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적곡산성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499
한자 觀寂谷山城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검로 94-107[성내리 산8]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최병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관적곡산성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검로 94-107[성내리 산8]지도보기
성격 산성
양식 포곡식 석축산성
크기(높이,길이,둘레) 298m[높이]|1,500m[둘레]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위치]

관적곡산성(觀寂谷山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검로 94-107[성내리 산8]에 있다. 비인면 동쪽에 높게 솟아 있는 월명산의 중심선 중 북쪽 끝단 관적곡에 있다. 관적곡산성 주변으로는 북쪽에 태매산이 마주하는데, 중심 능선이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뻗어 있어 가림막이 되어 준다. 또한 서쪽은 월명산에서 뻗어 내려온 가지 능선 일부가 관적곡산성의 정면을 감싸고 있다.

[형태]

관적곡산성월명산[비인면] 북쪽 끝의 능선 정상부와 서쪽 계곡부를 감싸는 둘레 1,500m의 포곡식(包谷式) 석축산성(石築山城)이다. 성벽은 동쪽과 북쪽에 뻗어 있는 정상부 주요 능선과 남쪽과 서쪽의 경사면에 남아 있다. 동벽은 경사가 높아 부분적으로 석축(石築)된 흔적이 있다. 이외의 성벽은 대부분 무너져 돌무더기만 확인된다. 한편, 남벽에는 너비 약 10m 정도의 회곽도(廻郭道)가 확인된다. 일부 성벽 구간에서는 내탁식(內托式)으로 쌓은 부분이 확인되며, 외벽은 가로 30㎝, 세로 70㎝의 석재를 이용하였고, 뒤채움하였다. 이외의 성벽에는 가로 20㎝, 세로 30㎝ 정도 크기의 돌을 사용하였다.

[현황]

관적곡산성에는 성내의 가장 낮은 곡부 한가운데 관적사(觀寂寺)가 있으며, 관적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옹달샘 1곳이 있다. 이외 곳곳에 건물터로 추정되는 평탄지가 확인된다. 성내에서 확인되는 유물로는 청자 및 분청사기편이 있으며, 이외에도 삼국 시대 백제의 것으로 추정되는 토기편과 기와편이 있다.

[의의와 평가]

관적곡산성비인면에서 가장 높은 산지에 있으면서도 주변으로도 겹겹이 능선이 가로막고 있어, 방어 및 농성(籠城)에 매우 적합한 환경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