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희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615
한자 孟希道
영어공식명칭 Maeng Huido
이칭/별칭 동포(東浦)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축동리
시대 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수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337년연표보기 - 맹희도 출생
활동 시기/일시 1365년 - 맹희도 문과 급제
몰년 시기/일시 1418년연표보기 - 맹희도 사망
거주|이주지 축동리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축동리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중리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중리
묘소|단소 멩희도 묘소 - 충청남도 아산시 법곡동
사당|배향지 세덕사(世德祠)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행단길 25[중리 300]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신창
대표 관직|경력 수문전제학

[정의]

조선 전기 서천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가계]

맹희도(孟希道)[1337~1418]의 본관은 신창(新昌)이며, 호는 동포(東浦)이다. 할아버지는 예부전서 맹의(孟義)이고, 아버지는 이부상서를 지낸 맹유(孟裕)이다. 아들은 맹사성(孟思誠)·맹사겸(孟思謙)이다.

[활동 사항]

맹희도는 1337년(충숙왕 복위 5)에 태어났다. 1365년(공민왕 14) 문과에 급제한 뒤 전교령·전교부령·한성윤·수문전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공양왕 때 정치가 혼란하자 관직에서 물러나 충청도 온양[현 충청남도 아산시]의 오봉산(五峯山) 밑에 은거하였으며, 아버지 맹유가 사망하자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축동리에서 장례를 치르고 3년 동안 머무르기도 하였다. 맹희도는 조선 개국 후에는 지금의 아산시 배방읍 중리에 정착하여 조정에 나아가지 않고 후진 양성에 힘쓰다가 1418년(태조 18) 사망하였다.

맹희도는 평소 효성이 지극하였는데, 부모의 시묘살이를 할 때 움집에 흰 까마귀가 슬피 우는 것을 보고 부모를 여읜 슬픔에 젖어 통곡을 멈추지 않아서 맹희도의 효성이 세상에 널리 알려졌다. 이에 고려 공양왕 때와 조선 태조 때 맹희도의 효행을 기려 정려를 내렸다.

[묘소]

맹희도의 묘소는 충청남도 아산시 법곡동에 있다.

[상훈과 추모]

맹희도는 사망한 뒤 우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아산시 배방읍 행단길 25[중리 300]에 있는 아산맹씨행단 뒤편 세덕사(世德祠)에 위패가 봉안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