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605 |
---|---|
한자 | 杞溪 俞氏 集姓村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수환 |
현 소재지 | 기계 유씨 집성촌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 |
---|---|
성격 | 집성촌 |
면적 | 260,000㎡ |
가구수 | 10가구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에 있는 기계 유씨 집성촌.
[명칭 유래]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는 삼국 시대 백제 때 비중현에 속하였고, 남북국 시대 통일 신라 당시 서림군의 영현인 비비현 소속이었으며, 고려 때는 임천 가림군 영현인 비인현에 속하였다. 조선 전기 1413년(태종 13) 비인현에 속하였다가, 조선 후기에는 비인군 북면에 속하여 남당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남당리(南塘里), 통박리(通朴里), 우령리(牛嶺里) 일부와 충청남도 보령시 주산면의 신촌리(新村里) 각 일부를 합하여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로 개설되었다.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에는 도화동(桃花洞)과 이화동(梨花洞)에 기계 유씨 집성촌이 형성되어 있다. 비인면 남당리는 1914년부터 공식 행정 구역 명칭이 되었지만, 이전에도 통박동리[통박리] 또는 도화동, 이화동, 우령리로 사용하였다. 1760년(영조 36) 편찬한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남당리[통박동]는 관문에서 북쪽 10리[약 3.93㎞]에 있고, 78호에 남자 160명, 여자 170명이 거주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후에 편찬된 『충청도읍지(忠淸道邑誌)』나, 111년 뒤인 1871년 편찬된 『호서읍지(湖西邑誌)』의 비인현(庇仁縣) 방리(方里) 북부면(北北面)에는 비인현의 마을별 인구 현황이 보이지 않는다.
[형성 및 변천]
남당리 기계 유씨 집성촌은 충청남도 서천군의 기계 유씨 입향조 유기창(俞起昌)의 입향을 계기로 형성되었다. 유기창은 기계 유씨 21세손이며, 1437년(세종 19) 지금의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노은리 내포에 있는 외가 박담(朴澹)의 집에서 유복자로 출생하였다. 사육신 성삼문(成三問)과는 이종사촌 간이다. 파주목사, 충청도수군절도사, 정평부사와 9개 군현의 지방관을 역임하고, 첨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1456년(세조 2) 단종 복위 역모 사건으로 성삼문 일족이 도륙당하자, 유기창은 20세의 나이로 어머니 죽산 박씨(竹山 朴氏)와 함께 지금의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에 있는 능성 구씨 처가로 피신하여 세거하였다. 유기창은 아들 6명을 두었는데, 그중 넷째 유여림(俞汝霖)과 다섯째 유여주(兪汝舟)의 후손이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에 세거하고 있다.
[자연환경]
기계 유씨 집성촌은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에 형성되어 있다. 남당리 동쪽에는 비인면의 진산인 월명산의 한 줄기가 서북쪽으로 뻗어 율리와 성내리의 경계를 이루고, 마을 앞을 흐르는 물줄기는 부사방조제를 지나면서 서해로 흘러간다. 남당리는 북쪽과 동쪽, 남쪽이 산으로 둘러져 깊은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므로 피신처로 적합한 지형이다. 이로 인하여 통발처럼 생긴 마을이라 하여 통박골이라고 한다. 골짜기 마을이라 작은 농경지로 논다랑이가 형성되었다. 주로 밭농사를 짓고 있다.
[현황]
1970년대 남당리 기계 유씨 집성촌인 남당리에 40가구가 있었고, 2023년 현재 26만㎡에 15가구가 살고 있다. 그중 기계 유씨는 10가구이고, 나머지 5가구는 인동 장씨, 밀양 박씨, 김해 김씨, 경주 이씨, 해주 오씨 각 1가구이다.
관련 유적으로는 1710년(숙종 36) 창건되어 유기창과 유기창의 후손을 배향한 서천청절사[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가 있다. 서천청절사에서는 매년 3월 제사를 지낸다. 유기창의 어머니 죽산 박씨의 묘가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 이화동에 있으며, 유기창의 넷째 아들 유여림과 다섯째 아들 유여주 부부가 집 주변에 심었다는 500여 년 된 은행나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