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603 |
---|---|
한자 | 韓山 李氏 |
영어공식명칭 | Hansan Yi Clan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수환 |
본관 | 한산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
---|---|
입향지 | 한산 이씨 입향지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
세거|집성지 | 한산 이씨 집성지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마양리![]() |
세거|집성지 | 한산 이씨 집성지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월기리![]() |
묘소|세장지 | 이윤경 묘소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
성씨 시조 | 이윤경(李允卿) |
입향 시조 | 이윤경(李允卿) |
[정의]
이윤경을 시조이자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연원]
한산 이씨(韓山 李氏)는 대대로 한산[현 충청남도 서천군 일대] 지역의 호장을 역임하며 호족으로서 세력을 유지하여 한산을 본관으로 삼았는데, 같은 뿌리이면서 시조를 달리하는 두 계통으로 나뉜다. 한산 이씨 호장공계(戶長公系)는 고려 충숙왕 때 원나라에서 과거에 급제한 뒤 한림국사원검열관을 지내다 충목왕 대에 귀국하여 도첨의찬성사를 역임하고 한산군(韓山君)에 책봉된 이곡(李穀)[1298~1351]의 5대조 이윤경(李允卿)이 시조이다. 한산 이씨 권지공계(權知公系)는 고려 중엽에 문과에 급제하여 권지문하사사를 역임한 이윤우(李允佑)를 시조로 한다.
이곡의 아들 이색(李穡)[1328~1396]은 판문하부사를 역임하고 한산부원군(韓山府院君)에 책봉되었으며, 이색의 아들 이종덕(李鍾德)과 이종학(李鍾學)은 조선 건국에 불복하여 참화를 당하였으나 태종 대에 복권되어 자손들이 현달하였다. 이후 호장공계는 이색의 아들 이종덕·이종학·이종선(李種善)을 파조로 하는 문양공파(文襄公派)·인재공파(麟齋公派)·양경공파(良景公派)로 갈라져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권지공계는 시조 이윤우의 4세손 이무(李茂)가 충렬왕 대에 병마사 나유(羅裕)와 함께 합단(哈丹)·노적(老的) 등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광정대부검교대장군에 오르고 한산군에 책봉되어 후손들이 한산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현황]
2015년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충청남도 서천군에 거주하는 한산 이씨는 1,482명이고 기산면 월기리와 한산면 지현리·마양리 등에 집성촌을 이루어 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관련 유적]
서천 지역의 한산 이씨 관련 유적으로는 호장공계 시조 이윤경의 묘소가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에 있으며,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에 한산 이씨 문중 인물인 이곡·이색·이종덕·이종학·이종선·이맹균(李孟畇)·이개(李塏)·이자(李耔)를 배향한 문헌서원(文獻書院)[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이 대표적이다. 문헌서원에는 이색의 묘소와 함께 1666년 건립된 이색신도비[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