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530 |
---|---|
한자 | 觀寺址 |
영어공식명칭 | Temple Site goan |
분야 | 종교/불교 |
유형 | 유적/터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검로 94-107[성내리 산8] 일원 |
시대 | 고려/고려 전기,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김성수 |
소재지 | 관사지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검로 94-107[성내리 산8] 일원![]() |
---|---|
성격 | 절터 |
소유자 | 충청남도 서천군 |
관리자 | 충청남도 서천군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에 있는 고려 시대 절터.
[변천]
관사지(觀寺址)는 1871년 편찬된 『호서읍지(湖西邑誌)』에 관사가 “현의 동쪽인 검성산(劒城山)에 있었으나 현재는 없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1872년 작성된 「비인현 지도」에는 ‘관사구기(觀寺舊基)’로 기록되어 있어 사찰은 19세기 말에 폐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위치]
관사지는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검로 94-107[성내리 산8] 일원에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관사지는 발굴 조사가 진행되지 않았으나, 관적사 대웅전 위로 100m 정도 올라가면 평탄지에서 기와편, 청자편, 백자편 등이 많은 양의 유물이 수습되었다. 기와의 경우 등면에 선문(線文), 생선뼈무늬[魚骨文], 생선뼈무늬계 복합문, 집선문(集線文), 청해파문(靑海波文), 격자문, 차륜문(車輪文) 등이 타날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다. 출토 유물로 보아 사찰은 고려 시대에서 조선 시대에 운영되다가 조선 후기에 폐찰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황]
현재 관사지로 추정되는 곳에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 관적사(冠寂寺)가 있다.
[의의와 평가]
관사지는 고문서에 기록이 남아 있어 향후 발굴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사찰의 원형을 고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