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덕리산성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511
한자 屯德里山城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둔덕리 산4-2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최병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2년 - 둔덕리산성 유물 출토
현 소재지 둔덕리산성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둔덕리 산4-2지도보기
출토 유물 소장처 국립부여박물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동남리 산16-1]
성격 산성
양식 테뫼식 석축산성
크기(높이,길이,둘레) 약 80m[높이]|375m[둘레]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둔덕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위치]

둔덕리산성(屯德里山城)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둔덕리 산4-2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이다. 서천군 서천읍에서 부여군 옥산면 가덕리로 연결되는 산간 교통로의 초입 부분에 있다. 둔덕리 앞쪽에 있는 소산봉(小山峰)에 둔덕리산성이 있다. 둔덕리산성의 동쪽으로는 금성산과 마주하며, 북쪽으로는 봉림산, 천방산이 가로막고 있다. 따라서 둔덕리산성의 주변 교통은 산지의 동쪽 측면을 돌아가면서 북상하여 풍정리산성, 갈물리산성, 지원리산성 등을 거쳐 홍산면으로 연결된다.

[형태]

둔덕리산성은 정상부[높이 80m]를 감싸는 둘레 375m의 테뫼식 석축산성(石築山城)이다. 성벽은 정확하지 않지만 경사면을 깎아 폭 6~10m 정도로 1단의 넓은 통로를 만들고, 다시 5m 정도 위쪽에 폭 3~4m의 통로가 동쪽, 서쪽, 북쪽으로 이어져 있어 이중의 계단 구조를 이룬다. 이 같은 현황은 토양을 깎아 성벽을 축조한 결과인지, 아니면 원래는 편축(片築) 방식의 석성이었는데, 후대에 성내에 있는 토사(土砂)가 성벽을 덮은 결과인지 분명하지 않다. 성문의 흔적은 현재 작은 가마가 있는 남쪽과 북쪽이 문지로 추정되며, 성내에는 건물터로 추정할 만한 공간은 확인되지 않는다. 유물은 승석문(繩蓆文)[삿자리 모양의 무늬] 및 격자무늬의 무른 토기편과 단단한 토기편이 확인된다. 또한, 이외에도 1972년 성벽의 하단부에서 백제 토기 6점이 수습되어 국립부여박물관에 소장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