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579 |
---|---|
한자 | 杞溪 俞氏 |
영어공식명칭 | Gigye Yu Clan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수환 |
입향 시기/일시 | 1457년 - 유기창 서천 입향 |
---|---|
본관 | 기계 - 경상북도 포항시 기계면 |
입향지 | 통박골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 |
세거|집성지 | 남당리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 |
묘소|세장지 | 유기창 묘소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저산리![]() |
성씨 시조 | 유삼재(兪三宰) |
입향 시조 | 유기창(俞起昌) |
[정의]
유삼재를 시조로 하고 유기창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서천군의 세거 성씨.
[연원]
기계 유씨(杞溪 俞氏)는 신라 시대에 아손(阿飡) 벼슬을 지낸 유삼재(兪三宰)를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신라의 관리였던 유삼재의 후손 유의신(兪義臣)이 고려에 불복하여 기계현[현 경상북도 기계면]의 호장으로 배치되었고, 이후 후손들이 기계현에 세거하면서 기계를 관향으로 삼았다.
기계 유씨는 유의신의 18세손에 이르러 유천경(俞千慶)을 파조로 하는 전서공파(典書公派), 유성리(俞成利)를 파조로 하는 판서공파(判事公派), 유성보(俞成保)를 파조로 하는 부정공파(副正公派)로 나뉘었다. 이후 유기창(俞起昌)의 아들 대에 처사공파(處士公派)와 석청공파(石淸公派)로 분파되었고, 24세손인 유순(俞洵)을 파조로 하는 신계공파(新溪公派), 유호(俞灝)를 파조로 하는 단성공파(丹城公派), 유홍(俞泓)을 파조로 하는 충목공파(忠穆公派), 유함(俞涵)을 파조로 하는 진사공파(進士公派), 유영(俞泳)을 파조로 하는 자산공파(慈山公派) 등 16파로 나뉘었다. 충청남도 서천군에 세거하며 많은 인물을 배출한 기계 유씨 가문은 처사공파와 학생공파(學生公派) 후손들이다.
조선 시대 생원·진사시 합격자 명단을 기록한 『사마방목(司馬榜目)』에는 한산에 거주하는 기계 유씨 인물인 유봉주(兪鳳柱)가 1810년(순조 10) 생원시에 합격한 사실과 비인에 거주하는 유언성(兪彦成)이 1714년(숙종 40) 생원시에 합격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입향 경위]
서천 지역 기계 유씨 입향조는 유기창(俞起昌)[1437~1514]이다. 유기창은 1437년(세종 19) 충청남도 홍성군에 있던 외할아버지 박담(朴澹)의 집에서 유복자로 태어나 이종사촌인 성삼문(成三問)과 함께 성장하였다. 1456년(세조 2) 단종 복위 사건에 연루되어 성삼문 집안과 박담 집안 모두 도륙을 당하자 유기창은 1457년에 어머니를 모시고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에 있던 처가로 이주하였다. 이후 후손들이 남당리를 중심으로 세거하며 번성하였다.
[현황]
201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서천군에 거주하는 기계 유씨는 총 275명이었으며, 비인면 남당리에 20여 호, 서면 마량리에 20여 호, 판교면 수성리에 10여 호, 비인면 칠지리에 15호의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관련 유적]
서천군 기계 유씨 관련 유적으로는 판교면 저산리에 입향조 유기창의 묘소가 있다. 비인면 남당리에는 1710년(숙종 36)에 창건하여 유기창을 주벽으로 유여림(俞汝霖)·유홍(俞泓)·유황(兪榥)·유계(俞棨)를 배향한 서천청절사(舒川淸節祠)[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가 있다. 서천청절사 옆에는 유기창의 둘째 아들 유여주(兪汝舟) 부부가 심었다는 500여 년 된 은행나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