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에 있는 근대 역사 문화 공간. 서천 판교 근대역사문화공간(舒川 板橋 近代歷史文化空間)은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에 있는 7개의 근대 건축물을 말한다. 서천 판교 구 동일정미소, 서천 판교 구 동일주조장,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 1, 서천 판교 구 삼화정미소,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 2, 서천 판교 구 중대본부, 서천 판교 구 판교극장을 가리킨다....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창선리에 있는 근대 문화 시설. 서천 구 장항미곡창고(舒川 舊 長項米穀倉庫)는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장산로 323[창선1리 308]에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에 있는 정미소. 서천 판교 구 동일정미소(舒川 板橋 舊 동일精米所)는 서천 판교 구 동일주조장과 같은 마당을 공유하고 있다. 서천 판교 구 동일정미소는 주조장에 원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로 설치된 정미소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주조장. 서천 판교 구 동일주조장(舒川 板橋 舊 동일酒造場)은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에 있는 산업 시설 중에서 유일한 주조장이다. 일제 강점기 판교 지역의 중심가였던 T자형 도로 근처에 있는 건물이다. 상량문에 따르면 1932년 건축되었다. 판교 지역의 도로는 일제 강점기에 개설된 것으로, 현재 현암리의 행정 중심 영역과 인접하여 있...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정미소. 서천 판교 구 삼화정미소(舒川 板橋 舊 三和精米所)는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종판로887번길 6-1[현암리 256-4]에 있다. 과거 판교 지역의 중심가였던 ‘T’자형 도로에 인접하여 있고 두 도로의 교차점에 있다. 근현대 판교 지역의 중심 상권에 해당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에 있는 행정 시설. 서천 판교 구 중대본부는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종판로 881-2[현암리 234-29]에 있다. 과거 판교면사무소가 건물 뒤편에 있을 때에 행정 보조 시설 역할을 하였다. 행정 시설로 공간적 연계성과 변화 과정이 잘 남아 있다. 또한 과거 판교 지역의 중심가였던 T자형 도로에 인접하고 구 판교역과 가까이에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에 있는 문화 시설. 서천 판교 구 판교극장(舒川 板橋 舊 板橋劇場)은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종판로 896-6[현암리 145-5]에 있다. 서천 판교 근대역사문화공간의 다른 근현대 건물과는 달리 ‘T’자형 도로가 아니라 판교역에서 약 50m 떨어진 곳에 있다. 이로 보아 일제 강점기 이후 ‘T’자형 도로에 집중된 도시 공간 구조가 변화된 것을 보여 주...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상가 건물.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舒川 板橋 近代商家住宅) 1은 1932년 일본인에 의하여 건립된 2층의 목조 건물이며, 근현대 판교 지역의 번영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상업 시설이다. 일제 강점기 판교 시장의 중요한 진입 부분에 세운 시설로 서천 지역 근현대사에서 중요한 장소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상업 건물.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舒川 板橋 近代商家住宅) 2는 1931년 건립된 1층 목조 건물로 근현대 판교 지역의 번영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상업 시설이다. 일제 강점기 판교역으로 향하는 진입 도로와 ‘T’자형 도로가 서로 만나는 결절 지점에 있으며 판교 시가지 공간 구조 내에서 매우 중요하고 핵심적인 장소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에 있는 조선 시대 정자. 동백정(冬柏亭)은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서인로235번길 103[마량리 313-4]에 있다. 높이 30m 정도 되는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언덕의 정상부에 있다. 동쪽은 동백나무 숲이 있고, 서쪽과 북쪽 바닷가는 곰솔 숲이 둘러싸고 있는 한가운데에 우뚝 서 있다....
탑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에 있는 고려 시대 석탑.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舒川 城北里 五層石塔)은 대표적인 백제 양식 석탑이다. 축조 시기에 대하여 백제 시대 축조설, 통일 신라 시대 축조설, 고려 시대 축조설 등 여러 가지 견해가 있으나 고려 시대 축조설이 가장 유력하다. 백제 양식 석탑은 익산 미륵사지 서탑과 부여 정림사지 석탑을 본떠 축조한 석탑으로 백제계 석탑으로도 불린...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에 있는 고려 시대 석탑. 봉남리삼층석탑(峰南里三層石塔)은 봉남리사지에 있다. 봉남리사지에서 우물이 있는 곳 주변에 많은 기와편들이 산재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봉남리사지에는 기와 건물인 사찰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수습된 기와를 보면, 통일 신라 시대에서 고려 시대에 걸쳐 유행하였던 선문과 사선복합문, 사격자문, 집선문 등이 타날되어 있다. 기와 가운...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수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석탑. 수암리삼층석탑(水岩里三層石塔)은 기단부의 귀꽃과 문비[문짝]의 장식, 지붕돌의 형태 등으로 보아 고려 전기 석탑으로 보는 견해도 있으나 조선 후기 수암리를 관할하던 한 좌수(座首)가 풍년을 기원하기 위하여 탑을 세웠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지석리에 있는 고려 시대 석탑. 지석리삼층석탑(支石里三層石塔)은 기단에 새긴 안상 조각과 간략하여진 탑의 구성 양식으로 볼 때 고려 시대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는 희리산 동쪽에 있는 지석리사지에 있었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 일본인들이 지석리삼층석탑을 일본으로 반출하려고 현재의 장소로 운반하였으나 지역 주민들의 강한 반발로 가져가지 못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에 있는 고려 시대 석탑. 지현리삼층석탑(芝峴里三層石塔)은 991년(고려 성종 10) 축조되었으며, 한산읍성 아래에 있는 한산 이씨 시조 호장 이윤경(李允卿)의 묘 부근에 있다. 지현리삼층석탑 주위에는 기와편, 토기편, 자기편 등이 산재하여 있기 때문에 절터나 건물터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산성
-
충청남도 서천군에 있는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흙이나 돌로 쌓아 만든 방어 시설. 충청남도 서천군 일대에는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 산성(山城)들과 읍성(邑城), 진성(鎭城), 봉수(烽燧) 등 다양한 관방 유적들이 산재하여 있다. 관방 유적들은 모두 구릉의 정상 및 야산의 정상에 있다. 모든 관방 유적의 축조 시기를 알 수는 없지만, 해안가에 있는 서천의 지리적 위치와 백제의...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관적곡산성(觀寂谷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검로 94-107[성내리 산8]에 있다. 비인면 동쪽에 높게 솟아 있는 월명산의 중심선 중 북쪽 끝단 관적곡에 있다. 관적곡산성 주변으로는 북쪽에 태매산이 마주하는데, 중심 능선이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뻗어 있어 가림막이 되어 준다. 또한 서쪽은 월명산에서 뻗어 내려온 가지...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지산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갈물리산성(葛勿里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지산리 산54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이다. 갈물리산성이 있는 곳은 동쪽 라궁천과 서편 길산천 사이에 솟아 있는 마을 뒤편의 나지막한 구릉성 야산이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는 지형에 해당한다. 북쪽의 부여군 옥산면 가덕리와 통하는 교통로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둔덕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둔덕리산성(屯德里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둔덕리 산4-2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이다. 서천군 서천읍에서 부여군 옥산면 가덕리로 연결되는 산간 교통로의 초입 부분에 있다. 둔덕리 앞쪽에 있는 소산봉(小山峰)에 둔덕리산성이 있다. 둔덕리산성의 동쪽으로는 금성산과 마주하며, 북쪽으로는 봉림산, 천방산이 가로막고 있다. 따라서...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만덕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만덕리산성(萬德里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만덕리 134-5에 있다. 지형은 동쪽 천방산, 서쪽 문수산 등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서천읍 북부 산간 지대이다. 만덕리산성은 부여군 홍산면에서 서천과 경계를 이루는 원진산을 넘어 서천 복대리를 통하여 서천읍으로 연결된 교통로에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벽오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벽오리산성(碧梧里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벽오리 산17-7 일원에 있다. 벽오마을 뒤쪽 월명산[마산면]의 정상부에 있다. 남쪽으로 건지산, 동쪽으로 부여군 시루산이 보이고, 서쪽으로 풍정리산성과 마주하고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봉남리산성(烽南里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에 있으며, 남산 남쪽 가까이에 있다. 봉남리 주변은 낮은 구릉이 넓게 굽이지는 지형을 이루고 있다. 『대동지지』 서천 성지조에서 관련 기록을 찾아볼 수 있는데 “고읍성 재령취산정 주일천오백사십오척 내유일정 세종시 이기지기측조절 이우금치 기하우유고읍기지(古邑城 在靈鷲山頂 周...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불당곡산성(佛堂谷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비인로172번길 36-19[성내리 산13-1]에 있다. 불당곡산성은 덕명동산성(德明洞山城)이라고도 부른다. 비인면 동쪽에 높게 솟아 있는 월명산에서 서쪽으로 뻗어 내린 능선 말단부[높이 140m]와 주변 사면부를 감싸고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산천리산성(山川里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 산30에 있다. 산천리 마을 뒷산 남쪽 끝자락에 있다. 산천리는 서천군의 북쪽에서부터 서천읍으로 연결되는 판교천 변에 접한 산간 지대이다. 북쪽으로는 희리산 및 문수산의 주요 능선이 남북 방향으로 길게 이어져 인접하고, 남쪽과 서쪽은 길게 뻗어 내려간 화산, 두름산, 왕심...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에 있는 포곡식 산성. 서천 건지산성(舒川 乾芝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건지산길 122[호암리 산4-2]에 있다. 서천 건지산성이 있는 곳은 건지산이 높게 솟아 있는 산간 지역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에 있는 산성. 서천남산성(舒川南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소재지와 금강 하구 사이에 형성된 나지막한 야산성 구릉 지대에 있다. 주변으로는 서쪽과 남쪽으로 굽이지는 해안과 하구가 접하고, 동쪽과 북쪽은 서천군을 가로지르는 판교천과 길산천 변의 넓은 충적지가 마주한다. 따라서 산 위에서는 주변의 넓은 충적 대지와 함께 서해안 및 금강 하구까지 한눈에...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옥북리에 있는 삼국 시대 혹은 고려 시대 산성. 서태산성(西台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옥북리 산38-3 분절마을 뒤쪽에 솟아 있는 서태산 정상부[높이 104m]에 있다. 남산의 남쪽 근거리에 있는 구릉성 야산 지대에 해당하며 서쪽으로 옥남리 일원의 해안과 근접하여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선도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선도리산성(船島里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선도리 268-13 일원 용수마을 뒷산 곤주산의 높이 30m 정상부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이다. 동북쪽 태매산 일원의 주 능선에서 남서쪽으로 길게 뻗어 나간 능선이 점점 낮아지면서 만들어진 나지막한 구릉 맨 끝단에 해당한다. 주변으로 서쪽은 바다와 가깝고, 남쪽·동쪽·북쪽이 산지...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성북리산성(城北里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興地勝覽)』 비인현(庇仁縣) 고읍성조(古邑城條)와 『대동지지(大東地志)』 성지(城池)를 살펴보면, 비인에는 고성(古城) 두 개가 있는데 하나는 치소에서 서쪽 2리[약 0.78㎞]에 있으며, “토축 주팔백이십팔척 내유정금...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원수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송내리산성(松內里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원수리 산6-1에 있다. 서천군 장항읍 원수리와 마서면 송내리 사이의 왕갯산에 있다. 남쪽으로 금강 하구와 접하는 구릉성 야산 지대에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영모리산성(永慕里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 산33 냄배마을 뒷산에 있다. 영모리산성은 서천 건지산성[사적]의 서남벽에서 남쪽으로 완만하게 뻗어 내린 능선 끝자락의 정상부에 있으며, 서천 건지산성에서 약 400m 정도 떨어져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에 있는 삼국 시대 백제 추정 산성. 월명산성(月明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 산11 일원에 있다. 높이 298m의 월명산[비인면]은 북쪽으로 태매산과 접하고, 남쪽으로 길게 뻗어나가 황소배산과 이어진다. 월명산성은 월명산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에 있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길게 늘어선 능선 선상부를 통하여 비인면의 서쪽 해안과 동쪽 내륙을 포함...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여사리에 있는 산성. 월성산성(月城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여사리 산14 월성산 정상부[높이 138m]에 있다. 월성산성이 있는 곳은 동쪽의 원산천과 서쪽의 단상천 사이에 솟아 있는 야산이 남북 방향으로 거미줄처럼 뻗어 있는 구릉성 산간 지대에 해당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장구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장구리산성(長久里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장구리 산14-9 일원에 있다. 장구리산성은 장구리의 테뫼산 정상부[높이 100m]에 있으며, 고려 시대 이전에 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북쪽의 문수산에서 뻗어 내려온 지맥이 서천읍 신송리까지 연결된 산지이다. 북쪽은 화산, 남쪽은 왕심산, 동쪽은 두름산이 접하고 있어 시야가 그...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장포리 포성대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장포리산성(長浦里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장포리 포성대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이다. 백제 토기완(土器盌)이 출토되어 국립부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저산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저산리산성(苧山里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저산리 산1-1에 있다. 높이 120m 마을 뒷산 정상부에 있으며, 부여 홍산에서 원진산을 넘어 서천군 판교면 복대리로 진입하는 산간 통로 한가운데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덕암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중태산성(中台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덕암리 산132에 있다. 북쪽으로 남산이 있다. 중태산성이 있는 지형은 금강 하구 사이의 충적지에 거미줄처럼 뻗어 있는 구릉성 야산 지대에 해당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지원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지원리산성(支院里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지원리 산5-1 마을 뒤쪽에 솟아 있는 테뫼산[높이 135m] 정상에 있다. 지원리산성이 있는 곳은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과 경계를 이루는 서쪽 원진산과 동쪽 노고산 줄기 사이에 형성된 서천군 북부의 산간 지대에 해당한다. 홍산 쪽의 가덕리에서 지원리로 연결되는 산간 교통로에 있...
-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 봉선리에 있는 산성. 태성리산성(台城里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 봉선리 산3과 태성리 산10-1에 걸쳐 있다. 부여군 남면 금천리에 서천 지산리와 봉선리, 태성리로 연결되는 산간 교통로 선상에 해당한다. 태성리 수왕마을 뒷산 높이 101m의 정상부에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태월리에 있는 산성. 태월리산성(台月里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태월리 산49-9 태봉산에 있다. 북쪽으로 서부저수지에서 연결되는 산간 지대가 거미줄처럼 뻗어 있고, 남쪽으로는 오석산과 서천읍성이 있는 군사리 일원으로 산지가 연결된다....
-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 풍정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풍정리산성(豊亭里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 풍정리 산2-15에 있다. 풍정마을 앞쪽의 야산, 즉 현재의 동부저수지[또는 봉선지] 서쪽에 솟아 있는 야산 정상부[높이 95m]에 있다. 풍정리산성이 있는 곳은 북쪽의 부여군 홍산에서 남쪽으로 연결된 산간 교통로에 해당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한성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한성리산성(漢城里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장천로 749번길[한성리 297-1]에 있다. 남동쪽의 남산에서 서북쪽으로 뻗어 나간 지맥이 해안에 인접하여 마무리되는 야산 구릉 지대, 즉 서천군 서쪽의 갈목 해안과 인접한 한성리 마동의 뒷산에 있다. 동쪽은 서천군을 가로지르는 판교천이 해안으로 접하는 넓은 충적지와 접하고,...
읍성∙진성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에 있는 조선 시대 진성. 마량진(馬梁鎭)은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가 관할하던 진이며, 마량진성(馬梁鎭城)은 1510년(중종 5)에 남포현(藍浦縣)[현재 충청남도 보령군 웅천읍] 광암(廣岩)에 둘레 1,371척[415m], 높이 9척[2.7m]으로 돌로 쌓은 성이다. 1655년(효종 6) 이상진(李尙眞)이 순무(巡撫)차 마량진에 왔다가 지세를 살펴보고...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에 있는 조선 시대 읍성. 비인읍성(庇仁邑城)에 대한 기록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읍성은 석성이고, 둘레가 1,933척 8촌[약 586m]이고, 선덕 5년 청화역 동쪽에 축조하고 비인현의 치소를 옮겼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선덕 5년, 즉 1430년 당시에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문종실록(文宗實錄)』 문종 1년(1...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군사리에 있는 조선 시대 읍성. 서천읍성(舒川邑城)과 관련하여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를 보면 “운은산(雲銀山) 아래에 있는데, 둘레가 160보 4척[1.2m]이며, 험조(險阻)하다. 안에 우물 1개가 있는데, 겨울이나 여름에도 마르지 아니하며, 군창(軍倉)이 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돌로 쌓았는데...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장암리에 있는 고려 시대 및 조선 시대 추정 석축 진성. 장암진성(長巖鎭城)은 금강 하구에 있는 구릉성 야산 지대에 있다. 서해안과 금강을 드나드는 출입구 주변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곳이며 유사시 신속한 이동으로 공격과 방어가 가능한 요충지이다. 장암리 앞뜰은 오래전부터 기벌포, 지화포, 손량, 장암포, 서천포, 백강진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이...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에 있는 조선 시대 읍성. 고려 후기~조선 전기 시기 매우 많은 왜구가 한반도를 침략하였다. 특히 서해안 일대에 다수 출현하였으며 그중 일부는 금강을 통하여 내륙으로 진출하기도 하였다. 한산읍성(韓山邑城)은 금강 하구에 있으며 금강의 길목을 지키는 위치이다. 충청남도 서해안에 있는 많은 읍성들과 마찬가지로 한산읍성은 조선 전기에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비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죽촌리에 있는 이종선의 효행을 기리는 비석. 서천 이종선 효자비(舒川 李種善 孝子碑)는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셋째 아들 이종선(李種善)[1368~1438]의 효행을 기려 세운 비석이다. 이종선은 이색 사망 이후 3년 동안 여묘살이를 하여 효자로 알려졌다. 이종선은 1382년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낭장(郞將), 판추(判樞)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아버지...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에 있는 목은 이색의 공덕을 기리는 신도비. 이색신도비(李穡神道碑)는 고려 후기 성리학자로 유명하였던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의 학문적 업적과 공덕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비석이다. 이색은 고려 후기의 대표적인 성리학자로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야은(冶隱) 길재(吉再)와 함께 고려 삼은(三隱)으로 불렸다. 이색은 1353년(공...
고분∙능묘
-
충청남도 서천군에 조성된 고분. 고분(古墳)은 사후 세계의 인식을 바탕으로 죽은 자를 위하여 만든 것이다. 그러므로 고분을 축조한 시기의 생활상을 엿볼수 있어 당시의 생활상을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고고학 자료이다. 충청남도 서천에서 확인된 역사 시대 고분은 총 43곳으로 지표 조사와 발굴 조사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기산면 2기, 마산면 3기, 마서면 5기,...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개야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서천 개야리 고인돌(舒川 介也里 고인돌)은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개야리 80 일원에 있는 덮개식 고인돌이다. 개야리 마을회관에서 북쪽으로 약 5m 떨어진 곳에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광암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군. 서천 광암리 쌍암 고인돌(舒川 光岩里 쌍암 고인돌)은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광암리 242-3 일원에 있다. 광사리에서 광암으로 넘어가는 곳에 있는 쌍암고개에서 숭정산으로 뻗어 내린 완만한 능선상에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군. 서천 산천리 윗말 고인돌군(舒川 山川里 윗말 고인돌군)은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 572 일원으로 산천리 마을회관에서 200m 떨어진 논에 있다.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동쪽은 넓은 평지로 트여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원두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서천 원두리 동포 고인돌(舒川 元頭里 동포 고인돌)은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원두리 419에 있는 덮개식 고인돌이다. 청동기 시대에는 바닷물이 근처까지 들어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은곡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서천 은곡리 칠성바위 고인돌(舒川 恩谷里 칠성바위 고인돌)은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은곡리 426-1 일원의 은곡리 마을회관 동쪽에 있는 덮개식 고인돌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주항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군. 서천 주항리 칠성바위 고인돌(舒川 酒缸里 칠성바위 고인돌)은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주항리 68에 있다. 개야리 마을회관에서 칠성초등학교 방면에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계동리에 있는 삼국 시대 백제 고분.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계동리 244-4 일원으로 계룡마을 북쪽에서 흘러내린 능선의 남향 경사면 중간에 있다. 주변에 서천 옥북리 유적과 서천 추동리 유적 등이 밀집되어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관리에 있는 삼국 시대 백제 고분군. 서천 관리 고분은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관리 산86-1 일원에 있다. 서천군 예비군 종합 훈련장 주변의 남사면 중하단부에 해당한다. 고분이 있는 지형은 낮은 구릉이 북동에서 남서로 이어지는 능선을 중심으로, 남쪽에 넓게 펼쳐지며 경작지를 이루고 해안에 연결되는 지형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둔덕리에 있는 삼국 시대 백제 고분군. 서천 둔덕리 고분군은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둔덕리 530-1 일원, 둔덕이마을의 서쪽에 있는 용학산의 남사면 중상단부에 있다. 용학산에는 상단부에 서천 둔덕리 고분군, 하단부에 서천 둔덕리 화장분묘가 있어, 삼국 시대 백제의 고분 밀집 지역으로 추정된다....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수암리에 있는 삼국 시대 백제 고분군.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수암리 산56-1, 신농저수지 인근 정수골마을의 서쪽에 있다. 고분은 표고 260m의 일명 당제봉에서 동쪽으로 흘러 내린 능선의 남쪽 경사면 중하단부에 해당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수암리에 있는 삼국 시대 백제 고분군.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수암리 416-1, 신농저수지 인근의 수암리 정수골마을의 뒷산 남쪽 산사면 중단부에 있다. 주변의 지형 현황으로 미루어 볼 때, 노출되어 있는 고분군 이외에도 다수의 고분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신포리에 있는 고분.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신포리 267-12 일원,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덕암리의 폐교된 장선초등학교와 아포마을 사이에 있는 표고 60m 내외의 낮은 야산 남쪽 경사면에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오석리에 있는 고분군. 서천 오석리 진재 고분군(舒川 烏石里 진재 古墳群)은 인근에 공주대학교 박물관에서 조사한 서천 오석리 유적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함께 연결된 고분군으로 이해할 수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옥포리에 있는 삼국 시대 백제 고분. 서천 옥포리 고분은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옥포리 431-1 일원의 화양초등학교 북쪽 구릉의 남쪽 경사면 중하단부에 있다. 서천 옥포리 고분이 있는 지역은 북쪽의 화양산에서 남쪽으로 뻗어 내린 능선의 최남단으로, 망천 뒷산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이사리에 있는 삼국 시대 백제 고분. 서천 이사리 감저울 고분(舒川 梨寺里 감저울 古墳)은 산 정상에서 서쪽으로 길게 흘러내린 능선의 중상단에 2기의 고분이 노출되어 있다. 주위는 감나무 과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칠지리에 있는 삼국 시대 백제 고분. 서천 칠지리 사동 고분군은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칠지리에 있는 백제 사비기 고분군이다. 석실분의 축조 양상, 출토 유물이 백제가 충청남도 부여군에 도읍하였던 사비기에 성행한 것임을 통하여 볼 때 고분군의 축조 시기는 삼국 시대 백제 후기로 추정된다....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당정리에 있는 백제 시대 고분군. 서천당정리고분군(舒川堂丁里古墳群)은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당정리 17-4 일원에 있으며, 서해안고속도로와 국도 제21호 사이의 화산에서 북서쪽 능선의 남향 사면 하단부에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둔덕리에 있는 삼국 시대 백제 화장묘. 서천 둔덕리 화장분묘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소재지에서 북동쪽으로 약 3.5㎞ 정도 거리에 있는 둔덕리 마을에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광암리에 있는 조선 전기 가정 이곡의 묘. 서천 이곡(舒川 李穀)의 묘는 고려 후기의 성리학자 가정(稼亭) 이곡(李穀)[1298~1351]의 묘이다. 이곡은 고려 후기 성리학자로 고려 삼은(三隱) 중 한 명이었던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아버지이다. 이곡은 고려의 과거에 급제하였을 뿐 아니라 원나라의 과거에도 급제하여 원나라와 고려에서 모두 관직을 수행하였...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에 있는 목은 이색 등의 묘지와 일대의 유적. 이색선생묘일원(李穡先生墓一圓)은 고려 후기의 성리학자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 등의 묘지와 일대의 유적이다. 이색은 고려 후기의 성리학자로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야은(冶隱) 길재(吉再)와 함께 고려 삼은(三隱)으로 불렸다. 이색은 1353년 고려에서 장원 급제하였으며, 1354년...
사지
-
충청남도 서천군에 있는 백제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절터. 서천 지역에는 70여 개가 넘는 사찰 관련 유적이 확인된다. 전통 사찰이 2개소, 사지(寺址)[절터]가 56개소, 그리고 석탑과 불상 등의 유물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절터가 지표 조사와 관련하여 확인된 것들이어서 시대 편년을 명확히 알 수 있는 것은 많지 않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가공리에 있는 조선 시대 절터. 가공리사지는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 193번길[가공리 52] 일원에 있다. 기산면 황사리에서 쌍암고개를 넘어 가면 ‘목은 선생 유적지’ 팻말이 보이는데, 길을 따라 약 3㎞ 정도 이동하면 온근절마을이 나온다. 가공리사지는 온근절마을의 남쪽 사면에서 확인된다. 야산[높이 116m]의 북향 사면 계곡부에 있는데, 갬절사지의...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신검리에 있는 절터. 개복사지(開福寺址)는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신검리 10 일원에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화산리(華山里)에 있는 조선 시대 절터. 갬절사지는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화산리(華山里) 23 일원의 수출마을 동쪽 골짜기 ‘갬절’에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에 있는 고려 시대 절터. 관사지(觀寺址)는 1871년 편찬된 『호서읍지(湖西邑誌)』에 관사가 “현의 동쪽인 검성산(劒城山)에 있었으나 현재는 없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1872년 작성된 「비인현 지도」에는 ‘관사구기(觀寺舊基)’로 기록되어 있어 사찰은 19세기 말에 폐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둔덕리에 있는 조선 시대 절터. 둔덕리 월지사지(屯德里 月支寺址)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둔덕리 545 일원에 있다. 월지마을 뒷산 남향 사면 중상단부 높이 142m에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두왕리에 있는 조선 시대 절터. 선왕절사지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두왕리 455 일원에 있으며, 태봉산 동쪽 끝자락에 있는 두왕리 선왕절마을 내에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에 있는 고려 시대 절터. 성북리사지(城北里寺址)는 출토된 유물을 통하여 고려 시대에 사찰이 운영되다가 조선 시대에 폐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구동리에 있는 고려 시대 절터. 수암리사지(水岩里寺址)는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수암리 231 일원에 해당하며, 천방산 아래 탑골마을의 북서쪽에 있다. 인근에 문산저수지가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에 있는 고려 후기부터 조선 시대의 절터. 숭정사(崇井寺)는 고려 후기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이 유년기 지인들과 함께 공부한 곳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사역에서 이와 관련된 건물터는 확인되지 않는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한산군(韓山郡) 불우조(佛宇條)에 숭정사가 기린산(麒麟山)에 있다고 하였으나 『범우고(梵宇攷)』...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신산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부터 고려 시대 절터. 신산리사지(辛山里寺址)는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신산리 229-1 일원에 있다. 서천읍 소재지에서 지방도 제602호를 따라 동쪽으로 약 5.2㎞ 정도 가면 신산리에 이르는데, 출토 유물 현황을 볼 때 신산리사지는 신산리 북쪽 야산의 경작지 및 밤나무 단지로 추정된다. 경작지를 조성하면서 대지가 많이 깎인 것...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남성리에 있는 고려 후기부터 조선 시대 절터.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의 『목은집(牧隱集)』에 실린 시구를 통하여 일광사(日光寺)가 이미 고려 후기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조선 시대의 지리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여지도서(輿地圖書)』, 『범우고(梵宇攷)』, 『충청도읍지(忠淸道邑誌)』 등에도 사명(寺名)이 전하는...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지석리에 있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 절터. 지석리사지(支石里寺址)는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지석리 산17-18 일원에 있다. 희리산 동쪽 구릉의 북동향 사면에 있다. 지석리 수소마을에서 이어지는 등산로를 따라 오르면 지석리사지에 이른다. 마을 주민에 따르면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지석길 39-28[지석리 26]에 있는 지석리삼층석탑이 일제 강점기 지석리사...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에 있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 절터. 지현리사지(芝峴里寺址)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한마로61번길 20[지현리 276] 일원에 있다. 건지산 남동사면 하단부에 해당한다....
유적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당정리에 있는 원삼국 시대부터 백제 한성기의 분묘군. 서천 당정리 유적(舒川 堂丁里 遺蹟)은 서해안고속도로 공사를 위한 토사 채취 과정에서 1998년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 의하여 조사되었다. 조사 결과 원삼국 시대부터 백제 한성기 주구묘(周溝墓) 23기와 송국리형 주거지 17기가 조사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덕암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복합 유적. 서천 덕암리 유적(舒川 德岩里 遺蹟)은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생활 유구와 분묘 유구가 확인되는 유적으로 장항-군산간 철도 연결 노반 신설 공사 중 신장항정거장 진입 도로 부지에 대한 발굴 조사에서 확인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도삼리 일원에 있는 청동기 시대 주거지. 서천 도삼리 유적(舒川 道三里 遺蹟)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도삼리 일원에 해당한다. 높이 41~42m 평탄 지형에 있으며, 서해와 1.3㎞ 떨어져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 봉선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생활 복합 유적. 서천 봉선리 유적(舒川 鳳仙里 遺蹟)은 2003년 충남역사문화원 문화재센터에서 발굴 조사를 실시하여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유물이 확인되었다. 2006년 사적으로 지정된 이후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에 의하여 4차례 발굴 조사되었다. 2016년 3월...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석촌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생활 유적. 서천 석촌리 대월골 유적(舒川 席村里 대월골 遺蹟)은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석촌리 산40 일원에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성주리에 있는 삼국 시대 복합 유적. 서천 성주리 유적(舒川 聖住里 遺蹟)은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성주리 532 일원에 있다. 왕개산 높이 97.8m에서 동쪽으로 이어지는 두 개 산지 사이의 계곡부와 연결되는 북사면 구릉에 해당한다. 계곡부는 산 위에서 발원하여 중간에 이르러 넓게 확장되며, 북사면의 구릉부는 계곡부의 논과는 달리 밭으로 경작되고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송내리에 있는 초기 국가 시대부터 삼국 시대까지의 생활 유적. 서천 송내리 유적(舒川 芝山里 遺蹟)은 서천-장항 간 도로 확·포장 공사 구간으로 발굴 조사가 진행되었다. 조사된 생활 유적은 초기 국가 시대부터 삼국 시대 주거지 28기와 수혈 유구, 경작 유구 등이 확인되었다. 출토 유물과 주거지 내부 구조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를 통하여 볼 때 3세기...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송림리에 있는 조선 시대 유적. 서천 송림리 유적(舒川 松林里 遺蹟)은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송림리 110 일원에 있다. 저평지에 돌출된 낮은 구릉지에 해당하며 평탄한 정상부와 주변 지역으로 이어지는 완만한 경사지로 구분된다. 주변에는 소규모의 주거 지역과 전답 등 경작지들이 혼재되어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오석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복합 유적. 서천 오석리 유적(舒川 烏石里 遺蹟)은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오석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복합 유적이다. 서해안 고속도로를 건설하기 위하여 1992년 지표 조사를 하면서 유적이 확인되었고 이후 공주대학교 박물관이 1994년과 1995년 두 차례에 걸쳐 추가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옥남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복합 유적. 서천 옥남리 유적(舒川 玉南里 遺蹟)은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옥남리에서 군장국가생업단지 지원도로 건설 공사 구간 내에 확인된 유적이다. 날머리·갓재골·원개들·우아실 유적으로 구분하고 1~5지점으로 조사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옥북리에 있는 초기 국가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복합 유적. 서천 옥북리 역리 유적Ⅰ·Ⅱ는 생활 유적과 분묘의 흔적을 모두 찾아볼 수 있는 복합 유적이다. 발굴 조사 결과 초기 국가 시대 주거지 5기와 고려 시대 움무덤 1기, 조선 시대 주거지 22기, 움무덤 9기, 수혈 유구 8기, 화덕 시설, 구상 유구 1기가 확인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옥북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복합 유적. 서천 옥북리 유적은 2004년 장항-서천 간 지방도 포장 공사 과정에서 조사가 시작되었다. 총 5개 구간 중 1구간이 서천 옥북리 유적에 대한 부분으로, 총 면적은 1만 1624㎡[약 3,516평]이었다. 2005년 4월 12일부터 2005년 8월 4일까지 충청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를 진행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이사리와 기산면 월기리에 있는 청동기에서 조선 시대까지의 복합 유적. 서천 이사리·월기리 유적(舒川 梨寺里·月岐里 遺蹟)은 서천-공주 간 고속도로 건설 예정 구간 중 제7공구 7-1지역인 마산면 이사리와 기산면 월기리 일대에서 발굴 조사된 유적이다. 고려대학교 고고환경연구소에서 2003년 6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실조사일 120일의 일정으로 발굴 조사를...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저산리와 수성리에 있는 청동기 및 백제 시대 유적. 서천 저산리·수성리 유적(舒川 苧山里·水城里 遺蹟)은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저산리와 수성리의 서천판교우회도로에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지산리에 있는 초기 국가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의 생활 유적. 서천 지산리 유적(舒川 松內里 遺蹟)은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지산리 일원에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추동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복합 유적. 서천 추동리 유적(舒川 楸洞里 遺蹟)은 서천-공주 고속도로 건설 공사 구간 내에서 확인된 유적으로, Ⅰ·Ⅱ·Ⅲ지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사 결과 서천 추동리 유적Ⅰ·Ⅱ·Ⅲ을 합쳐 총 청동기 시대 주거지 16기, 움무덤[土壙墓] 12기, 수혈 유구(竪穴 遺構) 2기, 돌널무덤[石棺墓] 10기, 초기 철...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한성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생활 유적. 서천 한성리 유적(舒川 漢城里 遺蹟)은 1991년 서천군 향토문화연구회에서 한성리산성 답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일부 지표면에서 민무늬토기[無文土器]와 석기편 등의 유물을 채집하여 국립부여박물관에 신고하면서 알려졌다. 이후 국립부여박물관은 1992년 마서면 한성리 일대를 대상으로 지표 조사를 시작하였고, 그러한 결과 선사...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당정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 생활 및 분묘 유적. 서천 화산리 수리넘어재 유적(舒川 花山里 수리넘어재 遺跡)은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당정리 산118-1 일원에 있다. 남서쪽으로 판교천이 바다로 이어지며 서쪽으로 넓은 충적지가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신검리에 있는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사찰 및 생산 시설 유적. 신검리 요지 유적은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신검리 10 일원에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장암리에 있는 선사 시대 유적. 서천 장암리 패총(舒川 長岩里 貝塚)은 인근 해안 도로의 개설 공사로 인하여 산사면의 절개 지점이 노출되었고, 절개면 폭 약 6m, 두께 30㎝ 정도에서 패각층이 확인되었다. 패각층에서 신석기 시대 빗살무늬 토기편이 혼입되어 있는 것이 발견되어 1995년 7월 1일부터 8월 18일까지 충남대학교 박물관에서 조사하였다. A와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