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효자. 김득연금(金得連金)[?~?]은 한산(韓山)[현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서 태어나 거주하였다. 『효행등제등록(孝行等第謄錄)』에 따르면, 김득연금은 서원에 딸린 노비였던 것으로 확인된다. 김득연금은 어머니가 병에 걸리자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 피를 어머니 입으로 흘려 넣어 병을 낫게 하였다고 한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효자. 김만기(金萬奇)[?~?]의 아버지는 김상일(金尙逸)이다. 생몰년과 본관 등은 전하지 않는다....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효자. 김성(金聲)[?~?]은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나교리에서 태어나 거주하였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김성은 가족을 이끌고 피난길에 나섰는데, 적을 왜군을 만나자 부인과 자식을 두고 눈먼 어머니만 업고 달아났다. 이후 숨어서 왜군이 부인을 겁탈한 뒤에 창으로 찔러 죽이고 자식 또한 죽이는 것을 목격한 뒤에 멀리 달아나 숨었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효자. 김용현(金溶鉉)[1825~1886]의 본관은 김녕(金寧)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성원(金聲遠)이고, 할아버지는 김시한(金時漢)이다. 아버지는 김치능(金致能)이고, 어머니는 경주 최씨(慶州 崔氏)이다. 부인은 밀양 박씨(密陽 朴氏)이고, 아들은 김시권(金始權)·김종건(金鍾權)이다....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효자. 김정구(金鼎九)[?~?]의 본관은 김해(金海)이며, 호는 삼족당(三足堂)이다. 아버지는 호조참판을 지낸 김원오(金元五)이고, 어머니는 남평 문씨(南平 文氏)이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효자. 김제형(金濟亨)[1823~1883]의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자는 의백(義伯)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광린(金光麟)이고, 할아버지는 김시팔(金時八)이다. 아버지는 김종문(金鍾門)이고, 어머니는 임수정(任守正)의 딸 풍천 임씨(豐川 任氏)이다. 부인은 신석팔(申錫八)의 딸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고, 아들은 김기원(金箕元)·김기환(金箕桓)·김기청(金箕靑...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효자. 김처온(金處溫)[?~?]은 서천군 사람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생몰년과 가계는 전하지 않는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효자. 나경서(羅慶瑞)[?~?]의 본관은 안정(安定)이며, 아버지는 나성인(羅星仁)이다. 부인은 박선영(朴善榮)의 딸 울산 박씨(蔚山 朴氏)이고, 아들은 나순효(羅舜孝)이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효자. 나동윤(羅東倫)[?~?]의 본관은 금성(錦城)이다.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 세거하는 금성 나씨는 나봉(羅奉)의 후손으로 한림공파라 일컫는다. 나봉은 고려가 망하자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 산성동으로 낙향하였으며, 이후 나봉의 후손들은 서천군에 세거하게 되었다. 나동윤 또한 나봉의 후손으로, 서천군 기산면 막동리에 세거하였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효자. 나순효(羅舜孝)[?~?]의 본관은 안정(安定)이며, 자는 내칙(乃則)이다. 할아버지는 나성인(羅星仁)이고, 아버지는 나경서(羅慶瑞), 어머니는 박선영(朴善榮)의 딸 울산 박씨(蔚山 朴氏)이다. 부인은 강기준(姜基俊)의 딸이고, 아들은 나척(羅倜)이다. 기우만(奇宇萬)이 찬술한 나순효의 묘갈명에서는 『여지도서(輿地圖書)』와는 달리 아버지를 나경좌(羅慶佐...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효자. 노경인(盧敬仁)[?~?]의 본관은 교하(交河)이다. 아버지는 노격(盧激)이고, 어머니는 고령 박씨(高靈 朴氏)이다....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효자. 박지(朴地)[?~?]는 한산(韓山)[현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서 태어나 거주하였다. 나이가 많은 부모를 봉양하기 위하여 벼슬에도 뜻을 두지 않고 마음을 다하고 정성을 다하였다. 어머니가 병들었을 때는 옷도 벗지 않고 잠자고 대변을 맛보아 병세를 살피는 등 극진히 간호하였으며, 매일 밤마다 별에 절하면서 제 몸으로 어머니를 대신하기를 기원하여 어머니...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효자. 방수간(方秀幹)[1551~?]의 본관은 태안(泰安)이며, 아버지는 방현남(房顯男)이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효자. 성학순(成學淳)[1753~1817]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다. 이조판서 성담명(成聃命)의 11세손으로, 아버지는 능참봉을 지낸 성시돈이다....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효자. 유인봉(兪仁奉)[?~?]은 평소 부모를 지극정성으로 섬겼는데, 매서운 추위나 더위는 물론이고 억수같은 비가 내려도 꺼리지 않고 힘을 다하여 부모 봉양에 필요한 것들을 마련하였다고 한다. 또한 부모가 사망한 뒤에는 6년 동안 무덤을 지키며 시묘살이를 하였다고 한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효자. 유재환(柳載煥)[1757~1829]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사문(士文)이다. 예조판서를 지낸 유종순(柳宗淳)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유상청이다....
-
조선 후기 서천 지역에 거주한 효자. 윤말정(尹末精)[?~?]의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아버지는 윤업산이고, 어머니는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효자. 윤자학(尹滋鶴)[?~?]의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윤광찬(尹光纘)이고, 할아버지는 윤서기(尹瑞基)이다. 아버지는 윤경진(尹敬鎭)이고, 동생은 윤자경(尹滋畊)이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효자. 이병연(李秉淵)[?~?]의 본관은 광주(光州)이며,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덕암리에서 태어났다. 어느 날 이병연의 아버지가 서천군 장항읍 원수리 금강 변의 용당진(龍塘津)에서 배를 타고 강을 건너다가 배가 뒤집어지는 바람에 물에 빠져 사망하였다. 아버지의 시신을 수습하지 못하자 이병연은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내고 그 피로 글씨를 써서 하늘과 강...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효자. 이용명(李用命)[?~?]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이정구(李廷龜)의 후손이다. 동생은 이조윤(李祖允)[?~?]이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효자. 이조윤(李祖允)[?~?]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이정구(李廷龜)의 후손이다. 형은 이용명(李用命)[?~?]이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효자. 이황(李瑝)[1785~1836]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백원(伯元)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춘기(李春起)이고, 할아버지는 이장백(李長白)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겸 오위장을 지낸 이광규(李光逵)이고, 어머니는 조명제(曺命濟)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다. 부인은 정광련(鄭光璉)의 딸 진주 정씨(晉州 鄭氏)이고, 아들은 이정한(李鼎漢)·이...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효자. 정인교(鄭仁敎)[?~?]의 본관은 온양(溫陽)이며, 자는 인환(仁煥)이다. 정순붕(鄭順朋)의 12세손으로, 아버지는 정은우(鄭殷遇)이다....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열녀. 나계문 처 윤씨(羅繼門 妻 尹氏)[?~?]의 본관은 파평(坡平)이며, 이름은 윤덕녕(尹德寧)이다. 아버지는 윤상은(尹尙殷)이고, 어머니는 송충손(宋忠孫)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열녀. 노격 처 박씨(盧激 妻 朴氏)[?~?]의 본관은 고령(高靈)이다. 남편은 교하 노씨(交河 盧氏) 노격이고, 아들은 노경인(盧敬仁)이다....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열녀. 순덕(順德)[?~?]의 성과 본관은 전하지 않으며, 남편은 수군이었던 박윤산(朴允山)이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열녀. 안교희 처 이씨(安敎羲 妻 李氏)[?~?]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남편은 순흥 안씨(純興 安氏) 안교희이고, 아들은 안동호(安東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