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서천군에 있는 장항에 대한 이야기. 한여름이 되면 사람들이 한쪽에서는 잡초와 갈대가 무성하고, 다른 한쪽에서는 갯벌이 펼쳐진 곳으로 몰려드는 곳이 있다. 여름이 되면 ‘모래 날’을 지정하여 모래찜질을 하기도 한다.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의 장암리와 송림리 일대가 그러한 곳이다. 염분, 철분, 우라늄 성분이 많은 모래가 피부에 특히 좋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에는 부녀자들이...
-
충청남도 서천군을 대표하는 성리학자 이곡과 이색에 대한 이야기. 가정(稼亭) 이곡(李穀)[1298~1351]과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은 고려 후기를 대표하는 성리학자로서 무너져 가는 고려의 체제를 개혁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부자지간이었던 두 사람은 모두 고려와 원나라에서 과거에 합격하였고, 고려 중앙의 요직을 차지하며 온건 개혁파로서 활동하였다. 특히 이색은...
-
충청남도 서천군의 문호 신광수와 신석초에 대한 이야기. 충청남도 서천군은 석북(石北) 신광수(申光洙)[1712~1775] 네 남매를 포함하여 ‘고령 신씨(高靈 申氏) 8문장가’를 배출한 지역이다. 1950년대 한국 현대 문학 시인으로 명성을 떨친 후손 석초(石初) 신응식(申應植)[1909~1975]이 태어나고 자란 고향이기도 하다. 신광수를 비롯하여 고령 신씨 후손들이 성장하면서...
-
충청남도 서천군의 금강 하굿둑 건설과 인구 위기에 관한 이야기. 금강 하굿둑은 1983년 12월 착공하여, 1990년 11월 완공하였다. 길이 1,841m, 너비 51.5m, 높이 14.6m이다. 금강 하굿둑 위로는 4차로의 차도와 좌우 인도로 되어 있으며, 복선 철도가 개설될 수 있도록 하였다. 9,886㎢의 유역이 담수호로 변모하여 1억 3800만 톤의 물을 저수할 수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의 수리조합에 얽힌 이야기. 일제 강점기 서천 지역의 농업 발전은 서천 수리조합의 설립과 맥락을 같이한다. 원래 서천군은 충청남도에서도 작은 지역이었다. 하지만 비옥한 평야가 펼쳐져 있었기 때문에 서천군에서 생산된 미곡은 충청남도 전체 2위를 차지할 정도였다. 그만큼 서천은 농업의 비중이 매우 높은 곳이었다. 조선 총독부는 식민지 초기부터 서천의 미곡 생산 능력에 관...
-
충청남도 서천군의 장항 송림 맥문동에 대한 이야기. 서천군 장항 송림은 사계절 내내 전국에서 몰려드는 관관객들로 활기를 띠는 곳이다. 장항송림산림욕장에 식재된 70년생 곰솔[해송] 약 1,200본과 곰솔 아래 심어진 보랏빛 맥문동 꽃이 서해와 어우러져 바다, 하늘, 꽃을 동시에 감상하며 걷기 좋은 명소이기 때문이다. 장항송림산림욕장은 장항읍 송림리의 백사장과 해송 숲 일대를 가리키...
-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 봉선리에 있는 백제 시대 유적과 한산면 지현리에 있는 이중 구조의 복합식 산성. 서천 봉선리 유적은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 봉선리의 낮은 구릉성 산지에 있으며, 청동기 시대 생활 유적, 고대 백제의 생활 유적·분묘 유적·제사 유적, 조선 시대 생활 유적·분묘 유적 등이 중복 확인된 대규모 복합 유적이다. 청동기 시대에 처음 마을이 형성되었고, 원삼국 시대에...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볼만한 9경에 대한 이야기. 서천군의 9경은 1경 마량리 동백나무숲과 해돋이, 2경 신성리 갈대밭, 3경 한산모시마을, 4경 문헌서원, 5경 춘장대해수욕장, 6경 국립생태원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7경 금강 하구 철새 도래지, 8경 장항송림산림욕장과 장항스카이워크, 9경 유부도와 서천갯벌이다. 서천군의 9경은 서천군의 풍부한 생태 환경의 보고를 반영한 것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신산리에 있는 이하복 고택에 대한 이야기. 서천 이하복 고택(舒川 李夏馥 古宅)은 한산 이씨 출신 인물인 청암(靑菴) 이하복(李夏馥)[1911~1987]이 거주하였던 공간이다. 서천 이하복 고택은 전통 시대 농촌 사회의 전형적인 주거 공간의 형태를 보존하고 있어 문화적 가치가 높다. 또한, 이하복은 일제 강점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서천 지역의 교육 발전을...
-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판소리 명창 이동백과 김창룡에 대한 이야기. 충청남도 서천군은 중고제(中高制) 판소리가 융성하였던 지역이며, 현재 중고제 판소리의 전승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판소리 명창 중에는 이동백(李東伯)[1866~1949], 김창룡(金昌龍)[1872~1942] 등과 같이 서천군 출신이 많다. 서천의 소리를 노래한 국창(國唱) 이동백과 김창룡의 삶을 통하여 서천군의 판...
-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여류 시인인 임벽당 김씨와 부용당 신씨의 삶과 작품 세계. 조선 시대 3대 여류 시인으로 불리는 김임벽당(金林碧堂)[1492~1549], 신부용당(申芙蓉堂)[1732~1791]은 충청남도 서천군이 낳은 문인들이다. 임벽당 김씨는 비인현 도화동[현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에서 거주한 여성 문인이며, 『임벽당집(林碧堂集)』을 저술하였다. 부용당 신씨는 한...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서 전하는 모시짜기를 형상화하여 연행하는 민속놀이.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전승되어 오는 서천저산팔읍길쌈놀이는 서천군 한산면의 특산물인 한산모시를 길쌈하여 짜는 모습을 민속놀이의 형태로 재구성한 것이다. 저산팔읍(苧産八邑)은 한자 그대로 ‘모시의 생산지인 여덟 고을’을 뜻하는데, 충청남도의 한산, 서천, 비인, 남포, 홍산, 정산, 부여, 임천 지역을 칭하는...
-
충청남도 서천군에 있는 조선 시대 읍성에 대한 이야기. 서천 지역의 읍성은 금강과 관련이 매우 깊다. 교통이 발달하지 않았던 전근대 시대에는 강이 중요한 교통로 역할을 하였다. 강을 이용하면 바다에서 강의 상류 지역까지 쉽게 이동할 수 있었다. 금강은 오랫동안 서해와 충청남도 및 전라북도 내륙 지역을 이어 주는 교통로 역할을 하였다. 백제 시대 금강 유역을 중심으로 수도를 옮긴 것...
-
충청남도 서천군의 성경 전래에 대한 이야기. 조선은 사대교린 정책을 고수한 나라였다. 정부의 공식적인 사행 무역을 제외하고는 민간의 교류를 허락하지 않았다. 국경 도시인 의주와 동래를 통하여서만 다른 나라와의 교류가 가능하였으며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였다. 의주를 통하여서는 대륙의 명나라, 청나라와 교류하였으며, 동래를 통하여서는 해양의 일본과 교류하였다. 두 곳이 아닌 다른 곳...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에서 정월 초에 큰 규모로 행하여지는 당제에 대한 이야기.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는 바다가 육지 안쪽으로 깊숙이 들어오는 마량만(馬梁灣)의 초입에 있는데, 조선 후기에는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수군첨사(水軍僉使)]가 관할하던 마량진(馬梁鎭)이 설치되어 있었던 역사의 고장이다. 191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는 어업의 전진 기지 역할을 하면서 큰...
-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민족 지도자 이상재에 대한 이야기. 1957년 6월 28일, 월남 이상재에 대한 묘비 제막식이 있었다. 제막식은 경기도 양주군 장흥면 삼하리에서 거행되었다. 당시 참석자로는 대통령 이승만을 비롯하여 민의원 의장과 대법원장 등 정부의 주요 요인들의 거의 모두 참여하였다. 충청남도 선영의 유해가 30년 만에 양주로 옮겨지면서 동시에 묘비도 세우고 기념식도 개최하...
-
충청남도 서천군에 있는 장항제련소에 얽힌 이야기. 근대 도시로서 장항이 번성하게 된 계기와 장항제련소의 등장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장항제련소의 설립과 더불어 장항은 최고의 전성기를 누려 왔기 때문이다. 1930년대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와 일본 제국 정부는 금 광산의 개발을 위주로 정책을 바꾸기 시작하였다. 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많은 재원이 필요하였고, 이를 식민지 내 금...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의 전통주 한산소곡주에 대한 이야기. 서천군 한산면은 서천군의 동쪽에 위치한다. 서천군은 1914년 이전에는 한산군, 서천군, 비인군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1914년 일제 강점기에 한산군, 서천군, 비인군 3개 군을 합쳐 서천군으로 명명하였다. 1914년 이전 한산 지역에는 한산군의 관아가 있었고 한산군을 중심으로 9개 면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옛 한산군 지역...
-
금강 8경 중 1경이자 서천 9경 중 7경으로 선정된 금강 하굿둑 철새 도래지와 희귀 철새들의 낙원 유부도에 관한 이야기. 충청남도 서천군의 금강 하구는 금강이 긴 여행을 끝내고 서해 바다에 이르는 곳이자, 200리[78.6㎞]에 이르는 서천의 해안이 시작되는 곳이다. 서천군의 금강 하구는 백제 시대 기벌포처럼 일찍부터 사람들에게는 해양 교통로의 요지였고, 동물들에게는 강과 바다를...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에 있는 문헌서원에 대한 이야기. 문헌서원(文獻書院)은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에 있는 서원이다. 1594년 ‘효정사(孝靖祠)’라는 사당으로 건립되었으며, 1611년 ‘문헌(文獻)’이라는 이름을 사액받으면서 서원으로 확장되었다. 문헌서원에는 가정(稼亭) 이곡(李穀)[1298~1351]과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서 모시풀에서 얻은 모시실을 전통 베틀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방식으로 직조하는 기술. 모시풀은 쐐기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원줄기는 1.5~2m이고, 7~8월 담녹색 꽃이 이삭 모양으로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상부에는 암꽃이 피고 하부에 수꽃이 피는 자웅동주(雌雄同珠)이다. 모시는 모시풀 줄기의 속껍질에서 섬유를 뽑아 만든다. 모시풀은 보통 1년에 3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