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578 |
---|---|
한자 | 交河 盧氏 |
영어공식명칭 | Gyoha No Clan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수환 |
본관 | 교하 -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
---|---|
입향지 | 마명리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마명리![]() |
세거|집성지 | 두문리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두문리 |
세거|집성지 | 오석리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오석리![]() |
묘소|세장지 | 노윤보 묘소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마명리 |
성씨 시조 | 노오(盧塢) |
입향 시조 | 노윤보(盧允寶) |
[정의]
노오를 시조로 하고 노윤보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연원]
교하 노씨(交河 盧氏)는 노오(盧塢)를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교하 노씨는 주나라 건국공신인 강태공의 9세손 고혜(高傒)가 제나라 노현(盧縣)을 봉지로 하사받으면서 비롯되었다. 우리나라 노씨 도시조(都始祖)인 노수(盧穗)는 중국 범양 사람으로, 안녹산의 난이 일어나자 노오 등 아들 9형제를 데리고 신라에 건너와 정착하였다.
노오의 후손인 노강필(盧康弼)은 본래 영일(迎日)[현 경상북도 포항시 기계면]에 세거하였는데, 이후 장산(章山)[현 경상북도 경산시]으로 이거하여 본관을 장산이라 하였다. 노강필은 고려 초에 태조 왕건(王建)을 도와 개국공신이 되었고, ‘태자태사 선성부원군(宣城府院君)’에 책봉된 뒤 교하[현 경기도 파주시]로 본관을 옮겼다. 충청남도 서천군에 거주하는 교하 노씨는 고려 후기의 문신 노진(盧稹)을 파조로 하는 창성군파(昌城君派)이다.
조선 시대 생원·진사시 합격자 명단을 기록한 『사마방목(司馬榜目)』에는 한산에 거주하는 교하 노씨 인물인 노문해(盧文海)가 1612년(광해군 4)에, 노방우(盧邦愚)가 1885년(고종 22)에 각각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였다는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입향 경위]
교하 노씨 서천 지역 입향조는 노진의 고손자로 낭장을 지낸 노윤보(盧允寶)[?~?]이다. 노윤보는 조선 건국에 불복하여 한산(韓山)의 마명리[현 서천군 마산면 마명리]에 은거하였다. 노윤보의 맏아들인 노원례(盧原禮)는 자손이 없었고, 둘째 아들 노원의(盧原義)는 슬하에 세 아들을 두었으며 주부를 지냈다. 이후 후손들이 서천군 기산면 두문리를 중심으로 번성하였다.
서천군에 거주하는 교하 노씨는 거주 방향에 따라 북면파(北面派)와 서면파(西面派)로 불리기도 한다. 한산면·마산면·문산면 등 동북쪽에 거주하는 노씨는 북면파, 기산면 등지에 거주하는 노씨는 서면파라 불린다.
[현황]
2019년 조사에 따르면, 충청남도 서천군에 거주하는 교하 노씨는 총 203가구로 파악되었다. 기산면 두북리·두남리·외남리·내남리·내동리에 150여 호, 서천읍 오석리에 15호, 기산면 가공리에 10여 호, 문산면 수암리에 10여 호, 마서면 한성리에 10여 호의 집성촌을 이루어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관련 유적]
서천군 마산면 마명리 산1에 교하 노씨 서천 입향조 노윤보의 묘소가 있다. 기산면 외산정리에는 교하 노씨 14세 이전 선조들의 위패를 모신 망송사(望松祠)가 있는데, ‘망송사’라는 현판에는 노윤보가 고려가 망한 뒤 한산으로 낙향할 때 고향인 송도[개성]를 그리며 의리와 절개를 지켰다는 뜻이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