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색선생묘일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1368
한자 李穡先生墓一圓
이칭/별칭 목은선생묘일원,목은이색묘소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능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15-10[영모리 산1-1]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경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1328년 6월 17일 - 이색 출생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1396년 6월 17일 - 이색 사망
조성 시기/일시 1396년연표보기 - 이색선생묘일원 조성
문화재 지정 일시 1993년 11월 12일연표보기 - 이색선생묘일원 충청남도 기념물 제89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이색선생묘일원 충청남도 기념물로 변경 지정
현 소재지 이색선생묘일원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15-10[영모리 산1-1]지도보기
성격 묘지
관련 인물 이색
소유자 한산 이씨 종중
관리자 한산 이씨 종중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에 있는 목은 이색 등의 묘지와 일대의 유적.

[개설]

이색선생묘일원(李穡先生墓一圓)은 고려 후기의 성리학자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 등의 묘지와 일대의 유적이다. 이색은 고려 후기의 성리학자로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야은(冶隱) 길재(吉再)와 함께 고려 삼은(三隱)으로 불렸다. 이색은 1353년 고려에서 장원 급제하였으며, 1354년에는 원나라의 과거에 합격하였다. 이색은 온건개혁파로 고려 후기 사회 제도 개혁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 주었는데, 조선 건국 이후로는 관직을 버리고 낙향한 후 1396년 사망하였다. 이색선생묘일원은 ‘목은선생묘일원’, ‘목은이색묘소’라고도 부른다.

[위치]

이색선생묘일원은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15-10[영모리 산1-1]에 있다. 묘역의 남동쪽에는 1666년 세운 이색신도비[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가 있고, 이곡(李穀)이색을 비롯한 한산 이씨의 신위가 봉안된 문헌서원[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이 근처에 있다.

[변천]

이색선생묘일원이색이 죽은 후 이색의 셋째 아들 이종선(李種善)이 기린봉 서쪽 능선에 조성한 것이다. 이색의 묘지는 기린이 내려와 풀을 뜯어 먹는 기린하전(麒麟下田)으로 승려 무학(無學)이 정하여 준 명당이었다. 이후 이색의 묘 바로 아래에 이종선의 묘가 있다. 이색의 아내 정신택주(貞愼宅主) 안동 권씨(安東 權氏)의 묘비는 1404년 권근(權近)이 작성하였다. 이색신도비는 하륜(河崙)이 1405년 작성한 비문을 바탕으로 이색의 손자 이맹균(李孟畇)이 1433년 건립하였다.

[형태]

이색선생묘일원의 봉분 앞에는 혼유석(魂遊石), 상석(床石), 향로석(香爐石)이 있고, 망주석(望柱石), 문인상(文人像), 석마(石馬)가 각각 2기씩 있다. 상석 오른쪽에는 묘비가 세워져 있다.

[금석문]

이색선생묘일원의 봉분 앞 상석 오른쪽에는 ‘목은선생이색지묘(牧隱先生李穡之墓)’라고 적힌 묘비가 있으며, 묘역 인근 문헌서원 앞에는 이색신도비가 있다.

[현황]

이색선생묘일원 일대의 건물과 시설 등으로는 3칸의 사우, 2층 누각으로 된 6칸의 강당, 4칸의 진수당(進修堂), 3칸의 목은 이색 영당, 5칸의 재실, 3칸의 전사청, 3칸의 수호사(守護舍), 내삼문, 외삼문, 이색신도비, 이종덕 효행비 등이 있다. 사우에는 이곡, 이색을 주벽으로 이종학, 이자, 이개, 이종덕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재실인 진수당은 사족들의 화합 및 학문 토론 장소로 사용되었다. 전사청은 제구(祭具)를 보관하는 장소이며, 목은 이색 영당에는 이색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다. 이색선생묘일원은 1993년 11월 12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8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기념물로 변경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색선생묘일원은 인근에 있는 문헌서원, 목은 이색 영당, 이색신도비 등과 함께 고려 후기 이색의 학문적 업적과 지위을 보여 주는 한편, 한산 이씨 가계의 위상과 결속력을 보여 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