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 구 장항미곡창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565
한자 舒川 舊 長項米穀倉庫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장산로 323[창선1리 308]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35년경 - 서천 구 장항미곡창고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2012년 - 서천 구 장항미곡창고 개축
문화재 지정 일시 2014년 7월 1일연표보기 - 서천 구 장항미곡창고 국가등록문화재 제591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서천 구 장항미곡창고 국가등록문화재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서천 구 장항미곡창고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변경
현 소재지 서천 구 장항미곡창고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장산로 323[창선1리 308]지도보기
성격 건물
소유자 서천군
관리자 서천군
문화재 지정 번호 국가등록문화유산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창선리에 있는 근대 문화 시설.

[위치]

서천 구 장항미곡창고(舒川 舊 長項米穀倉庫)는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장산로 323[창선1리 308]에 있다.

[변천]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은 1920년대부터 본격적인 대일 곡물 이출 항구 역할을 하였다. 1931년 충청북도 천안 지역에서 시작하는 철도 노선이 장항까지 개통하자, 장항 항구의 곡물 이출에 대한 비중은 더욱 커졌다. 그 결과 경기도와 충청남도 지역에서 집산된 쌀이 철도를 통하여 장항으로 모였고 1935년경 미곡창고[서천 구 장항미곡창고]를 건립하게 되었다.

[형태]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전국의 미곡 창고가 대부분 목조 혹은 벽돌 조적조인 데 반하여 서천 구 장항미곡창고는 매우 드물게 철근 콘크리트 기둥 구조이다. 일반적인 형태의 박공형 창고 건물 세 동이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는 대규모의 공간을 형성한 창고 건물이며 지붕과 외벽은 슬레이트로 마감되어 있었다.

[현황]

서천 구 장항미곡창고는 2010년 서천군에서 매입한 뒤에 2012년 대대적인 리노베이션 공사를 진행하였으나 기본적인 건축 형식과 본래의 분위기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2014년 7월 1일 국가등록문화재 제59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국가등록문화재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바뀌었다.

[의의와 평가]

서천군에서는 지역 역사 문화 자원으로서의 활용 가치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서천 구 장항미곡창고를 지역 문화 예술을 진흥하기 위한 문화 예술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서천 구 장항미곡창고는 건축학적·역사적·지역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