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평 문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583
한자 南平 文氏
영어공식명칭 Nampyeong Mun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수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본관 남평 -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입향지 도만리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도만리지도보기
세거|집성지 도만리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도만리
세거|집성지 망월리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망월리지도보기
성씨 시조 문다성(文多省)
입향 시조 문색(文索)

[정의]

문다성을 시조로 하고 문색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연원]

남평 문씨(南平 文氏)는 문다성(文多省)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남평 문씨 족보에 따르면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현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일대]에서 태어난 문다성이 472년(신라 자비왕 15) 삼중대광 삼한벽상공신 남평백 대야찬 대원수 남평개국백에 책봉되어 후손들이 남평을 본향으로 삼았다고 한다. 문다성 이후 세계가 실전되어 고려 때 산기상시를 역임한 문익(文翼)을 중시조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 오고 있다.

남평 문씨는 고려 때 문극겸(文克謙)[1122~1189], 문유필(文惟弼)[?~1228], 문익점(文益漸)[1331~1400], 문달한(文達漢)[?~1392] 등을 배출하여 유력 가문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문익점의 아들 문중용(文中庸)·문중성(文中誠)·문중실(文中實)·문중보(文中普)·문중계(文中啓) 형제 대에 헌납공파(獻納公派)·순질공파(純質公派)·의안공파(毅安公派)·시중공파(侍中公派)·성숙공파(成淑公派)로 분파되었다. 충청남도 서천군에는 문중실을 파조로 하는 의안공파와 문중계를 중심으로 하는 성숙공파가 주로 세거하였다.

[입향 경위]

서천 지역 남평 문씨 입향조는 성숙공파 25세손 문색(文索)이다. 문색은 1680년경 고부(古阜)에서 서천군 비인면으로 이거하여 정착하였는데, 이때의 고부가 현재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을 가리키는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문색의 후손들은 서천군 비인면종천면 도만리에 세거하며 독립운동가 문석환(文奭煥) 등을 배출하였다. 문석환은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민종식(閔宗植)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으며, 일본군과 싸우다가 체포되어 대마도에서 최익현(崔益鉉)과 옥중생활을 함께하였다.

문색 외에도 성숙공파 22세손 문치삼(致三)이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에서 서천군 종천면 지석리에 이거하여 후손들이 지석리종천면 석촌리에 거주하고 있다. 또한 의안공파 37세손 문이정(文以鼎)도 당시의 한산군에 정착함으로써 후손들이 화양면 망월리에 세거하고 있다.

[현황]

201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서천군에 거주하는 남평 문씨는 총 335명으로 파악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