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전개된 공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한 종교. 유교(儒敎)는 중국에서 기원한 종교이자 철학 사상으로 인(仁), 의(義), 예(禮), 지(智)의 가치를 중요시하며, 특히 부모에 대한 효(孝)와 군주에 대한 충(忠)을 강조한다. 유교는 이상적인 가족 제도와 군신 관계, 국가 제도 등을 체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발전하였는데, 한국 유교는 조선 시대부터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향교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에 있는 조선 전기 교육 기관. 비인향교(庇仁鄕校)는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에 있는 교육 기관으로 조선 시대 내내 존재하였다. 조선 건국 이후 유학이 장려되면서 향교 체제가 본격적으로 정비되었다. 1407년(태종 7) 체제가 확립되는데 이 시기에 비인향교가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경국대전』의 규정에 따라서 조선 전기 비인향교에는 종6품의 교수...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군사리에 있는 조선 전기 교육 기관. 서천향교(舒川鄕校)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군사리에 있는 교육 기관으로 조선 시대 내내 존재하였다. 조선 건국 이후 유학이 장려되면서 향교 체제가 본격적으로 정비되었다. 1407년(태종 7) 체제가 확립되는데 이 시기에 서천향교도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경국대전(經國大典)』의 규정에 따라서 조선 전기 서천향교에는 종...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에 있는 조선 전기 교육 기관. 한산향교(韓山鄕校)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에 있는 교육 기관으로 조선 시대 내내 존재하였다. 한산향교에 소장된 『유림록』에 따르면 고려 후기 충렬왕 대에 창설되었다고 전하나 명확한 전거를 제시한 것은 아니어서 신뢰하기 어렵다. 조선 시대에 들어와 유학이 강조되면서 1407년(태종 7) 전국에 향교 제도가 정비되었...
서원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지원리에 있었던 조선 후기 서원. 건암서원(建巖書院)은 이산보(李山甫)[1539~1594], 조헌(趙憲)[1544~1592], 조수륜(趙守倫)[1555~1612], 조속(趙涑)[1595~1668] 4인을 모신 서원이다. 이산보는 한산 이씨로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이며,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扈從)하였고, 대사간, 이조판서 등을 지냈다. 조헌은 배천 조씨로...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문헌서원(文獻書院)은 한산 이씨 가정(稼亭) 이곡(李穀)[1298~1351],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 현암(玄岩) 이종덕(李種德)[1351~1388], 인재(麟齋) 이종학(李鍾學)[1361~1392], 양경공(良景公) 이종선(李種善)[1368~1438], 한재(漢齋) 이맹균(李孟畇)[1371~1440],...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화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화산서원(華山書院)은 권벽(權擘)[1520~1593], 권변(權忭)[1651~1726], 권성(權惺)[1653~1730], 조수륜(趙守倫)[1555~1612], 권필(權韠)[1569~1612], 홍미(洪冞)[?~?], 권양(權讓)[1628~1697] 7인을 모신 서원이다. 권벽은 안동 권씨이며, 승문부제조와 강원도관찰사 등을...
사당·사우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에 있는 목은 이색의 초상을 봉안한 사당. 목은 이색 영당(牧隱 李穡 影堂)은 고려 후기 성리학자였던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의 초상을 봉안한 사당이다. 목은 이색 영당은 한산 이씨 8인을 배향한 문헌서원 안에 있다. 이색은 고려 후기를 대표하는 성리학자로 포은 정몽주, 야은 길재와 함께 ‘고려 삼은(三隱)’으로 불렸다. 이색 초상은...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지원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사우. 서천청덕사(舒川淸德祠)는 조선 전기 문관 백결재(白潔齋) 구종직(丘從直)[1404~1477]을 배향한 평해 구씨 문중 사당이다. 구종직은 1404년 출생하여 1444년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계유정난에 참여하여 원종공신에 책봉되었다. 이후 공조판서를 역임하고 1466년 세조가 실시한 특별 시험의 일종인 등준시에 합격하여 자헌대...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서천청절사(舒川淸節祠)는 기계 유씨 유기창(兪起昌)[1437~1514], 유여림(兪汝霖)[1476~1538], 유홍(兪泓)[1524~1594], 유황(兪榥)[1599~1655], 유계(兪棨)[1607~1664] 5인을 모시고 있다. 유기창은 1504년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유배되었고 사망할 때까지 연산군에 대한 절의를 지켰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구복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검산사(劍山祠)는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출신 구황(具滉)[1561~1600]을 배향하고 있다. 구황은 1583년 무과 알성시(謁聖試)에 급제하여 무신으로 활동하였다. 임진왜란 중에 함경남도 단천 지역에서 일본군과 싸워 승리하였으며, 1600년 7월 15일 함경북도 회령 지역에서 여진과의 전투 중에 전사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원산리에 있는 개항기 사당. 도충사(道忠祠)는 최치원(崔致遠), 최청(崔淸), 최몽량(崔夢亮) 등을 배향하고 있는 사당이다. 최치원[857~?]은 통일 신라 사람으로 당나라 빈공과에 급제하였으며 조선 시대 여러 서원과 사우에서 배향되었다. 최청은 고려 후기 중서시랑 등을 지낸 문신으로 1384년 검교정승이 되었으나 혼란한 조정에 실망하여 사퇴하였고, 조선 태...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옥산리에 있는 사당. 옥남사(玉南祠)는 두남(斗南) 나광현(羅光賢)[1808~1860]을 배향하고 있다. 나광현은 본관이 나주이며,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증직되었다. 어려서부터 문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고, 성인이 되어서는 효행이 지극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서천 지역의 나주 나씨 가계는 나세(羅世)를 중시조로 하는 연안군파를 중심으로 세거하였던 것으로 나...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옥산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사당. 옥산사(玉山祠)는 파평 윤씨 윤광의(尹珖儀)[1826~1904]를 모시고 있다. 윤광의는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옥산리에서 윤영규의 아들로 태어났다. 윤영규는 파평 윤씨 5효자 중 한 명으로 어머니가 병에 걸렸을 때 지극정성으로 간호하고, 아버지가 죽은 후 3년상을 극진히 모셔 칭송을 받았다고 한다. 이러한 효행으로 윤영규는...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율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율리사(栗里祠)는 평산 신씨 신숭겸(申崇謙)[?~927]을 비롯하여 신현(申賢), 신혼(申琿), 신연(申演), 신기(申淇), 신철(申澈), 신오(申澳) 등 7명을 배향한 평산 신씨 문중 사당이다. 평산 신씨의 시조인 신숭겸은 고려의 개국 공신으로 왕건을 도와 고려를 건국하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 신현은 고려 시대 광록대부를 지...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주항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사당. 충양사(忠襄祠)는 청주 한씨 한명회(韓明澮)[1415~1487], 한보(韓堡)[1447~1522], 한여복(韓汝復)[1584~1648] 등 3인을 모신 사당이다. 한명회는 청주 한씨의 중시조로 조선 전기 계유정난을 주도하여 세조를 즉위시키는 데 공을 세웠다. 세조 즉위 후에도 정난공신, 좌익공신, 익대공신, 좌리공신 등에서 모...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에 있는 사당. 흥산사(興山祠)는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에 있는 사당으로, 김양언(金良彦)[1583~1627]을 배향하고 있다. 김양언은 평안남도 강서군 출신으로 본관은 진주이다. 김양언은 조선 후기 이괄의 난 때 활약하여 진무공신(振武功臣)에 녹훈되었다. 이후 정묘호란 때 자발적으로 군병을 모집하여 전투에 참여하였는데, 평안도안주방어사 김준(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