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668 |
---|---|
한자 | 李孟畇 |
영어공식명칭 | Yi Maenggyun |
이칭/별칭 | 사원(士原),한재(漢齋),한소재(漢蘇齋),문혜(文惠)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이근호 |
출생 시기/일시 | 1371년![]() |
---|---|
활동 시기/일시 | 1385년 - 이맹균 문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419년 - 이맹균 판한성부사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421년 - 이맹균 사은사 부사로 명나라 파견 |
활동 시기/일시 | 1422년 - 이맹균 예조참판과 경기도도관찰사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424년 - 이맹균 공조판서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425년 - 이맹균 예조판서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426년 - 이맹균 이조판서와 병조판서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427년 - 이맹균 의정부참찬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430년 - 이맹균 예문관대제학 제수 |
몰년 시기/일시 | 1440년![]() |
출생지 | 고촌리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고촌리![]() |
묘소|단소 | 이맹균 묘소 -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
사당|배향지 | 문헌서원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 |
성격 | 문신 |
성별 | 남성 |
본관 | 한산 |
대표 관직|경력 | 이조판서|의정부참찬 |
[정의]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문신.
[가계]
이맹균(李孟畇)[1371~1440]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사원(士原), 호는 한재(漢齋)·한소재(漢蘇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도첨의찬성우문관대제학 이곡(李穀)이고, 할아버지는 판문하부사를 지낸 이색(李穡)이다. 아버지는 동지밀직사사 이종덕(李種德)이고, 어머니는 문하평리 유혜손(柳惠孫)의 딸 진주 유씨(晉州 柳氏)이다. 부인은 이구직(李丘直)의 딸 전의 이씨(全義 李氏)이다. 형은 이맹유(李孟㽥)이고, 동생은 이맹진(李孟畛)이다.
[활동 사항]
이맹균은 1371년(공민왕 20)에 태어나 1385년(우왕 11) 문과에 급제하였다. 조선 건국 후 태종 대에 내서사인을 거쳐 사헌부집의·사간원우사간 등을 역임하였고, 1419년(세종 1) 판한성부사에 제수되었다.
이맹균은 1421년 사은사의 부사로 차출되어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1422년 예조참판과 경기도도관찰사를 거쳐 1424년 공조판서에 제수되었다. 1425년 예조판서, 1426년 이조판서와 병조판서를 거쳐 1427년 의정부참찬이 되었고, 1430년 예문관대제학 등을 지냈다. 이후 이조판서와 예문관대제학 등을 몇 차례 역임한 뒤 1440년에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맹균의 저술로는 『동문선(東文選)』에 「송경회고(松京懷古)」, 「차철원취전주(次鐵原聚錢州)」, 「탄무자(嘆無子)」 등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묘소]
이맹균의 묘소는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에 있다.
[상훈과 추모]
이맹균은 사망한 뒤 문혜(文惠)라는 시호를 하사받았으며,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에 있는 문헌서원(文獻書院)[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에 배향되었다. 1611년 사액된 문헌서원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1969년 영모리에 이전·복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