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산 신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599
한자 平山 申氏
영어공식명칭 Pyeongsan Shin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수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본관 평산 - 북한 황해북도 평산군
입향지 율리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율리지도보기
세거|집성지 율리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율리
세거|집성지 성산리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산리지도보기
성씨 시조 신숭겸(申崇謙)
입향 시조 신용(申龍)

[정의]

신숭겸을 시조로 하고 신용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연원]

평산 신씨(平山 申氏)는 신숭겸(申崇謙)[?~927]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신숭겸은 전라도 곡성 출신으로, 배현경(裵玄慶)·복지겸(卜智謙) 등과 함께 태봉(泰封)의 왕이던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추대하여 개국일등공신에 녹훈되고 대장군이 되었다. 이후 후손들이 신숭겸을 시조로 하고 평산[현 북한 황해북도 평산군]을 본향으로 삼아 세계를 이었으며,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만 180여 명을 배출하는 등 크게 번성하였다.

평산 신씨는 신숭겸의 12세손 대부터 15세손 대에 걸쳐 19개 파로 크게 나뉘었는데, 충청남도 서천군에는 신하(申夏)를 파조(派祖)로 하는 한성윤공파(漢城尹公派)와 신기(申淇)를 파조로 하는 온수감공파(溫水監公派) 후손들이 주로 세거하였다.

[입향 경위]

평산 신씨 서천 지역 입향조는 온수감공파 파조 신기의 아들인 신용(申龍)이다. 신용은 1355년 무렵 아버지 신기가 두문동에서 참화를 당하자 지금의 서천군 서면 월리에 안장한 뒤 비인면 관리에 정착하여 살았다. 조선 시대 생원·진사시 합격자 명단을 기록한 『사마방목(司馬榜目)』에는 서천에 거주하는 평산 신씨 인물인 신상진(申尙晉)이 1729년(영조 5) 생원시에, 신대영(申大永)이 1894년(고종 31) 진사시에 합격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현황]

2014년에 출간된 『서천인의 성씨 그 유래와 분포』에 따르면 충청남도 서천군의 평산 신씨서천군 비인면 율리에 40여 가구, 비인면 성산리에 60여 가구, 비인면 관리에 35가구, 종천면 신검리에 20여 가구, 종천면 화산리(花山里)에 40여 가구, 종천면 종천리에 20여 가구, 종천면 당정리에 10여 가구, 종천면 랑평리에 10여 가구, 판교면 문곡리에 10여 가구, 판교면 심동리에 10여 가구, 판교면 상좌리에 30여 가구, 판교면 우라리에 10여 가구, 판교면 저산리에 10여 가구 등 각지에 집성촌을 이루어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관련 유적]

서천군 평산 신씨 관련 유적으로는 서천군 비인면 율리 산94에 입향조 신용의 묘소가 있으며, 비인면 성검로287번길 18[율리 193]에는 신숭겸을 비롯하여 후손인 신현(申賢)·신혼(申琿)·신연(申演)·신기(申淇)·신철(申澈)·신오(申澳)를 배향한 율리사(栗里祠)[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