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 이종선 효자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551
한자 舒川 李種善 孝子碑
이칭/별칭 효자 이종선 정려비각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비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죽촌리 341-1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경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368년연표보기 - 이종선 출생
건립 시기/일시 1398년 10월연표보기 - 서천 이종선 효자비 건립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438년연표보기 - 이종선 사망
보수|복원 시기/일시 1962년 - 서천 이종선 효자비 중수
문화재 지정 일시 2016년 12월 30일연표보기 - 서천 이종선 효자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39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서천 이종선 효자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서천 이종선 효자비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현 소재지 서천 이종선 효자비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죽촌리 341-1지도보기
성격 비석
관련 인물 이종선
재질 석재
크기(높이, 너비, 두께) 162㎝[높이]|55㎝[너비]|30㎝[두께]
소유자 한산이씨 양경공파종회
관리자 한산이씨 양경공파종회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죽촌리에 있는 이종선의 효행을 기리는 비석.

[개설]

서천 이종선 효자비(舒川 李種善 孝子碑)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셋째 아들 이종선(李種善)[1368~1438]의 효행을 기려 세운 비석이다. 이종선이색 사망 이후 3년 동안 여묘살이를 하여 효자로 알려졌다. 이종선은 1382년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낭장(郞將), 판추(判樞)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아버지 이색과 함께 고려 후기 신진 사대부의 반대편에 섰던 이종선은 조선 개국 후에 지방으로 유배되었다. 이색 사후 이종선은 관직에 다시 등용되었는데, 병조참의, 호조참의, 강원도관찰사, 한성부윤, 인수부윤 등 다양한 관직을 역임하였다. 또한, 이종선은 박상충에 의하여 간행되었던 할아버지 가정(稼亭) 이곡(李穀)의 『가정집(稼亭集)』을 재간행하였고, 아버지 이색의 『목은집(牧隱集)』을 간행하였다. 서천 이종선 효자비는 ‘효자 이종선 정려비각’이라고도 부른다.

[건립 경위]

서천 이종선 효자비이종선이 3년 동안 아버지 이색의 무덤을 지켜 효자로 명성을 얻어 건립되었다.

[위치]

서천 이종선 효자비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죽촌리 341-1에 있다.

[형태]

서천 이종선 효자비는 높이 162㎝, 너비 55㎝, 두께 30㎝이다.

[금석문]

서천 이종선 효자비는 앞면에 크게 ‘효자리(孝子里)’라고 새겨져 있고, 옆에 ‘효자내부령 이종선 지한주손광연 어 홍무무인십월 일 입석(孝子內府令 李種善 知韓州孫匡衍 於 洪武戊寅十月 日 立石)’이라고 새겨져 있다. 내부령 이종선이 효자로 명정을 받아 1398년(태조 7) 10월 효자비를 세웠다는 내용이다.

[현황]

서천 이종선 효자비는 1962년 중수되었다. 서천 이종선 효자비는 2016년 12월 30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3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바뀌었다.

[의의와 평가]

이종선은 고려 후기 저명한 성리학자인 이곡의 손자이자 이색의 아들이었다. 다른 형제가 일찍 사망하여 이종선이 가계를 이으며 한산 이씨가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서천 이종선 효자비이종선의 효행을 보여 줄 뿐 아니라 한산 이씨의 서천 지역 세거와 결속력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