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서천문화대전 > 서천향토문화백과 > 삶의 이야기(구비 전승·언어·문학) > 언어
-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발생하여 지역 주민들이 일상으로 사용하는 말. 서천의 언어는 큰 범주로는 중부 방언에 속하며, 작은 범주로는 충청남도의 세 방언 중 제2방언권에 속한다. 서천군은 충청남도의 부여군, 보령시와 경계를 이루고, 금강(錦江)을 두고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익산시와 인접하여 있다. 따라서 중부 방언의 영향을 받는 충남 방언권과 서남 방언의 영향을 받는 전북 방언권의...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사용하는 짧은 문장의 격언. 속담(俗談)은 사람들이 생활에서 얻은 삶의 지혜 교훈으로 전하여 주고자 사용하는 관용구이다. 속담은 시대와 사회를 반영하며, 지역의 향토성과도 관련 있는 경우가 많다. 서천 지역에서 사용하는 속담은 전국에서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속담 이외에 서천 지역의 정서와 생활 환경을 연계하여 이해할 수 있는 속담들도 있다. 에둘러 표현하기를 좋아...
속신어
-
충청남도 서천 지역의 민간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신앙 형태의 말. 속신어(俗信語)는 속담이나 격언과 비슷하게 짧은 문구로 되어 있다. 민간 속신어, 금기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하면 ~한다’와 같이 조건절과 결과절이 인과 논리 속에 결합되어 있다.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속신어는 기능에 따라 어업 금기어, 내세 속신어, 당위 속신어, 치료 속신어, 풍수 속신어, 해...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몸이나 관상과 관련된 민간 속신어. 관상 속신어(觀相 俗信語)는 충청남도 서천군에 전하여 내려오는 신앙 형태 문장인 속신어 가운데 기능 요소에 몸이나 관상과 관련된 어휘가 들어 있는 속신어이다. 일반적으로 속신어는 한 문장에 반드시 조건절과 결과절이 결합되어 있다. ‘~하면[조건절] ~이 된다[결과절]’라는 문장으로 연결된 형태이다. 서천군의 관...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내세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민간 속신어. 내세 속신어(來世 俗信語)는 사건의 결과를 죽은 다음에 알 수 있으므로 종교나 도덕적 측면에서 금기어로 활용할 수 있다.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내세 속신어도 신앙 형태 문장인 속신어의 기능 요소에 ’죽어서’라는 어휘가 들어가 있다. 일반적으로 속신어는 한 문장에 반드시 조건절과 결과절이 결합되어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당위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민간 속신어. 당위 속신어(當爲 俗信語)는 충청남도 서천군에 전하여 내려오는 민간 속신어의 기능 요소에 ‘마땅히’라는 의미가 함축되어 들어 있는 민간 속신어이다. 속신어는 한 문장에 반드시 조건절과 결과절이 결합되어 있다. ‘~하면[조건절] ~이 된다[결과절]’라는 문장으로 연결되는 형태이다. 예를 들면 “이사를 가면 마땅히 이웃...
-
충청남도 서천군에 전하여 내려오는 세시 풍속과 관련된 속신어. 세시 속신어(歲時 俗信語)는 충청남도 서천군에 전하여 내려오는 속신어의 기능 요소에 세시 풍속과 관련된 어휘가 들어간 속신어이다. 일반적으로 속신어는 한 문장에 반드시 조건절과 결과절이 결합되어 있다. ‘~하면[조건절] ~이 된다[결과절]’라는 문장으로 연결된 형태이다. 서천군의 세시 속신어는 “유월 유두에 동쪽으로 흐...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앞으로 일어날 자연 현상이나 상황을 나타내는 민간 속신어. 전조 속신어(前兆 俗信語)는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속신어의 기능 요소에 자연 현상이나 상황의 전조와 관련한 어휘가 들어간 속신어이다. 일반적으로 속신어는 한 문장에 반드시 조건절과 결과절이 결합되어 있다. ‘~하면[조건절] ~이 된다[결과절]’라는 문장으로 연결된 형태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에 전하여 내려오는 민간 속신어 중 주술과 관련한 속신어. 주술 속신어(呪術 俗信語)는 충청남도 서천군에 전하여 내려오는 속신어 가운데 주술이나 기원과 관련한 내용이 들어 있는 속신어이다. 일반적으로 속신어는 한 문장에 반드시 조건절과 결과절이 결합되어 있다. '~하면[조건절] ~이 된다[결과절]'라는 문장으로 연결된 형태이다. 서천군의 주술 속신어는 “도둑을 맞았을...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병과 치료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민간 속신어. 치료 속신어(治療 俗信語)는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민간 속신어의 기능 요소에 ‘병이 났을 때’가 들어간 속신어이다. 속신어는 한 문장에 반드시 조건절과 결과절이 결합되어 있다. ‘~하면[조건절] ~이 된다[결과절]’라는 문장으로 연결되는 형태이다. 서천군의 치료 속신어의 예로는 “병이 나서 두드러...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풍수지리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민간 속신어. 풍수 속신어(風水 俗信語)는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민간 속신어 중에서 풍수지리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속신어이다. 속신어는 한 문장에 반드시 조건절과 결과절이 결합되어 있다. ‘~하면[조건절] ~이 된다[결과절]’라는 문장으로 연결되는 형태이다. 서천군의 풍수 속신어는 “묏자리의 혈이 나비혈일...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꿈이나 해몽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민간 속신어. 해몽 속신어(解夢 俗信語)는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민간 속신어 중 꿈이나 해몽과 관련된 속신어이다. 신앙 형태 문장인 속신어의 기능 요소에 ‘꿈에’와 관련된 어휘가 들어가 있다. 일반적으로 속신어는 한 문장에 반드시 조건절과 결과절이 결합되어 있다. ‘~하면[조건절] ~이 된다[결과절]’라는 문...
금기어
-
충청남도 서천군에 전하여 내려오는 어업과 관련하여 피하거나 금기시 되는 말.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어업 금기어(漁業 禁忌語)는 사회적인 관습이나 미신적인 관념에 의거하여 어업과 관련한 상황에서 특정한 행동을 엄격히 금하는 말이다. 배를 타고 나가서 만선으로 돌아오는 것도 기쁘고 좋은 일이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고 없이 무사히 마을로 귀환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