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초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198
한자 時草面
영어공식명칭 Sicho-my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진종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 개설
성격 법정면
면적 18.36㎢
가구수 701가구
인구[남/여] 1,209명[남 586명|여 623명]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에 속하는 법정면.

[명칭 유래]

풀이 많아 초리[새울]라 불렸으며, 조선 전기에는 초리의 이름을 따서 초처면(草處面)으로 불렸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시왕동면(時旺洞面)의 시(時) 자와 초처면의 초(草) 자를 따서 시초면(時草面)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삼국 시대 백제 설림군에 속하였으며, 남북국 시대 통일 신라 서림군에 속하였다. 고려 전기 1018년(현종 9) 가림군의 영현인 서림현에 속하였다. 고려 후기 1314년(충숙왕 2) 지서주사의 고을이었다. 조선 전기 1413년(태종 13) 서천군 지역으로 초리 외 7개 동리를 관할하였다. 이후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시왕면의 주절 외 11개 동리와 문장리의 한강, 유지, 선동, 생암, 화리의 5개 동리와 판산면의 동산, 정산, 삼수의 3개 동리의 각 일부, 두산면의 천초리 일부, 한산군 하북면의 신리를 통합하여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으로 개설되었다. 시초면봉선리, 선암리, 신곡리, 신흥리, 용곡리, 초현리, 태성리, 풍정리, 후암리, 선동리의 10개 리를 관할한다.

[자연환경]

시초면은 차령산맥의 남단에 있는 산악 사면 지대(山岳斜面地帶)에 자리하고 있으며, 주된 지질은 대보화강암(大寶花崗巖)이다. 시초면 서북쪽으로 산지가 발달하여 천방산, 금성산 등이 자리 잡고 있다. 시초면의 수계로는 동쪽으로 길산천, 서쪽으로 동산천이 남류한다. 길산천 상류에는 동부저수지[봉선저수지]가 있어 시초면에 형성된 서천평야의 넓은 유역을 관개하고 있다.

[현황]

2024년 현재 시초면의 면적은 18.36㎢으로, 서천군 13개의 면 가운데 가장 면적이 작다. 인구는 2022년 12월 현재 701가구, 1,209명[남자 586명, 여자 623명]이다. 시초면은 서천군 중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마산면, 서쪽으로 서천읍, 남쪽으로 기산면, 북쪽으로 문산면과 접하고 있다. 10개의 법정리, 17개의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주민 대부분은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주요 생산품은 쌀이고, 생강, 취나물, 부추, 오이, 쪽파 등을 재배하며, 일부 양계 등 가축을 길러 소득을 올리고 있다. 시초면의 주요 기관으로는 시초면행정복지센터가 초현리에 있고, 이외에도 충남서천경찰서 시초치안센터, 시초우체국, 서천농협 시초지소, 시초면농업인복지회관 등이 있다. 교육 시설로는 시초초등학교와 시초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이 있다. 의료 시설로는 시초보건지소와 선동보건진료소가 면민들의 건강을 담당하고 있다.

시초면 동쪽의 동부저수지[봉선저수지]에는 아름다운 자연 생태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둘레길인 봉선지 물버들길이 조성되어 있어 관광지로 각광받고 있다. 시초면의 문화유산으로는 서천 봉선리 유적[사적] 등이 있다. 교통로로는 서천공주고속도로[고속국도 제151호]가 시초면의 동쪽을 남북 방향으로 지나 동서천IC에서 서부여IC를 연결한다. 서북쪽으로는 지방도 제611호[서문로]가 서천읍에서 부여군 홍산면으로 향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