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학자. 강학년(姜鶴年)[1585~1647]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자구(子久), 호는 복천(復泉)·자운(紫雲)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인(姜璘)이고, 할아버지는 강운상(姜雲祥)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강첨(姜籤)이고, 어머니는 신담(申湛)의 딸 고령 신씨(高靈 申氏)이다. 부인은 이덕기(李德沂)의 딸 한산 이씨(韓山 李氏)이고, 아들은 강호(姜鎬)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지원리에 있는 서천청덕사에 배향된 조선 전기의 문신. 구종직(丘從直)[1404~1477]의 본관은 평해(平海)이며, 자는 정보(正甫), 호는 백결재(白潔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판도판서를 지낸 구천우(丘天雨)이고, 할아버지는 구춘호(丘春浩)이다, 아버지는 구양선(丘揚善)이고, 어머니는 공성길(孔成吉)의 딸 창원 공씨(昌原 孔氏)이다. 아들은 구달손(丘達孫)·...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문신. 권벽(權擘)[1520~1593]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대수(大手), 호는 습재(習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념(權念)이고, 할아버지는 권억(權憶)이다. 아버지는 좌승지를 지낸 권기(權祺)이고, 어머니는 목사 김세영(金世英)의 딸 청풍 김씨(淸風 金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도사 정휴(鄭休)의 딸 해주 정씨(海州 鄭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문신. 권변(權忭)[1651~1726]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이숙(怡叔), 호는 수초당(遂初堂)·경곡(瓊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인(權韌)이고, 할아버지는 권전(權佺)이다. 아버지는 사헌부집의 권양(權讓)이고, 어머니는 종사랑 홍사도(洪思道)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소두산(蘇斗山)의 딸 진주 소씨(晉州 蘇氏)이고, 두...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문신. 권양(權讓)[1628~1697]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예경(禮卿), 호는 지족당(知足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벽(權擘)이고, 할아버지는 권인(權靭)이다. 아버지는 권전(權佺)이고, 어머니는 양천 허씨(陽川許氏)이다. 부인은 종사랑 홍사도(洪思道)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고, 아들은 권변(權忭)·권성(權𢜫)·권수(權𢢝)·권업(權𢢜...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문신이자 효자. 권적(權𥛚)[1675~1755]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경하(景賀), 호는 남애(南厓)·창백헌(蒼白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전(權佺)이고, 할아버지는 사헌부집의 권양(權讓)이다. 아버지는 권수(權𢢝)이고, 어머니는 이상응(李尙膺)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부인은 이수형(李秀衡)의 딸 한산 이씨(韓山 李氏)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화산리에 있는 화산서원에 배향된 조선 후기의 문인. 권필(權韠)[1569~1612]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여장(汝章), 호는 석주(石洲)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억(權憶)이고, 할아버지는 좌승지 권기(權祺)이다. 아버지는 장례원판결사를 지낸 권벽(權擘)이고, 어머니는 정충인(鄭忠仁)의 딸 경주 정씨(慶州 鄭氏)이다. 부인은 송제민(宋齊民)의 딸 홍주...
-
조선 전기 서천 지역에 입향하여 세거한 문신. 김서룡(金瑞龍)[?~?]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아들은 김시(金蒔)이고, 손자는 김여직(金汝稷), 증손자는 장흥부사를 역임한 김연백(金鍊白)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에 있는 흥신사에 제향된 조선 후기 무신. 김양언(金良彦)[1583~1627]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선익(善益)이다. 할아버지는 김장련(金長諫)이고, 아버지는 김덕수(金德秀)이다. 아들은 김세호(金世豪)이다....
-
조선 전기 서천 지역에 거주하였던 여류 문인. 김임벽당(金林碧堂)[1492~1549]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할아버지는 사간원사간을 지낸 김축(金軸)이다. 아버지는 김수천(金壽千)이고, 어머니는 한양 조씨(漢陽 趙氏)이다. 남편은 기계 유씨 유여주(兪汝舟)이고, 아들은 유위(兪緯)이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효자. 나광현(羅光賢)[1808~1860]의 본관은 나주(羅州)이며, 호는 두남(斗南)이다. 고조할아버지는 나만유(羅萬裕)이다. 첫 번째 부인은 고령 박씨(高靈 朴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경주 김씨(慶州 金氏)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에 있던 진포에서 왜구를 격퇴한 고려 후기의 문신. 나세(羅世)[1320~1397]의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나중윤(仲允)이고, 할아버지는 나송기(羅松奇), 아버지는 나수영(羅守永)이다. 형은 나위(羅位)·나계(羅桂)·나석(羅碩)이고, 동생은 나원(羅源)이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무신. 노정필(盧挺弼)[1560~1593]의 본관은 교하(交河)이며, 자는 군보(君輔)이다. 아버지는 노언수(盧彦秀)이고, 자손이 없는 큰아버지 노언길(盧彦吉)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
고려 후기 서천 지역에 유배되었던 문신. 두영철(杜英哲)[?~?]의 본관은 두릉(杜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도사를 지낸 두취림(杜就林)이고, 할아버지는 울산병마절도사를 지낸 두을지(杜乙之)이다. 아버지는 두장(杜杖)이다....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문신. 맹사성(孟思誠)[1360~1438]의 본관은 신창(新昌)이며, 자는 자명(自明), 호는 고불(古佛)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예부전서 맹의(孟義)이고, 할아버지는 이부상서를 지낸 맹유(孟裕)이다. 아버지는 수문전제학을 지낸 맹희도(孟希道)이고, 동생은 맹사겸(孟思謙)이다....
-
조선 전기 서천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맹희도(孟希道)[1337~1418]의 본관은 신창(新昌)이며, 호는 동포(東浦)이다. 할아버지는 예부전서 맹의(孟義)이고, 아버지는 이부상서를 지낸 맹유(孟裕)이다. 아들은 맹사성(孟思誠)·맹사겸(孟思謙)이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송덕함(宋德涵)[1661~1717]의 본관은 진천(鎭川)이며, 자는 수보(粹甫)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송상인(宋尙仁)이고, 할아버지는 송준(宋埈)이다. 아버지는 송석후(宋錫後)이고, 어머니는 임려(任礪)의 딸 풍천 임씨(豊川 任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정설(鄭揲)의 딸 초계 정씨(草溪 鄭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최의석(崔義錫)의 딸 전주 최씨(全州...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송도함(宋道涵)[1657~1724]의 본관은 진천(鎭川)이며, 자는 형보(亨甫)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송상인(宋尙仁)이고, 할아버지는 송준(宋埈)이다. 아버지는 송석후(宋錫後)이고, 어머니는 임려(任礪)의 딸 풍천 임씨(豊川 任氏)이다. 부인은 신수(申滫)의 딸 고령 신씨(高靈 申氏)이고, 아들은 송주항(宋柱恒)이다. 동생은 송덕함(宋德涵)·송선함(宋善...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학자. 송석후(宋錫後)[?~?]의 본관은 진천(鎭川)이며, 자는 지계(支溪)이다. 할아버지는 송상인(宋尙仁)이고, 아버지는 송준(宋埈)이다. 부인은 임려(任礪)의 딸 풍천 임씨(豊川 任氏)이고, 아들은 송도함(宋道涵)·송덕함(宋德涵)·송선함(宋善涵)·송대함(宋大涵)·송윤함(宋胤涵)·송시함(宋時涵)이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학자. 송선함(宋善涵)[1673~1732]의 본관은 진천(鎭川)이며, 자는 신보(信甫)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송상인(宋尙仁)이고, 할아버지는 송준(宋埈)이다. 아버지는 송석후(宋錫後)이고, 어머니는 임려(任礪)의 딸 풍천 임씨(豊川 任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조겸(趙謙)의 딸 풍양 조씨(豐壤 趙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박수강(朴壽岡)의 딸 무안 박씨(務安...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송시함(宋時涵)[1687~1756]의 본관은 진천(鎭川)이며, 자는 화보(和甫)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송상인(宋尙仁)이고, 할아버지는 송준(宋埈)이다. 아버지는 송석후(宋錫後)이고, 어머니는 임려(任礪)의 딸 풍천 임씨(豊川 任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김홍재(金弘載)의 딸 안동 김씨(安東 金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김양(金瀁)의 딸 상산 김씨(商山...
-
조선 후기 서천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신광수(申光洙)[1712~1775]의 본관은 고령(高靈)이며, 자는 성연(聖淵), 호는 석북(石北)·오악산인(五嶽山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흡(申潝)이고, 할아버지는 신태제(申泰濟)이다. 아버지는 신호(申澔)이고, 어머니는 이휘(李徽)의 딸 성산 이씨(星山 李氏)이다. 부인은 윤두서(尹斗緖)의 딸 해남 윤씨(海南 尹氏)이고, 아들은 신우상...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율리에 있는 율리사에 배향된 고려 후기의 문신. 신기(申淇)[1365~1393]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의오(漪吾)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좌대언을 지낸 신중명(申仲明)이고, 할아버지는 어사대부 신군평(申君平)이다. 아버지는 집현전한림을 지낸 신혼(申琿)이고, 어머니는 임덕수(任德壽)의 딸 풍천 임씨(豊川 任氏)이다. 아들은 신용(申龍)이고, 형은 신호...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신담(申湛)[1519~1595]의 본관은 고령(高靈)이며, 자는 충경(沖卿), 호는 어성(漁城)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희윤(申希潤)이고, 할아버지는 신계(申洎)이다. 아버지는 신영원(申永源)이고, 어머니는 이윤수(李允秀)의 딸 한산 이씨(韓山 李氏)이다. 형은 신엄(申淹)이고, 아들은 신자숙(申自淑)·신자점(申自漸)·신자심(申自深)이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여류 문인. 신부용당(申芙蓉堂)[1732~1791]의 본관은 고령(高靈)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흡(申潝)이고, 할아버지는 신태제(申泰濟)이다. 아버지는 신호(申澔)이고, 어머니는 이천령(李千齡)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남편은 윤두서(尹斗緖)의 손자인 윤운(尹惲)[1730~1773]이고, 아들은 윤규영(尹奎永)·윤지눌(尹持訥)[족보명은 윤규응(尹奎應...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율리에 있는 율리사에 배향된 고려 후기의 문신. 신연(申演)[?~1393]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원오(源吾)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좌대언을 지낸 신중명(申仲明)이고, 할아버지는 어사대부 신군평(申君平)이다. 아버지는 집현전한림을 지낸 신혼(申琿)이고, 어머니는 임덕수(任德壽)의 딸 풍천 임씨(豊川 任氏)이다. 형은 신호(申浩)이고, 동생은 신기(申淇...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무신. 신오(申澳)[1591~1636]는 평산 신씨 인물로,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사탁(士濯)이다. 고려 개국공신 장절공 신숭겸(申崇謙)의 22세 후손으로, 조부는 이조참의를 지낸 신준경(申俊卿)이고, 부는 윤여공(尹汝恭)이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학자. 신철(申澈)[1588~1637]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사척(士滌), 호는 지족재(知足齋)이다. 할아버지는 이조참의를 지낸 신준경(申俊卿)이고, 아버지는 신여공(申汝恭)이다. 어머니는 현감 김덕준(金德俊)의 딸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율리에 있는 율리사에 배향된 고려 후기의 문신. 신현(申賢)[1298~1377]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신경(信敬), 호는 운월재(雲月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적(申示+啇)이고, 할아버지는 신연(申衍)이다. 아버지는 좌대언을 지낸 신중명(申仲明)이고, 형은 신집(申諿)·신군평(申君平)이다. 아들은 신용의(申用義)·신상(申商)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율리에 있는 율리사에 배향된 고려 후기의 문신. 신혼(申琿)[?~1393[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호는 우재(尤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연(申衍)이고, 할아버지는 좌대언을 지낸 신중명(申仲明)이다. 아버지는 어사대부 신군평(申君平)이고, 부인은 임덕수(任德壽)의 딸 풍천 임씨(豊川 任氏)이다. 아들은 신호(申浩)·신연(申演)·신기(申淇)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에 있는 서천청절사에 배향된 조선 후기의 문신. 유계(兪棨)[1607~1664]의 본관은 기계(杞溪)이며, 자는 무중(武仲), 호는 시남(市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유함(兪涵)이고, 할아버지는 유대경(兪大敬)이다. 아버지는 유양증(兪養曾)이고, 어머니는 남이신(南以信)의 딸 의령 남씨(宜寧 南氏)이다. 부인은 이산악(李山岳)의 딸 광주 이씨(廣州 李氏)...
-
개항기 서천 출신의 학자. 윤광의(尹珖儀)[1826~1904]의 본관은 파평(坡平)이며, 자는 신여(信汝), 호는 환성(喚星)이다. 영의정을 지낸 윤필상(尹弼商)의 14세손으로, 할아버지는 윤길진이고, 아버지는 윤영규(尹永奎)이다....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이계린(李季疄)[1401~1455]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자경(子耕)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도첨의찬성우문관대제학 이곡(李穀)이고, 할아버지는 판문하부사를 지낸 이색(李穡)이다. 아버지는 중추원사 이종선(李種善)이고, 어머니는 권근(權近)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부인은 청평부원군 이백강(李伯剛)의 딸 청주 이씨(淸州 李氏)이고, 아들...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이계전(李季甸)[1404~1459]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병보(屛甫), 호는 존양재(存養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도첨의찬성우문관대제학 이곡(李穀)이고, 할아버지는 판문하부사를 지낸 이색(李穡)이다. 아버지는 중추원사 이종선(李種善)이고, 어머니는 권근(權近)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부인은 지봉산군사 진호(秦浩)의 딸 풍기 진씨(豐...
-
고려 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이곡(李穀)[1298~1351]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중부(仲父), 호는 가정(稼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효진(李孝進)이고, 할아버지는 이창세(李昌世)이다. 아버지는 정읍감무를 지낸 이자성(李自成)이고, 어머니는 이춘년(李春年)의 딸 울산 이씨(蔚山 李氏)이다. 부인은 김택(金澤)의 딸 함창 김씨(咸昌 金氏)이고, 아들은 이색(李穡)이다....
-
고려 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이당모(李唐髦)[?~?]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아버지는 정당문학을 지낸 이지명(李知命)이다....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이맹균(李孟畇)[1371~1440]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사원(士原), 호는 한재(漢齋)·한소재(漢蘇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도첨의찬성우문관대제학 이곡(李穀)이고, 할아버지는 판문하부사를 지낸 이색(李穡)이다. 아버지는 동지밀직사사 이종덕(李種德)이고, 어머니는 문하평리 유혜손(柳惠孫)의 딸 진주 유씨(晉州 柳氏)이다. 부인은 이구직(李丘直...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이봉(李封)[1441~1493]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번중(蕃仲), 호는 소은(蘇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판문하부사 이색(李穡)이고, 할아버지는 중추원부사 이종선(李種善)이다. 아버지는 영중추원사 이계전(李季甸)이고, 어머니는 지봉산군사 진호(秦浩)의 딸 풍기 진씨(豐基 秦氏)이다. 부인은 김삼로(金三老)의 딸 안동 김씨(安東 金氏)이고,...
-
조선 전기 서천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이산보(李山甫)[1539~1594]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중거(仲擧), 호는 명곡(鳴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장윤(李長潤)이고, 할아버지는 이치(李穉)이다. 아버지는 이지무(李之茂)이고, 어머니는 구승유(具承裕)의 딸 능성 구씨(綾城 具氏)이다. 부인은 이창(李𢠵)의 딸 덕수 이씨(德水 李氏)이다....
-
고려 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이색(李穡)[1328~1396]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영숙(穎叔), 호는 목은(牧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창세(李昌世)이고, 할아버지는 정읍감무를 지낸 이자성(李自成)이다. 아버지는 도첨의찬성우문관대제학 이곡(李穀)이고, 어머니는 김택(金澤)의 딸 함창 김씨(咸昌 金氏)이다. 부인은 권중달(權仲達)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고, 아들은...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학자. 이세유(李世瑜)[1524~?]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공근(公瑾)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엄(李渰)이고, 할아버지는 이윤창(李允昌), 아버지는 이욱(李昱)이다. 부인은 흥덕 진씨(興德 陳氏)이다. 형은 이세형(李世珩)·이세침(李世琛)이고, 동생은 이세순(李世珣)·이세원(李世瑗)·이세찬(李世瓚)이다....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인 문신. 이숙묘(李叔畝)[?~1439]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도첨의찬성우문관대제학 이곡(李穀)이고, 할아버지는 판문하부사를 지낸 이색(李穡)이다. 아버지는 밀직사지신사 이종학(李種學)이고, 어머니는 이춘부(李春富)의 딸 양성 이씨(陽城 李氏)이다. 부인은 진안대군 이방우(李芳雨)의 딸 경혜옹주(敬惠翁主)이고, 아들은 이원증(李元增)·이형증(...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이숙치(李叔畤)[1390~1446]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도첨의찬성우문관대제학 이곡(李穀)이고, 할아버지는 판문하부사를 지낸 이색(李穡)이다. 아버지는 밀직사지신사 이종학(李種學)이고, 어머니는 이춘부(李春富)의 딸 양성 이씨(陽城 李氏)이다. 부인은 의정부찬성사 안순(安純)의 딸 순흥 안씨(純興 安氏)이다. 형은 이숙야(李叔野)·...
-
고려 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이순효(李純孝)[?~1254]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아버지는 호부시랑 재임 중 금나라에 만추절(萬秋節) 축하 사신으로 파견되기도 하였던 이실춘(李實椿)이다....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이언호(李彦浩)[1477~1519]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양중(養仲)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축(李蓄)이고, 할아버지는 이훈(李塤)이다. 아버지는 좌의정 이유청(李惟淸)이고, 어머니는 이령(李聆)의 딸 경주 이씨(慶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윤회정(尹懷貞)의 딸 파평 윤씨(坡平 尹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파징수 이종암(李終巖)의 딸 전...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이우(李堣)[1432~1467]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명중(明仲)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판문하부사 이색(李穡)이고, 할아버지는 중추원부사 이종선(李種善)이다. 아버지는 영중추원사 이계전(李季甸)이고, 어머니는 지봉산군사 진호(秦浩)의 딸 풍기 진씨(豐基 秦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서진생(徐晉生)의 딸 이천 서씨(利川 徐氏), 두 번째 부인은...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이윤번(李允番)[1460~1539]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무숙(茂叔)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맹진(李孟畛)이고, 할아버지는 이연기(李衍基)이다. 아버지는 이서(李湑)이고, 어머니는 홍연(洪演)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부인은 윤사연(尹思淵)의 딸 파평 윤씨(坡平 尹氏)이고, 아들은 이귀지(李貴枝)이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효자이자 의병장. 이임(李稔)[1548~1624]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여실(汝實), 호는 남강(南江)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윤창(李允昌)이고, 할아버지는 이욱(李昱)이다. 아버지는 이세침(李世琛)이고, 어머니는 창원 정씨(昌原 丁氏)이다. 부인은 연일 정씨(延日 鄭氏)이고, 아들은 이유찬(李惟粲)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에 있는 문헌서원에 배향된 조선 전기의 문신. 이자(李耔)[1480~1533]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차야(次野), 호는 음애(陰崖)·몽옹(夢翁)·계옹(溪翁)·풍림거사(楓林居士) 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지돈녕부사 이숙묘(李叔畝)이고, 할아버지는 이형증(李亨增)이다. 아버지는 사간원대사간 이예견(李禮堅)이고, 어머니는 김관안(金寬安)의 딸 선산...
-
고려 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이종덕(李鍾德)[1351~1388]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호는 삼당(三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읍감무 이자성(李自成)이고, 할아버지는 도첨의찬성우문관대제학 이곡(李穀)이다. 아버지는 판문하부사 이색(李穡)이고, 어머니는 권중달(權仲達)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부인은 문하평리 유혜손(柳惠孫)의 딸 진주 유씨(晉州 柳氏)이고, 아들은 이...
-
고려 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이종학(李種學)[1361~1392]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중문(仲文), 호는 인재(麟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읍감무 이자성(李自成)이고, 할아버지는 도첨의찬성우문관대제학 이곡(李穀)이다. 아버지는 판문하부사 이색(李穡)이고, 어머니는 권중달(權仲達)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부인은 이춘부(李春富)의 딸 양성 이씨(陽城 李氏)이고,...
-
고려 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이지명(李知命)[1127~1191]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낙수(樂叟)이다. 아들은 이당모(李唐髦)이다....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이축(李蓄)[1402~1473]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윤보(閏甫), 호는 망월암(望越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판문하부사 이색(李穡)이고, 할아버지는 밀직사지신사를 지낸 이종학(李種學)이다. 아버지는 광주목사 이숙야(李叔野)이고, 어머니는 한성부윤 봉유인(奉由仁)의 딸 하음 봉씨(河陰 奉氏)이다. 부인은 서선(徐選)의 딸 이천 서씨(利川 徐氏...
-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이파(李坡)[1434~1486]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평중(平仲), 호는 송국재(松菊齋)·소계(蘇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판문하부사 이색(李穡)이고, 할아버지는 중추원부사 이종선(李種善)이다. 아버지는 영중추원사 이계전(李季甸)이고, 어머니는 지봉산군사 진호(秦浩)의 딸 풍기 진씨(豐基 秦氏)이다. 부인은 윤계동(尹季童)의 딸 파평 윤씨(坡...
-
조선 후기 서천 지역의 한산군수를 역임한 문신. 이하징(李夏徵)[1686~1755]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징지(徵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휘조(李徽祚)이고, 할아버지는 이익령(李翼齡)이다. 아버지는 이명준(李明浚)이고, 어머니는 안해(安楷)의 딸이다. 동생은 이하석(李夏錫)이고, 아들은 이지춘(李址春)이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무신. 장계선(張繼先)[1570~1619]의 본관은 예산(禮山)이며, 자는 효백(孝伯)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장경지(張敬持)이고, 할아버지는 장공(張珙)이다. 아버지는 장석린(張石麟)이고, 어머니는 노공좌(盧公佐)의 딸이다. 부인은 허파(許笆)의 딸 양천 허씨(陽川 許氏)이다....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문신. 조속(趙涑)[1595~1668]의 본관은 풍양(豐壤)이며, 자는 희온(希溫)·경온(景溫), 호는 창강(滄江)·창추(滄醜)·취추(醉醜)·취옹(醉翁)·취병(醉病)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문관전한 조종경(趙宗敬)이고, 할아버지는 의정부사인 조정기(趙廷機)이다. 아버지는 대흥현감을 지낸 조수륜(趙守倫)이고, 어머니는 정선복(鄭善復)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
-
조선 후기 서천 지역에 입향하여 거주한 문신. 조수륜(趙守倫)[1555~1612]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경지(景至), 호는 풍옥헌(風玉軒)·만귀(晩歸)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팽(趙彭)이고, 할아버지는 홍문관전한 조종경(趙宗敬)이다. 아버지는 의정부사인 조정기(趙廷機)이고, 어머니는 강욱(姜昱)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다. 부인은 정선복(鄭善復)의 딸 동래 정씨(東萊...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구암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조태채(趙泰采)[1660~1722]의 본관은 양주(楊州)이며, 자는 유량(幼亮), 호는 이우당(二憂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존성(趙存性)이고, 할아버지는 조계원(趙啓遠)이다. 아버지는 조희석(趙禧錫)이고, 어머니는 백홍일(白弘一)의 딸 수원 백씨(水原 白氏)이다. 부인은 심익선(沈益善)의 딸 청송 심씨(靑松 沈氏)이...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지원리에 있던 건암서원에 배향된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의병장. 조헌(趙憲)[1544~1592]의 본관은 배천(白川)이며, 자는 여식(汝式), 호는 중봉(重峯)·도원(陶原)·후율(後栗) 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황(趙璜)이고, 할아버지는 조세우(趙世佑)이다. 아버지는 조응지(趙應祉)이고, 어머니는 차순달(車順達)의 딸 용성 차씨(龍城 車氏)이다. 부인은 신세함...
-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무신. 지계최(池繼漼)[1594~1637]의 본관은 충주(忠州)이며, 자는 언숙(彦叔), 호는 표곡(豹谷)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