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476
한자 古墳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김성수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에 조성된 고분.

[개설]

고분(古墳)은 사후 세계의 인식을 바탕으로 죽은 자를 위하여 만든 것이다. 그러므로 고분을 축조한 시기의 생활상을 엿볼수 있어 당시의 생활상을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고고학 자료이다. 충청남도 서천에서 확인된 역사 시대 고분은 총 43곳으로 지표 조사와 발굴 조사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기산면 2기, 마산면 3기, 마서면 5기, 문산면 3기, 비인면 5기, 서천읍 7기, 시초면 3기, 장항읍 1기, 종천면 8기, 판교면 1기, 화양면 4기 등이다. 고분군 분포에서 주목되는 지역은 비인면, 종천면, 서천읍, 화양면을 중심으로 한 서남쪽에 집중되는데, 서해안과 금강 하구를 중심으로 완만한 구릉 사면을 이룬 지역에 집중 분포되고 있다.

[분포]

고분군의 분포 현상은 서천군의 지형과 밀접한 영향이 있다. 서천군은 차령산맥 서남단 말단 지맥이 서천 북단까지 전개되어 있어서, 전체적 지형은 북고남저형(北高南低形)이다. 또한 산지를 중심으로 하천이 발달하였는데, 원진산에서 발원한 도마천봉선지에서 한산천과 합류하여 길산천을 이루어 금강에 흘러들며 하천 유역으로 넓은 평야와 구릉지가 발달되어 있다. 고분군의 분포도 봉선지 주변의 서천 봉선리 유적에서부터 길산천 변의 서천 추동리 유적에 이르기까지 매우 밀집된 모습을 보인다. 또한 서천군은 서해에 인접하여 있고, 금강 하구에도 인접하여 해양 문화와 내륙 문화가 공존하는 곳이기도 하다. 그리하여 청동기 시대에는 돌널무덤[石棺墓]이, 초기 철기 시대에는 분구묘[주구묘]가, 백제 시대에는 돌덧널무덤, 돌방무덤[石室墓] 등이 조영되어 각 시대별로 분묘의 변화 양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

[초기 철기 시대]

초기 철기 시대의 무덤으로는 시초면 서천 봉선리 유적서천당정리고분군이 있으며, 웅진 천도 이후 고분군의 변화상을 살필 수 있는 유적으로는 비인면 서천 칠지리 사동고분종천면 서천 화산리 수리넘어재 유적, 그리고 화양면 서천 추동리 유적을 주목할 수 있다.

[삼국 시대]

초기 철기 시대부터 백제 한성기의 경우 서천 봉선리 유적을 예로 들수 있으며, 한성기부터 웅진기는 서천 추동리 유적을 예로 들 수 있다. 웅진기부터 사비기는 서천 화산리 수리넘어재 유적을 예로 들수 있다. 서천 봉선리 유적은 웅진 천도 이전의 움무덤 단계에서부터 돌덧널무덤·돌방무덤에 이르기까지 단계적인 변화상을 보인다. 특히 고분군 내부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직구호(直口壺), 뚜껑접시[蓋杯], 굽다리접시[高杯, 삼각형 투창], 삼족토기 등과 환두대도[삼엽환두대도 1점], 철촉, 철검 등이 있다. 특히 삼엽환두대도와 같은 유물은 5세기 대를 전후하여 한성기의 지방 사회에서 많이 확인되는 것이다. 따라서 서천 봉선리 유적에서 확인된 움무덤[土壙墓]과 돌널무덤, 돌방무덤은 백제 한성기에서 웅진기 초반에 조성된 것으로, 서천 지역 토착 세력의 문화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서천 추동리 유적은 한성기에 일부 고분군이 조영되다가, 웅진 천도 이후 굴식돌방무덤이 집중적으로 조영되는 모습을 살필 수 있다. 서천 화산리 수리넘어재 유적에서는 굴식돌방무덤과 앞트기식돌덧널무덤이 함께 조사되었는데, 주로 백제 사비 천도 이후의 고분군으로 편년된다.

[의의]

충청남도 서천군 일대에서 조사된 총 43곳의 고분군 중 백제 시대 고분군이 무려 28곳에 이르는 것을 볼 때, 백제의 웅진에서 사비 천도와 더불어 금강 하구에 있는 서천 지역이 정치·군사·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추후 발굴 조사를 통하여 다양한 분묘 자료가 더하여진다면 재지 세력의 분묘 문화의 변화 양상을 확실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앞으로 고분군을 중심으로 서천 지역의 고대 문화상 연구와 더불어 주변의 인문 환경에 대한 분석이 함께 더하여진다면 고대 서천 지역의 역사 문화 환경을 보다 선명하게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