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586 |
---|---|
한자 | 西林·舒川 李氏 |
영어공식명칭 | Seorim·seocheon Lee Clan |
이칭/별칭 | 서천 이씨,서림 이씨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수환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314년 - 이언충 서림백 추봉 |
---|---|
본관 | 서림 - 충청남도 서천군 |
입향지 | 용학동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용학동 |
세거|집성지 | 금당리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금당리![]() |
묘소|세장지 | 이언충 묘소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신농리![]() |
성씨 시조 | 이익존(李益存) |
입향 시조 | 이언충(李彦忠) |
[정의]
이익존을 시조로 하고 이언충을 중시조이자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연원]
서림·서천 이씨(西林·舒川 李氏)의 시조는 고려 때 호부상서를 지낸 이익존(李益存)이며, 후대에 부여공파(扶餘公派)·원정공파(院正公派)·판서공파(判書公派)·진사공파(進士公派)·부사공파(府使公派)·주부공파(主簿公派)·장의공파(掌議公派)·용학파(龍鶴派) 등으로 분파되었다. 서천 지역에는 이홍려(李興儷)를 파조로 하는 주부공파 후손들이 주로 세거하고 있다.
[입향 경위]
서림·서천 이씨 서천 지역 입향조는 이익존의 20세손이자 중시조인 이언충(李彦忠)이다. 이언충은 고려 때 보리공신(輔理功臣) 벽상삼한삼중대광 도첨의정승에 올랐고 서림군(西林君)에 책봉되었다. 사망한 뒤에는 충경(忠敬)이라는 시호를 하사받고 1314년(고려 충숙왕 원년)에 서림백(西林伯)에 추봉되었다. 이를 계기로 이언충의 후손들이 서천군의 옛 이름인 서림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 나가고 있다.
조선 시대 생원·진사시 합격자 명단을 기록한 『사마방목(司馬榜目)』에는 서천에 거주하는 서천 이씨 인물인 이세준(李世俊)이 1552년(명종 7) 생원시에 합격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현황]
2015년 서림서천이씨대종회의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서림·서천 이씨는 총 3,600여 명[1,025호]으로 파악되었다. 서림·서천 이씨는 같은 자손이면서도 서림과 서천으로 각각 본관을 다르게 쓰고 있는데, 서림 본관이 1,390명[423호]이고 서천 본관이 1,969명[602호]이었다. 서천 지역 서림·서천 이씨는 화양면 금당리와 서천읍 용학동 등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관련 유적]
서천 지역 서림·서천 이씨 관련 유적으로는 서천군 문산면 신농리에 중시조 이언충의 묘소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