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662 |
---|---|
한자 | 申澳 |
영어공식명칭 | Shin O |
이칭/별칭 | 사탁(士濯)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수환 |
출생 시기/일시 | 1591년![]() |
---|---|
활동 시기/일시 | 1620년 - 신오 무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621년 - 신오 청성 수비군으로 부임 |
몰년 시기/일시 | 1636년![]() |
추모 시기/일시 | 1697년 - 신오 군자감주부 추증 |
출생지 | 율리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율리![]() |
거주|이주지 | 율리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율리 |
사당|배향지 | 율리사(栗里祠)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검로287번길 18[율리 193]![]() |
성격 | 무신 |
성별 | 남성 |
본관 | 평산 |
[정의]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무신.
[가계]
신오(申澳)[1591~1636]는 평산 신씨 인물로,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사탁(士濯)이다. 고려 개국공신 장절공 신숭겸(申崇謙)의 22세 후손으로, 조부는 이조참의를 지낸 신준경(申俊卿)이고, 부는 윤여공(尹汝恭)이다.
[활동 사항]
신오는 1591년(선조 24)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율리에서 태어났다. 본래는 문과에 응시하고자 하였으나 김응하(金應河)가 명나라 군대에 합류하여 후금군과 싸우다 전사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1620년(광해군 12) 형 신형과 함께 무과에 응시하여 급제하였다. 1621년에 의주의 청성(淸城)을 지키는 임무를 맡았을 때는 사재를 털어 군량에 충당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신오는 300여 명을 이끌고 한성에 들어가 수도를 방어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 때에는 군사를 이끌고 남한산성으로 향하던 중 경기도 광주의 험천(險川)에서 적들과 전투를 벌이다가 사망하였다.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따르면, 신오는 청나라 군대의 공격으로 대오가 무너지자 늙은 나무 아래에 꼿꼿하게 선 채로 적들을 쏘아 죽이고 화살이 다 떨어져 전사하였다고 한다.
[상훈과 추모]
신오는 사망한 뒤 1697년(숙종 23) 군자감주부에 추증되었고, 지금의 서천군 비인면 성검로287번길 18[율리 193]에 있는 율리사(栗里祠)[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에 배향되었다. 율리사는 평산 신씨 시조인 신숭겸(申崇謙)을 주배향자로 하고 신오를 비롯한 평산 신씨 후손 신현(申賢)·신혼(申琿)·신연(申演)·신기(申淇)·신철(申澈)을 배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