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651
한자 李瑝
영어공식명칭 Yi Hwang
이칭/별칭 백원(伯元)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효자·열녀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785년연표보기 - 이황 출생
몰년 시기/일시 1836년연표보기 - 이황 사망
추모 시기/일시 1847년 - 이황 효자 정려
추모 시기/일시 1895년 - 이황 동몽교관 추증
출생지 서천 - 충청남도 서천군
거주|이주지 서천 - 충청남도 서천군
묘소|단소 이황 묘소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석촌리지도보기
사당|배향지 이황 효자 정려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석촌리 335지도보기
성격 효자
성별 남성
본관 전주

[정의]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효자.

[가계]

이황(李瑝)[1785~1836]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백원(伯元)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춘기(李春起)이고, 할아버지는 이장백(李長白)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겸 오위장을 지낸 이광규(李光逵)이고, 어머니는 조명제(曺命濟)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다. 부인은 정광련(鄭光璉)의 딸 진주 정씨(晉州 鄭氏)이고, 아들은 이정한(李鼎漢)·이정명(李鼎明)이다.

[활동 사항]

이황은 1785년(정조 9) 서천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천성이 선하고 어른을 공경하였으며, 열 살 때 아버지가 쓰러지자 지극정성으로 병간호를 하여 이때부터 효자로 이름을 떨쳤다. 1812년(순조 12) 아버지 이광규가 모함을 받고 관청에 갇히자, 이황은 아버지의 무고함을 밝히기 위해 자신의 손가락을 베어 혈서를 써서 관청에 진정서를 보냈다. 수령이 이를 효행으로 칭찬하며 아버지를 풀어 주었다고 한다. 이후 어머니가 병들자 지극정성으로 간호하여 어머니 병이 완쾌되었다. 주위 사람들이 이황의 정성에 하늘이 감동한 것이라고 칭찬하였다 한다.

이황은 부모가 사망하였을 때는 모든 예의를 갖추어 장례를 치렀고, 여름에는 묘소의 풀을 뽑고 겨울에는 눈을 쓸고 정리하여 주위의 칭송이 자자하였다. 이황은 1836년(헌종 2) 사망하였다.

[묘소]

이황의 묘소는 서천군 종천면 석촌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이황이 사망한 뒤 지역 유림의 청원으로 수령과 어사가 조정에 장계를 올려 1847년(헌종 13) 이황은 효자로 정려되었고, 1859년(철종 10)에는 동몽교관이 추증되었다. 이황의 증손자인 이건석(李建錫)이 서천군 종천면 석촌리 335에 있는 이황의 효자 정려각을 중건하였고, 6세손 이정현(李廷玹)이 비석을 세웠다. 정려각에는 명정 현판과 정려기, 중수기가 걸려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