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언어와 문자로 표현하는 예술 및 작품. 서천의 문학에는 필연적으로 서천의 자연과 역사가 중요한 요소로 내재화되어 있다. 우리나라 고전 문학의 일반적인 현상처럼 서천 지역에서의 고전 문학 역시 관리로 등용되기 위한 관문 역할을 하였고, 양반 계층의 중요한 소통과 교류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또한 독자적인 예술이라기보다는 당대의 시대적 가치,...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인 조선 시대 여성 문인 신부용당의 문집. 『부용시선(芙蓉詩選)』은 조선 시대 여성 문인 신부용당(申芙蓉堂)[1732~1791]의 한시, 수필, 논(論) 등의 문학 작품이 수록된 문집이다. 1975년 한국한문학연구회에서 간행한 영인본 『숭문연방집(崇文聯芳集)』에 실려 전하여 내려온다....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 출신인 김임벽당의 한시를 엮은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문집. 『임벽당칠수고(林碧堂七首稿)』는 김임벽당(金林碧堂)[1492~1549]의 7세손 유세기(兪世基)[1653~1711]가 김임벽당의 시를 조선 후기 유명한 문사들인 남구만(南九萬)[1629~1711]·조지겸(趙持謙)[1639~1685]·윤증(尹拯)[1629~1714]·조인수(趙仁壽)[?~1692]...
조선 전기 문장가인 서거정이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의 경치를 노래한 한시. 「비인팔경(庇仁八景)」은 조선 전기 문장의 대가인 서거정(徐居正)[1420~1488]이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월명산(月明山)에서 바라본 비인면의 뛰어난 풍광 8곳을 노래한 한시이다....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 출신인 조선 후기 학자 권헌의 한시. 「여소미행(女掃米行)」은 진명(震溟) 권헌(權攇)[1713~1770]이 관청의 쌀 창고 마당에 떨어진 쌀을 쓸어담는 일을 하며 홀로 살아가는 여인을 소재로 조선 후기 하층민의 모습을 반영하여 쓴 한시이다....
1958년 박서림이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신송리를 배경으로 하여 발표한 소설. 「장마루촌 이발사」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신송리를 배경으로 하여 박서림(朴西林)[박홍규(朴洪圭), 1930~ ]이 1958년 발표한 단편 소설이다. 1958년 KBS에서 모집한 현상 방송 소설 부문에 당선되었으며, 이후 라디오 드라마와 영화로 각색되어 널리 알려진 작품이다....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죽촌리 출신 이곡이 고려 후기에 지은 가전체 소설. 「죽부인전」은 고려 후기에 가정(稼亭) 이곡(李穀)[1298~1351]이 쓴 한문본 가전체 소설이다. 조선 시대 서거정(徐居正)[1420~1488]이 왕명에 따라 편찬한 『동문선(東文選)』 권101과 이곡의 글과 시를 모아 펴낸 『가정집(稼亭集)』에 전하고 있다. 「죽부인전」은 대나무[竹]를 부인으로 의인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죽촌리 출신 이곡이 고려 후기에 쓴 한문 수필. 「차마설(借馬說)」은 고려 후기에 가정(稼亭) 이곡(李穀)[1298~1351]이 말을 빌려 탄[借馬] 경험을 하고 얻은 깨달음을 기록한 한문 수필이다. 이곡의 시문집인 「가정집(稼亭集)」에 수록되어 있다....
2012년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막동리 출신인 나태주가 쓴 현대시. 「풀꽃」은 2012년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막동리 출신인 나태주(羅泰柱)[1945~ ]가 쓴 짧은 현대시이다. 관심을 가지고 대하면 세상의 모든 것이 가치있고 아름답다는 내용이다....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인 고려 후기 문신 이색의 한시. 「한산팔영(韓山八詠)」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이 한산[현 충청남도 서천군]의 아름다운 경치를 읊은 한시이다. 「한산팔영」으로 인하여 고려 후기에 한산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