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여러 세대에 걸쳐 거주하고 있는 성씨. 세거 성씨(世居 姓氏)는 일정한 지역에서 집성촌 또는 세거지를 형성하여 대대로 오랫동안 거주하고 있는 성씨를 의미한다. 이들 세거 성씨는 특정한 지역에 들어와 삶의 터전을 일구기 시작한 입향조(入鄕祖)들이 있는데, 모든 씨족의 입향조를 전부 알 수도 없고 입향조가 누구인지 알고 있어도 입향 시기를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성씨
-
김알지를 시조로 하고 김천계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김알지(金閼智)[65~?]를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고려 예종 때 태자태사를 지낸 김인관(金仁琯)의 7세손 김영백(金英伯)은 봉상대부 삼사부사를 지냈으며, 김오(金珸)·김대(金玳)·김인(金戭) 세 아들을 두었다. 이 중 김영백의 둘째 아들 김대의 후손이 경주 김씨 양주목사공파(楊州牧...
-
이알평을 시조로 하고 이유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경주 이씨(慶州 李氏)는 신라 건국 전 진한육촌장(辰韓六寸長) 중의 한 사람인 이알평(李謁平)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경주 이씨의 중시조는 신라 말 소판 벼슬을 역임한 이거명(李居明)으로, 이거명의 10세손 이춘정(李春貞)과 이춘림(李春林) 형제를 시작으로 15세손 이후부터 분파하였다. 이거명의 16세손 이...
-
신성용을 시조로 하고 신영원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고령 신씨(高靈 申氏)는 고려 후기 검교군기감을 지낸 신성용(申成用)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고령 신씨의 본관인 경상북도 고령군(高靈郡)은 본래 대가야국(大伽倻國)이었다가 삼국 시대 신라의 대가야군(大伽倻郡)이 되었고, 신라 경덕왕 때 고령이 되었다. 고려 초기에는 경산부(京山府)에 속하여 명종 때 감무를...
-
노오를 시조로 하고 노윤보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교하 노씨(交河 盧氏)는 노오(盧塢)를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교하 노씨는 주나라 건국공신인 강태공의 9세손 고혜(高傒)가 제나라 노현(盧縣)을 봉지로 하사받으면서 비롯되었다. 우리나라 노씨 도시조(都始祖)인 노수(盧穗)는 중국 범양 사람으로, 안녹산의 난이 일어나자 노오 등 아들 9형제를 데리고 신라에 건너...
-
유삼재를 시조로 하고 유기창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기계 유씨(杞溪 俞氏)는 신라 시대에 아손(阿飡) 벼슬을 지낸 유삼재(兪三宰)를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신라의 관리였던 유삼재의 후손 유의신(兪義臣)이 고려에 불복하여 기계현[현 경상북도 기계면]의 호장으로 배치되었고, 이후 후손들이 기계현에 세거하면서 기계를 관향으로 삼았다....
-
김수로를 시조로 하고 김우성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김해 김씨(金海 金氏)는 김수로(金首露)를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가락국기(駕洛國記)」에 따르면, “서기 42년 3월 가락국의 아홉 촌장이 구지봉 산정에 모여 나라를 통솔할 군장(君長)을 얻기 위해 하늘을 향하여 의식을 올리자 하늘에서 한줄기 붉은빛이 내려와 함께 달려가 보니 금함에...
-
김운발을 시조로 하고 김선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나주 김씨(羅州 金氏)는 김운발(金雲發)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김운발은 신라 경순왕의 손자로, 고려에서 벼슬이 문하시중에 이르고 나주군(羅州君)에 책봉되었다. 신라 경순왕이 나라를 고려에 넘기자 태자이던 김일(金鎰)은 개골산에 들어갔고, 둘째 아들 김굉(金鍠)은 해인사에 들어가 승려가 되었는데 왕건이 평장...
-
나부를 시조로 하고 나효기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나주 나씨(羅州 羅氏)는 나부(羅富)를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송나라 사신으로 고려에 건너온 강서성 예장(豫章) 출신의 나부는 고려에서 감문위상장군을 역임한 뒤 나주(羅州)에 정착하였고, 후손들이 나주를 본관으로 삼았다. 이후 세계가 실전되어 고려 시대 영동정을 역임한 나득규(羅得虬)를 후조(後祖) 1세로 삼...
-
문다성을 시조로 하고 문색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남평 문씨(南平 文氏)는 문다성(文多省)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남평 문씨 족보에 따르면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현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일대]에서 태어난 문다성이 472년(신라 자비왕 15) 삼중대광 삼한벽상공신 남평백 대야찬 대원수 남평개국백에 책봉되어 후손들이 남평을 본향으로 삼았다고 한다. 문다성...
-
백우경을 시조로 하고 백세렴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우리나라 백씨(白氏)는 여러 파로 관향을 달리하고 있으나 시조는 백우경(白宇經)이다. 백우경은 중국 소주 출신으로 간신들의 참소를 피하여 선덕왕 때 신라에 망명하였다. 이후 신라 경명왕 때 중랑장을 지낸 백창직(白昌稷)을 중시조로 삼아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
구존유를 시조로 하고 구안우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능성 구씨(綾城 具氏)는 구존유(具存裕)를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구존유는 고려 고종 때 문과벽상삼한삼중대광 검교상장군을 지내고 능성[현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정착하였고, 이후 후손들이 능성을 관향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조선 시대에 간행된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와 『신증동국여지승...
-
이익존을 시조로 하고 이언충을 중시조이자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서림·서천 이씨(西林·舒川 李氏)의 시조는 고려 때 호부상서를 지낸 이익존(李益存)이며, 후대에 부여공파(扶餘公派)·원정공파(院正公派)·판서공파(判書公派)·진사공파(進士公派)·부사공파(府使公派)·주부공파(主簿公派)·장의공파(掌議公派)·용학파(龍鶴派) 등으로 분파되었다. 서천 지역에는 이홍려(李興儷...
-
명옥진을 시조로 하고 명두인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서촉 명씨(西蜀 明氏)는 명옥진(明玉珍)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명옥진은 원나라 말에 촉(蜀) 땅에 웅거하여 1363년 성도(成都)에서 대하(大夏)국을 세우고 황제가 되어 선정을 베풀다가 1366년에 사망하였다. 명옥진이 사망한 뒤 아들 명승(明昇)이 황위를 계승하였으나 당시 새로 건국한 명나라에 나라를...
-
김선궁을 시조로 하고 김세근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선산 김씨(善山 金氏)는 고려의 개국공신으로 삼중대광 문하시중을 지낸 김선궁(金宣弓)을 시조로 하는 계파와 신라 경순왕의 아들 김추(金錘)를 시조로 하는 계파가 있다. 본래는 두 계파를 일선 김씨(一善 金氏)와 선산 김씨로 구분하였으나, 일선 김씨 또한 조선 태종 때 바뀐 지명인 선산을 이후 본관으로 삼으면...
-
권행을 시조로 하고 권인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안동 권씨(安東 權氏)는 고려 개국공신인 권행(權幸)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고창(古昌)[현 경상북도 안동시]의 호족이던 권행의 성씨는 본래 김(金)씨였다. 권행은 930년(고려 태조 13) 고창 전투에 참여하여 왕건이 승리할 수 있도록 도와 대상(大相)에 제수되었고, 고려 태조 왕건이 기미에 밝고 권도에 통...
-
조잠을 시조로 하고 조정빈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양주 조씨(楊州 趙氏)는 조잠(趙岑)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조잠은 고려 때 양주(楊州)[현 경기도 양주시]에서 정조호장(正朝戶長)을 지냈으며, 이후 후손들이 양주를 관향으로 세계를 이었다. 조잠의 증손자인 조계생(趙啓生)·조말생(趙末生)은 문과에 급제하여 조선 세종 대에 조참관과 영중추원사를 지냈으며, 조...
-
허선문을 시조로 하고 허책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양천 허씨(陽川 許氏)는 공암 허씨(孔巖 許氏)라고도 하며, 김수로왕(金首露王)의 30세손 허선문(許宣文)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김수로왕의 세 아들 중 첫째 아들은 김씨 성을 이어 받아 김해를 관향으로 삼았고, 둘째와 셋째 아들은 어머니인 수로왕비 허황옥(許黃玉)의 성을 이어 받아 각각 김해와 양천을 관향...
-
김섬한을 시조로 하고 김난수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연안 김씨(延安 金氏)는 김섬한(金暹漢)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김알지(金閼智)의 후손인 형제가 신라의 왕에게 직간하다가 형은 북빈경(北濱京)[현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유배되고, 동생은 고염성(鼓鹽城)[현 북한 황해남도 연안군]에 유배되었다고 한다. 연안 김씨는 고염성으로 유배되었던...
-
박제상을 시조로 하고 박이소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영해 박씨(寧海 朴氏)는 신라 파사왕(婆娑王)의 6세손 박제상(朴提上)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박제상은 내물왕 때 삽양주간(歃良州干)을 지내고 418년(눌지왕 2) 고구려에 특파되어 볼모로 잡혀 있던 왕자 복호(卜好)를 데려왔다. 이후 다시 왜국에 특파된 박제상은 볼모로 가 있던 왕자 미사흔(未斯欣)을 탈...
-
장유를 시조로 하고 장용검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우리나라 장씨(張氏)의 도시조는 장정필(張貞弼)인데, 장정필은 중국 절강성 출신으로 신라 말에 아버지와 함께 중국에서 망명하였다. 예산 장씨(禮山 張氏)의 시조는 장정필의 9세손 장유(張裕)이다, 장유의 아들 장영위(張英暐)가 고려 때 평장사를 역임하고 나라에 공을 세워 예산군(禮山君)에 책봉되었고, 이후 후...
-
방지를 시조로 하고 방거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온양 방씨(溫陽 方氏)는 방지(方智)를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방지의 아들 방헌주(方軒柱)는 가유현주(嘉猷縣主)가 되었고, 손자 방길정(方吉正)은 전경부경(典京府卿), 방동량(方東亮)은 대광(大匡), 방보혁(方甫赫)은 평안군(平安君)에 책봉되는 등 대를 이어 현달하였다고 한다. 4세손 방공요(方公瑤)가 화영군(...
-
서신일을 시조로 하고 서연복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이천 서씨(利川 徐氏)는 서신일(徐神逸)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서신일은 817년(신라 헌덕왕 9)에 태어나 효공왕 대에 벼슬이 아간에 이르렀다. 서신일의 아들 서필(徐弼)이 고려의 내의령(內議令)을 지냈고, 손자 서희(徐熙)가 내사령(內史令), 증손자 서눌(徐訥)이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역임하며 이천 서...
-
강이식을 시조로 하고 강위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진주 강씨(晉州 姜氏)는 고구려의 도원수를 지내며 많은 전공을 세운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충청남도 서천군에 세거하는 진주 강씨는 대부분 고려 때 국자박사를 지내고 진산부원군에 책봉된 강계용(姜啟庸)을 파조로 하는 박사공파(博士公派) 후손들이며, 강계용의 후손 강회중(姜淮仲)을 중심으로 하는...
-
김추를 시조로 하고 김서룡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진주 김씨(晉州 金氏)는 관향은 같으면서 시조를 달리하는 두 계통이 있다. 하나는 경순왕의 여덟 번째 아들 김추(金錘)를 시조로 하는 계통이고, 다른 하나는 진주에 정착한 김유신(金庾信)의 둘째 아들 김원술(金元述)을 시조로 하는 계통이다. 충청남도 서천군에 세거하는 진주 김씨는 김추를 시조로 하는 신라 김씨...
-
윤신달을 시조로 하고 윤희인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파평 윤씨(坡平 尹氏)는 지금의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이며, 시조는 윤신달(尹莘達)[?~973]이다. 윤신달은 고려 태조를 도와 벽상삼한익찬2등공신에 녹훈되고 벼슬이 삼중대광태사에 이르렀다. 943년 혜종이 즉위하자 동경대도독으로 부임하여 30년간 재임하다가 973년(광종 24) 임지에서...
-
신숭겸을 시조로 하고 신용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평산 신씨(平山 申氏)는 신숭겸(申崇謙)[?~927]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신숭겸은 전라도 곡성 출신으로, 배현경(裵玄慶)·복지겸(卜智謙) 등과 함께 태봉(泰封)의 왕이던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추대하여 개국일등공신에 녹훈되고 대장군이 되었다. 이후 후손들이 신숭겸을 시조로 하고 평산[현 북한 황해북도 평...
-
구대림을 시조로 하고 구맹전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평해 구씨(平海 丘氏) 시조는 당(唐)나라의 장군이었던 구대림(丘大林)이다. 구대림은 일본에 사신으로 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다가 평해(平海)[현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에 표착하여 미포에 터를 잡아 살게 됨으로써 평해 구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이후 세계(世系)가 전하지 않아 고려 공민왕 때 홍건적을...
-
조맹을 시조로 하고 조수륜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풍양 조씨(豐壤 趙氏)는 조맹(趙孟)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한양부 풍양현(豊壤縣)[현 경기도 남양주시] 출신으로 고려의 개국공신인 조맹의 처음 이름은 조암(趙巖)이며, 벼슬이 문하시중평장사에 이르렀고 ‘맹(孟)’이라는 이름을 하사받았다. 이후 후손들이 풍양을 관향으로 세계를 잇게 되었으나 6세(世)를 실전...
-
이윤경을 시조이자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한산 이씨(韓山 李氏)는 대대로 한산[현 충청남도 서천군 일대] 지역의 호장을 역임하며 호족으로서 세력을 유지하여 한산을 본관으로 삼았는데, 같은 뿌리이면서 시조를 달리하는 두 계통으로 나뉜다. 한산 이씨 호장공계(戶長公系)는 고려 충숙왕 때 원나라에서 과거에 급제한 뒤 한림국사원검열관을 지내다 충목왕 대에 귀국하여 도...
집성촌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에 있는 기계 유씨 집성촌.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는 삼국 시대 백제 때 비중현에 속하였고, 남북국 시대 통일 신라 당시 서림군의 영현인 비비현 소속이었으며, 고려 때는 임천 가림군 영현인 비인현에 속하였다. 조선 전기 1413년(태종 13) 비인현에 속하였다가, 조선 후기에는 비인군 북면에 속하여 남당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남전리에 있는 나주 나씨 집성촌. 남전리는 조선 후기 충청남도 서천군 남부면 지역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백사리(白沙里), 남산리(南山里), 합전리(蛤田里) 각 일부를 합하여, 남산(南山)과 합전(蛤田)의 이름을 따서 충청남도 서천군 서남면 남전리로 개설되었다. 1938년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남전리로 개편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산리와 율리에 있는 평산 신씨 집성촌.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의 성산리와 율리는 이웃한 마을이다. 성산리는 삼국 시대 백제 때 비중현, 남북국 시대 통일 신라 때는 비비현, 고려 때는 비인현에 속하였던 지역이다. 조선 전기인 1413년(태종 13) 비인현이었다가, 조선 후기 비인군 북면 지역에 속하여 성산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미력...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장선리에 있는 평해 구씨 집성촌. 장선리는 낮은 야산과 넓은 평야를 끼고 있는 마을이다. 삼국 시대 백제 때 설림군(舌林郡)에 속하였고, 남북국 시대 통일 신라 때 서림군(西林郡)이었는데, 고려 시대에는 가림군(嘉林郡)의 속현이었다. 조선 시대에는 마길면(馬吉面)이었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충청남도 서천군 마동면(馬東面) 장선리로 개설되었다. 19...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문장리에 있는 풍양 조씨 집성촌. 1413년(태종 13) 서천군 문장면 지역에 속하여 문장골 또는 문장동이라 하였는데, 이후 문장면이 생겼다고 한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득락리(得樂里)와 화리(禾里), 백양리(白楊里)의 각 일부를 합하여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문장리로 개설되었다. 서천군 문산면 문장리는 문장1리, 문장2리, 문장3리로 나뉘어...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마양리에 있는 한산 이씨 집성촌.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마양리는 삼국 시대 백제 때는 마산현에 속하였으며, 남북국 시대 통일 신라 때는 임천 가림군의 영현인 마산현에 속하였고, 고려 시대 때도 가림군의 영현으로 한산현 소속이었다. 조선 전기인 1413년(태종 13)에는 한산군에 속하였으며, 조선 후기에는 한산군 동상면 지역이었다. 그 후 1914년 행정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