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현리삼층석탑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537
한자 芝峴里三層石塔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산2-1
시대 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장인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991년연표보기 - 지현리삼층석탑 축조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5월 17일연표보기 - 지현리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8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지현리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지현리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현 소재지 지현리삼층석탑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산2-1지도보기
성격 석탑
재질 석재
크기(높이) 2.05m
소유자 충청남도 서천군
관리자 충청남도 서천군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에 있는 고려 시대 석탑.

[개설]

지현리삼층석탑(芝峴里三層石塔)은 991년(고려 성종 10) 축조되었으며, 한산읍성 아래에 있는 한산 이씨 시조 호장 이윤경(李允卿)의 묘 부근에 있다. 지현리삼층석탑 주위에는 기와편, 토기편, 자기편 등이 산재하여 있기 때문에 절터나 건물터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건립 경위]

지현리삼층석탑의 조탑기를 보면 한산 지방의 호족이 991년 나라를 위한 뜻을 담아 탑을 건립하였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위치]

지현리삼층석탑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산2-1에 있다.

[형태]

지현리삼층석탑은 높이 2.05m이며, 지대석, 3층 탑신부(塔身部), 상륜부(相輪部)로 이루어져 있다. 제일 아래에 놓인 석재는 지대석일 가능성이 있으나 덧서까래가 있는 점으로 보아 기단(基壇) 갑석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지대석은 2매의 판석으로 결구되어 있다. 총 8행 66자의 조탑기가 새겨져 있는 1층 탑신석은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는데 탑신석에는 우주가 표현되어 있다. 1층 지붕돌의 아랫면에는 3단의 지붕돌받침이 있다. 탑의 전체적인 균형을 위하여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작게 만들어져 있어 2층과 3층의 탑신은 1층에 비하여 작다. 상륜부에는 지름 3㎝의 구멍이 있는 석물이 하나 놓여 있다. 놓여 있는 위치와 구멍 등으로 보아 찰주를 꽂아 놓는 노반으로 추정된다.

[금석문]

지현리삼층석탑 1층 탑신에는 ‘순화이년 세차신묘이월 일 위국발원조탑기 시호장 견향장 견진장 신원장 윤별장 근구장 심양립 사랑기 구봉승 친견기 전례기 여결청 정□비 악달비 즉 성차□□비(淳化二年 歲次辛卯二月 日 爲國發願造塔記 時戶長 見鄕長 見眞長 信元長 潤別長 斤久長 深梁立 仕凉己 驅奉僧 親見紀 全禮紀 呂結淸 丁□妃 岳達妃 卽 成派□□妃)’라는 조탑기가 새겨져 있다.

[현황]

지현리삼층석탑은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바뀌었다. 현재 충남동남문화유산돌봄센터에서 보호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지현리삼층석탑은 고려 전기의 탑 양식과 지방 호족의 존재 양상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