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595 |
---|---|
한자 | 利川 徐氏 |
영어공식명칭 | Icheon Seo Clan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수환 |
본관 | 이천 - 경기도 이천시 |
---|---|
입향지 | 수암리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수암리![]() |
세거|집성지 | 수암리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수암리 |
세거|집성지 | 동지리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동지리![]() |
묘소|세장지 | 이천 서씨 세장지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수암리 105![]() |
성씨 시조 | 서신일(徐神逸) |
입향 시조 | 서연복(徐連福) |
[정의]
서신일을 시조로 하고 서연복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연원]
이천 서씨(利川 徐氏)는 서신일(徐神逸)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서신일은 817년(신라 헌덕왕 9)에 태어나 효공왕 대에 벼슬이 아간에 이르렀다. 서신일의 아들 서필(徐弼)이 고려의 내의령(內議令)을 지냈고, 손자 서희(徐熙)가 내사령(內史令), 증손자 서눌(徐訥)이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역임하며 이천 서씨는 고려의 명문가로 자리 잡았다.
충청남도 서천군에는 서릉(徐稜)을 시조로 하는 장성 서씨(長城 徐氏) 후손들도 세거하고 있는데, 장성 서씨 가운데 일부는 이천 서씨와 합본하여 절효공파(節孝公派)로 불리기도 한다.
[입향 경위]
이천 서씨 서천 지역 입향조는 서연복(徐連福)이다. 서연복은 선조 대에 서천군 문산면에 이거하여 정착하였으며, 1596년(선조 29)에 일어난 이몽학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워 청난원종공신(淸難原從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이후 서연복의 후손들이 문산면 수암리를 중심으로 서천 각지에 세거하게 되었다.
[현황]
2014년에 출간된 『서천인의 성씨 그 유래와 분포』에 따르면 서천군의 이천 서씨는 서천군 한산면 동지리에 8가구, 시초면 태성리에 6가구, 문산면 수암리에 3가구 등이 거주하고 있었다. 2015년 인구 조사에서는 총 82명의 이천 서씨가 서천군에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관련 유적]
이천 서씨 서천 지역 관련 유적으로는 서천군 문산면 수암리 105에 문중 묘역이 있다. 수암리 이천 서씨 문중 묘역에는 입향조 서연복의 제단이 건립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