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촉 명씨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587
한자 西蜀 明氏
영어공식명칭 Seochok Myung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수성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수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본관 서촉 - 중국 쓰촨성 충칭시
입향지 수성리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수성리지도보기
세거|집성지 수성리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수성리
성씨 시조 명옥진(明玉珍)
입향 시조 명두인(明斗仁)

[정의]

명옥진을 시조로 하고 명두인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연원]

서촉 명씨(西蜀 明氏)는 명옥진(明玉珍)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명옥진은 원나라 말에 촉(蜀) 땅에 웅거하여 1363년 성도(成都)에서 대하(大夏)국을 세우고 황제가 되어 선정을 베풀다가 1366년에 사망하였다. 명옥진이 사망한 뒤 아들 명승(明昇)이 황위를 계승하였으나 당시 새로 건국한 명나라에 나라를 빼앗기고 1372년(공민왕 21) 고려에 귀화하여 송도에 정착하였다.

조선 개국 후 태조는 명승을 화촉군(華蜀君)에 책봉하였고, 태종도 충훈세록(忠勳世錄)을 내리는 등 국빈의 예로 대접하였다고 한다. 이후 후손들이 명옥진을 시조로 하고 대하국의 터전이었던 서촉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었다.

서촉 명씨는 명승의 아들 명의(明儀)·명현(明俔)·명준(明俊)·명신(明信)을 파조로 자헌공파(資憲公派)·총랑공파(摠郞公派)[또는 현파(俔派)]·부사공파(副使公派)·시랑공파(侍郞公派)로 분파하였다. 이 중 총랑공파가 가장 번성하였는데, 충청남도 서천군에도 총랑공파 후손들이 세거하고 있다.

[입향 경위]

서촉 명씨 서천 지역 입향조는 명두인(明斗仁)이다. 서촉 명씨는 임진왜란 때 전국으로 흩어졌는데, 명옥진의 9세손 명학경(鶴敬)은 충청도로 내려와 후손들이 보령 지역에 정착하였다. 이후 11세손 명두인이 지금의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에서 서천군 판교면 수성리에 이거하여 정착하였다.

[현황]

서천군의 서촉 명씨는 2024년 현재 판교면 수성리에 10여 호가 집성촌을 이루어 거주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