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620 |
---|---|
한자 | 李穡 |
영어공식명칭 | Yi Saek |
이칭/별칭 | 영숙(穎叔),목은(牧隱)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박수환 |
출생 시기/일시 | 1328년 6월 17일![]() |
---|---|
활동 시기/일시 | 1341년 - 이색 진사시 합격 |
활동 시기/일시 | 1348년 - 이색 원나라 국자감 입교 |
활동 시기/일시 | 1353년 - 이색 정동행성 향시 장원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354년 - 이색 원나라 회시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354년 - 이색 통직랑전리정랑예문응교지제교 겸 춘추관편수관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363년 - 이색 신축호종공신 1등 녹훈 |
활동 시기/일시 | 1371년 - 이색 지춘추관사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389년 - 이색 판문하부사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390년 - 이색 윤이와 이초의 옥사에 연루되어 청주옥 수감 |
활동 시기/일시 | 1395년 - 이색 한산백 책봉 |
몰년 시기/일시 | 1396년 6월 17일![]() |
출생지 | 괴시리 - 경상북도 영해군 영해읍 괴시리 |
거주|이주지 | 고촌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고촌리![]() |
묘소|단소 | 이색 묘소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 |
사당|배향지 | 효정사(孝靖祠)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 |
성격 | 문신 |
성별 | 남성 |
본관 | 한산 |
대표 관직|경력 | 판문하부사 |
[정의]
고려 후기 서천 출신의 문신.
[가계]
이색(李穡)[1328~1396]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영숙(穎叔), 호는 목은(牧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창세(李昌世)이고, 할아버지는 정읍감무를 지낸 이자성(李自成)이다. 아버지는 도첨의찬성우문관대제학 이곡(李穀)이고, 어머니는 김택(金澤)의 딸 함창 김씨(咸昌 金氏)이다. 부인은 권중달(權仲達)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고, 아들은 이종덕(李鍾德)·이종학(李鍾學)·이종선(李鍾善)이다.
[활동 사항]
이색은 1328년(충숙왕 15) 지금의 경상북도 영해군 영해읍 괴시리에 있던 외가에서 태어나 이제현(李齊賢)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1341년(충혜왕 복위 2)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원나라의 중서사전부에 임명된 아버지 이곡을 따라 1348년(충목왕 4) 3월 원나라에 가서 국자감의 생원이 되어 성리학을 연구하다가 1351년(충정왕 3) 아버지의 상을 당하여 귀국하였다. 1353년(공민왕 2) 정동행성 향시에서 장원급제한 뒤 서장관이 되어 다시 원나라로 건너갔고, 1354년 원나라 회시에서 1등을 하고 전시에서는 2등으로 합격하여 응봉한림문자승사랑동지제고 겸 국사원편수관에 제수되었다.
이색은 원나라에서 과거에 급제한 뒤 바로 귀국하였으며, 1354년 12월에 통직랑전리정랑예문응교지제교 겸 춘추관편수관에 임명되었다. 1355년 내서사인으로 승진하였고, 1357년 국자좨주와 우간의대부를 역임하였다. 1360년 3월에는 추밀원좌부승선지예부사가 되었다. 1362년 원나라로부터 정동행중서성유학제거에 임명되었고, 고려에서는 밀직제학동지춘추관사로 승진하고 단성보리공신(端誠保理功臣)에 녹훈되었다. 성균관이 다시 설치될 때에는 대사성이 되어 김구용(金九容)·정몽주(鄭夢周)·이숭인(李崇仁) 등과 더불어 성리학을 부흥시키고 유생들을 양성하였다. 1363년에는 신축호종공신(辛丑扈從功臣) 1등에 녹훈되었다.
1371년 이색은 지춘추관사로서 감춘추관사인 이인복(李仁復)과 함께 『금경록(金鏡錄)』을 증수(增修)하였으며, 신돈 축출 이후에는 정당문학에 임명되고 문충보절찬화공신(文忠保節贊化功臣)에 녹훈되었지만 어머니의 상을 당하여 관직에서 물러났다. 1372년 기복(起復)[상중에는 벼슬을 하지 않는다는 관례를 깨고 벼슬을 하는 것]되었으나 병을 이유로 사직을 청하여 1373년 11월에 면직되면서 한산군(韓山君)에 책봉되었다.
1388년(우왕 14)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 일파가 우왕을 폐위하고 강화로 내쫒자 이색은 조민수(曺敏修) 등과 함께 창왕(昌王)을 옹립하였다. 1389년(공양왕 1) 판문하부사가 되었으나 이성계가 권력을 잡은 뒤에는 오사충(吳思忠)의 상소로 인하여 장단(長湍)에 유배되었다. 1390년에는 함창(咸昌)으로 이배되었고, 윤이(尹彝)와 이초(彛初)의 옥사에 연루되면서 청주 감옥으로 옮겼다가 홍수로 인하여 다시 함창으로 옮겨 안치되었다.
이색은 1391년 석방되어 한산부원군(韓山府院君)에 책봉되었으나, 1392년(태조 원년) 정몽주 피살 사건에 연루되어 금주(衿州)[현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 일대]로 추방되었다. 이후 여흥(驪興)[현 경기도 여주시]·장흥(長興) 등지로 유배된 뒤 석방되었고, 1395년 한산백(韓山伯)에 책봉되었다. 이색은 이성계가 출사(出仕)를 종용하였으나 이를 거부하고 1396년 여강(驪江)으로 가던 도중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색의 저술로는 『목은유고(牧隱遺稿)』·『목은시고(牧隱詩稿)』 등이 있다.
[묘소]
이색의 묘소는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 문헌서원 경내에 있다.
[상훈과 추모]
이색은 사망한 뒤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에 있는 문헌서원(文獻書院)에 배향되었다. 1611년에 사액된 문헌서원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1969년 영모리에 이전·복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