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곡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621
한자 李穀
영어공식명칭 Yi Gok
이칭/별칭 중부(仲父),가정(稼亭)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박수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298년 8월 25일연표보기 - 이곡 출생
활동 시기/일시 1317년 - 이곡 거자과 급제, 예문관검열 역임
활동 시기/일시 1332년 - 이곡 원나라 전시 급제
활동 시기/일시 1334년 - 이곡 귀국, 가선대부시전의부령직보문각 제수
활동 시기/일시 1350년 - 이곡 원나라 봉의대부정동행중서성좌우사낭중 제수
몰년 시기/일시 1351년 1월 28일연표보기 - 이곡 사망
출생지 한산 - 충청남도 서천군
거주|이주지 한산 - 충청남도 서천군
묘소|단소 이곡 묘소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광암리 산10-1지도보기
사당|배향지 문헌서원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한산
대표 관직|경력 도첨의찬성우문관대제학

[정의]

고려 후기 서천 출신의 문신.

[가계]

이곡(李穀)[1298~1351]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중부(仲父), 호는 가정(稼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효진(李孝進)이고, 할아버지는 이창세(李昌世)이다. 아버지는 정읍감무를 지낸 이자성(李自成)이고, 어머니는 이춘년(李春年)의 딸 울산 이씨(蔚山 李氏)이다. 부인은 김택(金澤)의 딸 함창 김씨(咸昌 金氏)이고, 아들은 이색(李穡)이다. 형은 이배(李培)·이축(李畜)이다.

[활동 사항]

이곡은 1317년(충숙왕 4) 거자과(擧子科)에 급제하여 예문관검열이 되었고, 1332년(충숙왕 복위 1) 원나라에서 정동성(征東省) 향시에 1등으로 선발된 뒤 전시에도 급제하여 한림국사원검열관이 되었다. 1334년 본국인 고려로부터 학교 진흥의 명을 받고 귀국하여 가선대부시전의부령직보문각에 제수되었고, 1335년에 다시 원나라로 건너가 정동행중서성좌우사원외랑을 비롯한 여러 벼슬을 역임하며 고려에서 동녀(童女)를 징발하는 문제에 대하여 원나라 조정에 건의하기도 하였다.

이곡은 이후 고려에서 밀직부사·정당문학·도첨의찬성우문관대제학 등을 역임하고 한산군(韓山君)에 책봉되었다. 충정왕 즉위 후에는 공민왕의 옹립을 주장한 일로 불안을 느껴 관동 지방을 유람하며 시간을 보냈다. 이곡은 1350년(충정왕 2) 원나라로부터 봉의대부 정동행중서성좌우사낭중에 제수되었으나 1351년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곡의 저술로는 1364년(공민왕 13)에 간행된 시문집 『가정집(稼亭集)』이 있다. 이곡은 이제현(李齊賢) 등과 함께 민지(閔漬)가 편찬한 『편년강목(編年綱目)』을 증수하고 충렬왕·충선왕·충숙왕의 실록을 편수하기도 하였다.

[묘소]

이곡의 묘소는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광암리 산10-1에 있다. 서천 이곡의 묘라는 명칭으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상훈과 추모]

이곡은 사망한 뒤 서천 문헌서원(文獻書院)[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과 영해 단산서원(丹山書院)에 배향되었다. 1611년에 사액된 문헌서원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1969년 지금의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에 이전·복설되었다. 문헌서원에는 이곡을 비롯하여 이색·이종덕(李鐘德)·이종학(李種學)·이종선(李種善)·이맹균(李孟畇)·이개(李塏)·이자(李耔) 등 여덟 명의 한산 이씨 문중 인물이 배향되어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