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서천문화대전 > 서천향토문화백과 > 삶의 터전(지리) > 자연 지리
-
충청남도 서천군의 지형, 지질, 기후 등의 자연환경. 서천군은 충청남도 서남단에 있으며, 동쪽으로 충청남도 부여군, 북쪽으로 충청남도 보령시, 남쪽으로 금강을 경계로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익산시와 경계를 이룬다. 서쪽으로는 서해와 접하고 있으므로 임해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서천군의 총면적은 366.12㎢로, 충청남도 총면적 8,266㎢의 4.45%에 해당한다. 서천군의 자연...
-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나타나는 지표면의 기복 및 형태. 충청남도 서천군은 충청남도 보령시, 부여군, 전북특별자치도와 접한다. 각각의 경계는 대부분 산지나 하천으로 구분되고 있다. 보령시와의 경계는 하천과 일부 산지로, 부여군과의 경계는 산지와 일부 하천으로, 전북특별자치도와의 경계는 금강으로 구분되고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의 지각을 구성한 암석이나 지각의 구조 및 역사. 서천군의 지체 구조의 형성을 한국의 지질 연대표로 보면, 시생대에 옥천계(沃川系), 마천계(摩天系), 화강 편마암계(花崗 片麻巖系)가 형성되었고, 이후 고생대의 조륙 운동(造陸 運動), 중생대의 조산 운동(造山 運動)을 겪었다. 약 1억 5000만 년 전 중생대 쥐라기 대보 운동(大寶 運動)으로, 중국 방향의 차령산맥...
-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지표면을 덮고 있는 부드러운 표토. 충청남도 서천군의 토양 분포를 보면, 모암이 대부분 화강암이다. 정적토가 많으며, 강우가 여름에 집중되어서 식생이 적으므로 토양이 모암, 즉 화강암의 성질을 나타낸다. 북쪽의 산악 지대는 삼림토, 구릉지는 전토, 남쪽의 충적 지대는 답토이다. 북쪽 산악 지대에는 갈색 삼림토가 분포한다. 사양질토 또는 양질토로 배수가 양호하...
-
충청남도 서천군의 바다와 접한 육지 지역. 금강 하구는 강경까지 요곡(橈曲)이므로 과거 큰 배들이 출입하였고, 조차는 5.6m로 조수가 부여읍까지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지금의 임천 이하의 금강 물은 염분으로 인하여 농업용수로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오랫동안의 지질 시대를 통하여 금강의 지류인 나교천, 단상천, 완포천, 옥포천, 길산천, 송내천 등의 하류에 차령산맥에서 내려온 퇴...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규칙적으로 되풀이되는 대기 현상의 종합적인 평균 상태. 충청남도 서천군은 대기후(大氣候)의 측면에서 온대 기후에 속하기 때문에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하다. 또한 아시아 계절풍 지대에 속하므로 여름에는 해양성의 습윤한 남서풍이 불고, 겨울에는 기압 차로 인하여 대륙성 북서풍이 불어 한랭 건조하다. 따라서 서천군의 날씨는 여름과 겨울이 대조적으로 나타난다. 서천군의...
-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자연의 예기치 않은 변동에 의하여 일어난 피해. 「자연재해대책법」 1장 2조 1항은 재해를 ‘태풍, 홍수, 호우, 폭풍, 해일, 폭설, 가뭄, 지진 또는 기타 이에 준하는 자연 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피해’로 정의하고 있다. 다른 말로는 천재지변이라고도 한다. 자연재해는 발생 원인에 따라 홍수, 태풍, 가뭄, 폭풍, 냉해, 폭설 등의 이상 기상·악기상에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