 정(丁) 자를 따서 당정리(堂丁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에 있는 법정리. 조선 후기 비인군 이방면의 지역에 속하였을 때 도마니 혹은 도만이라고 불린 것에서 도만리(都萬里)라는 이름이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낭동리(朗洞里)의 랑(朗) 자와 정평리(鼎坪里)의 평(坪) 자를 따서 랑평리(朗坪里)라고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산이 깊고 물이 맑아서 산천리(山川里)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마을 앞에 큰 못이 있어 농경지로 이용하기 위하여 메웠는데 못이 계속 솟아나서 못치레라고도 불린다....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석촌리(席村里)’라는 이름은 돛바위가 있으므로 돛대바위, 돛바위 또는 석촌이라고 불렸던 데서 붙여졌다....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검리(新儉里)는 새롭게 전답이 펼쳐지는 지역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영조 대에 건립된 제민창 창고가 길게 있어 ‘장고’라고 한 것에서 장구리(長久里) 이름이 유래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종천리(鍾川里)는 명당 자리가 있어 물이 흐를 때나 마을의 땅속에서 명당의 종소리가 들린다고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북내가 있어서 북내 또는 부내라고도 불리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고인돌이 있어서 관돌, 괸들 또는 지석이라고 한 데서 ‘지석리(支石里)’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지석리 숲속과 산속에 있는 마을을 속뜸이라고 하는데, 속뜸은 마을 안쪽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꽃매산이 있다고 하여 꽃매 또는 화산이라고 불렸던 데서 화산리(花山里) 이름이 유래되었다....
판교면
-
충청남도 서천군에 속하는 법정면. 판교(板橋) 지역의 고지명인 너덜이, 즉 나무판자로 다리를 놓았다 하여 널다리라는 한글 이름으로 불렀으나, 이후 한자 이름인 판교를 따서 부른 것이 판교면(板橋面) 이름의 유래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금단리(金丹里)의 금(金) 자와 만덕리(萬德里)의 덕(德) 자를 따서 금덕리(金德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에 속하는 법정리. 등고리(登古里)는 높고 험한 고개가 있다는 뜻에서 등고(登古)라 한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에 속하는 법정리. 갈로리(葛老里)에 있던 녹마산(綠馬山)의 마(馬) 자와 비대(飛垈)의 대(垈) 자를 따서 마대리(馬垈里)라 이름이 붙여졌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을 많이 쌓은 장자가 살았다는 마을로써, 지형이 선계(仙界)의 맥과 같고, 덕을 많이 누린다 하여 만덕리(萬德里)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또한 조선 시대 천방산 아래 망덕사라는 절이 있었는데 망덕사에서 이름이 유래되어 망덕, 만덕으로 변화하였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문덕리(文德里)의 문(文) 자와 신곡리(薪谷里)의 곡(谷) 자를 따서 문곡리(文谷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에 속하는 법정리. 복대리(卜大里)의 이름은 자연 마을인 짐대울[금대]에서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상산리(上山里)의 상(上) 자와 가좌리(可佐里)의 좌(佐) 자를 따서 상좌리(上佐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성리(水城里)는 소나무와 바위가 있는 마을 지형이 방망이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조선 후기 이래로 솔맹이, 소을망리, 설명, 설맹이라 부르다가 이후 송수침 또는 송암이라고도 불렸다고 전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태봉 아래의 깊은 골짜기에 마을이 있다 하여 깊은골 또는 심동이라 한 데서 심동리(深洞里) 이름이 붙여졌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에 속하는 법정리. 와우리의 지형이 와우형(臥牛形)이라 하여 우라식 또는 우라곡이라 한 데에서 우라리(右羅里) 이름이 유래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저동리(苧洞里)의 저(苧) 자와 산동리(山洞里)의 산(山) 자를 따서 저산리(苧山里)라 하였다. 저동리와 산동리라는 지명은 1789년 간행된 『호구총수(戶口總數)』 비인현 동면조의 “저동리, 산동리, 수침동리, 솔망리”에서 처음 찾아볼 수 있다. 이후에도 『호서읍지』, 1929년 발행된 『서천군지』에서도 확인...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에 속하는 법정리. 나무판자로 다리를 놓았다는 뜻인 너덜이, 너더리, 너다리, 널다리라는 한글 이름으로 불렀으나, 이후 한자 이름인 판교(板橋)로 부른 것이 판교리(板橋里) 이름의 유래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중간에 있는 큰 바위가 검은색이라 검은 바위, 검은 배 또는 현암(玄岩)이라 한 것이 현암리(玄岩里) 이름의 유래이다. 큰 바위 위에 정자나무가 서 있는 특이한 형상을 보여 주는데, 낚시를 하였다는 전설이 있어 주변에 물이 있었던 것으로 전하여진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에 속하는 법정리. 후동리(後洞里)는 산세가 남동쪽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급경사를 이루고 있어 예부터 왜적 등 침입자로부터 마을 주민들을 보호하였던 천연 요새지라 하여 뒷골, 또는 후동이라 불린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에 나무가 우거져서 사람들이 들어설 수 없는 곳이라 하여 흥림(興林)이라 한 데서 흥림리(興林里) 이름이 비롯되었다....
한산면
-
충청남도 서천군에 속하는 법정면. 한산면(韓山面)은 조선 시대 한산군(韓山郡)의 소재지였던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한산’이라는 명칭은 고려 전기부터 사용하였다. 즉, ‘큰 고을’이라는 의미이기도 하며, ‘이 나라의 마을’이라는 뜻으로도 해석을 하나 ‘이름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가장 많이 해석된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구동리(九洞里)[한산면]는 구실, 구실다리 또는 구수동, 구동이라고도 불린다.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영병도강형(領兵渡江形) 지형으로 장수가 많은 군졸을 이끌고 아홉 개의 우물이 빽빽하도록 진을 치고 자리한 지형이라 구수동(九水洞), 구수골이라고 부르다가 구동리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나교리(羅橋里)는 나대리, 나다리, 나교라고도 불린다. 옛날에 한 도승이 지나치면서 풍취나대형(風吹羅帶形)의 명당이 있어 훗날에 반드시 다리가 놓일 것이라고 하여 나대리라 불렀다고 한다. 이후 일제 강점기 덕취지(德就池)가 생김에 따라 도승의 말이 맞았다는 설이 전하고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단정(丹亭) 위쪽에 자리 잡았다 하여 위단정이 또는 상단(上丹)이라 한 데서 단상리(丹上里) 이름이 붙여졌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단정(丹亭) 아래쪽에 자리 잡았다 하여 아랫단정이 또는 하단, 단하 등으로 불린 데서 단하리(丹下里) 이름이 비롯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동산리(童山里)는 삼국 시대에 군사와 용감히 싸우다가 전사한 열아홉 명의 동자가 묻혔다는 전설에서 이름이 유래하였으며, 동자북이라고도 불렸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산의 가지가 동쪽으로 뻗은 곳에 마을이 있다 하여 동지매 또는 동지라 한 데서 동지리(冬至里) 이름이 비롯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갈마리(渴馬里)의 마(馬) 자와 녹양리(綠楊里)의 양(楊) 자를 따서 마양리(馬楊里)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한산읍성(韓山邑城)[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의 북문 밖에 위치하여 성외리(城外里)라 부른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송하리(松下里)의 송(松) 자와 오곡리(烏谷里)의 곡(谷) 자를 따서 송곡리(松谷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산에 소나무가 많았으므로 솔매, 솔뫼 또는 송산이라 하였던 것이 송산리(松山里) 이름의 유래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강에 새로 나루터를 만들고 이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하여 신성개 또는 신성포, 신성리(新珹里)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여사제(余士堤)라 불리는 방죽 가까이에 마을이 있어서 여사지, 여시제 혹은 여수지라 부른 데서 여사리(余士里) 이름이 비롯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연봉리(蓮峰里)는 마을 지형이 연 봉오리처럼 생겼다 하여 연봉이라 불린 데서 이름이 비롯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온동리(溫洞里)는 조선 시대에 더운 물이 나오는 샘이 있어 온수가 나오는 마을이라 온수골 또는 온수동이라 불렸으며, 이후 온수굴 또는 온동이라 불린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용두리(龍頭里)의 용(龍) 자와 화산리(花山里)의 산(山) 자를 따서 용산리(龍山里)라고 하였다. 용두리는 마을 지형이 용의 머리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화산리는 용머리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꽃뫼라고도 불린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시대 역원(驛院)인 간법암원(看法岩院)이 있었는데, 원이 있었다 하여 원매 또는 원산이라 부른 데서 원산리(院山里) 이름이 붙여졌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종지리(種芝里)는 마을 지형이 종지처럼 생겼다 하여 종지울 또는 종지동, 종동이라 불린 데서 이름이 비롯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죽동리(竹洞里)의 죽(竹) 자와 고촌리(枯村里)의 촌(村) 자를 따서 죽촌리(竹村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건지산 고개의 이름을 따서 지현리(芝峴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싸리나무가 많으므로 싸리매, 축산(紐山)이라 하였는데, 동쪽에 있다 하여 축동이라 불린 데서 축동리(杻東里) 이름이 붙여졌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호암리(虎岩里)는 건지산 아래 자리 잡고 있는데, 건지산 능선에서 마을을 굽어보고 있다는 호랑이바위로 인하여 범바위 또는 범배라고 불린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화양면
-
충청남도 서천군에 속하는 법정면. 화양면(華陽面)은 화양면 금당리 북쪽에 있는 화양산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고마리(叩馬里) 이름의 유래와 관련하여 마을 지형이 사람이 말을 타고 두드리며 달리는 형상이라 하여 ‘고마’라 불렸다는 이야기가 전하여진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검당이라는 신당이 있어 금당리(琴堂里)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1959년 충청남도 지명 조사철』에는 지리학자의 견해에 따라 거문고를 타는 언니와 베틀을 짜고 있는 동생이 한집에 있다는 의미에서 금당리라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1959년 충청남도 지명 조사철』에 따르면, 기복리(箕福里)에서 기(箕) 자는 마을 뒷산의 형상을 뜻하는데 바로 행정리인 기산리의 산세를 일컫는 것이고, 복(福) 자는 주민들이 대대손손 행복이 있기를 바라는 의미를 더한 것이라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형이 남생이처럼 생겼다 하여 남생이라 부르던 것이 남성으로 변화한 데서 남성리(南星里) 이름이 비롯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대상리(大上里)의 대(大) 자와 등상리(等上里)의 등(等) 자를 따서 대등리(大等里)라 하였다. 『1959년 충청남도 지명 조사철』에는 큰 절에 큰 등이 있어서 대등이라 하였으며, 등(燈) 자를 대신하여 등(等) 자 사용이 관습적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은 대등리 서쪽의 자연 마을이자 가장 큰 마을...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하리(大下里)’ 지명은 서천군 화양면 대등리 아래쪽에 있는 마을이라고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또한 『1959년 충청남도 지명 조사철』에 따르면, 마을의 모습이 용이 물에 잠긴 형태라 하여 용담이라 부르다가 개칭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역에 자리 잡은 망월산의 이름을 따서 망월리(望月里)라 하였으며, 또는 옛날부터 밀물과 썰물·해와 달을 보고 시간의 흐름을 알고 지내던 망월산 아래 망월나루의 마을이라 망월리라고 하였다고도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시대 옛 지명인 안보현(安保縣)에서 보현리(保縣里) 이름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봉황산(鳳凰山)의 봉(鳳) 자와 계명산(鷄鳴山)의 명(鳴) 자를 따서 봉명리(鳳鳴里)라고 하였다고 한다. 계명산에는 황새바위가 있는데, 바위 모양이 논에서 황새가 우렁이를 먹고 있는 형상이라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옥산(玉山)의 옥(玉) 자와 포원리(浦元里)의 포(浦) 자를 따서 옥포리(玉浦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기와를 굽던 곳이 있다고 하여 지새울, 와초동(瓦草洞), 지호(芝湖)라고 불리었다가 와초리(瓦草里)로 지명이 정착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완길리(完吉里)의 완(完) 자와 기포리(岐浦里)의 포(浦) 자를 따서 완포리(完浦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후기 한산군 동하면의 마을 형국이 달(月) 자를 닮았고 서쪽 신천리로 넘어가는 낮은 고개가 있어 달고개 또는 월령(月嶺)이라 부르기 시작한 것에서 월산리(月山里)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상리(長上里)는 옥포장(玉浦場) 위쪽에 있다 하여 장위 혹은 장상이라고 부른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후기 대매산 아래 자리 잡았다고 하여 마을 이름을 대매라고 불렀으며, 대매산에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대나무에 속하는 조릿대가 많아 죽산이라 부르게 된 데서 죽산리(竹山里) 이름이 비롯되었다. 『1959년 충청남도 지명 조사철』에도 마을 주위에 대나무 밭이 많아서 지명을 죽산이라고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다른 한편, 죽진(竹津) 또...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강변 남창(南倉)의 밖에 위치한 지역이라는 의미에서 창의 밖 또는 창의 외라 칭하였던 데에서 창외리(昌外里) 이름이 유래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추동리(楸洞里)는 마을에 큰 가래나무가 있다고 하여 가래울 또는 추동이라 불린 데서 유래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형이 곶 모양으로 되어 있는 장소인 고지말이 있고,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의 명당에 마을이 자리하고 있다. 따라서 마을이 꽃으로 덮여 지형이나 산형이 연꽃에 묻혔다는 의미로 고지말 또는 화촌이라 부르던 데서 화촌리(花村里) 지명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활동리(活洞里)는 어성산 산자락에 있는 마을로, 어성 신담(申湛)이 은거하였다 하여 어은동 또는 은골이라는 이름으로 많이 알려졌으며, 15세기 고령 신씨가 입향한 이후 8명의 문장가를 배출하여 글을 숭상한다는 뜻의 숭문동(崇文洞)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1959년 충청남도 지명 조사철』에는 예전에 은동이라는 명당이 있었는데 그 이후에 활동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