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618
한자 李種學
영어공식명칭 Yi Jonghak
이칭/별칭 중문(仲文),인재(麟齋)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박수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361년연표보기 - 이종학 출생
활동 시기/일시 1375년 - 이종학 성균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376년 - 이종학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388년 - 이종학 우대언 역임
활동 시기/일시 1390년 - 이종학 윤이와 이초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
활동 시기/일시 1392년 - 이종학 함창에 유배
몰년 시기/일시 1392년연표보기 - 이종학 사망
출생지 고촌리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고촌리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서천 - 충청남도 서천군
사당|배향지 문헌서원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한산
대표 관직|경력 지신사|우대언

[정의]

고려 후기 서천 출신의 문신.

[가계]

이종학(李種學)[1361~1392]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중문(仲文), 호는 인재(麟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읍감무 이자성(李自成)이고, 할아버지는 도첨의찬성우문관대제학 이곡(李穀)이다. 아버지는 판문하부사 이색(李穡)이고, 어머니는 권중달(權仲達)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부인은 이춘부(李春富)의 딸 양성 이씨(陽城 李氏)이고, 아들은 이숙야(李叔野)·이숙휴(李叔畦)·이숙당(李叔當)·이숙묘(李叔畝)·이숙복(李叔福)·이숙치(李叔畤)이다. 형은 이종덕(李鍾德)이고, 동생은 이종선(李鍾善)이다.

[활동 사항]

이종학은 1361년(공민왕 10)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고촌리에서 태어났다. 1375년 성균시에 합격하였고, 1376년(우왕 2) 문과에 동진사로 급제하여 장흥고사(長興庫使)에 제수되었다. 이후 관직이 밀직사지신사에 이르렀고, 1388년에는 우대언의 관직에 있으면서 요동정벌군이 출정하기 전 조병육정신(助兵六丁神)에게 초례(醮禮)를 행하기도 하였다.

이종학은 1389년(창왕 1) 동지공거가 되었는데, 이때 아버지 이색이 정권의 핵심에 있으면서 두 해에 걸쳐 과거를 관장하자 사람들이 시기하였다. 1390년(공양왕 2)에는 윤이(尹彝)와 이초(李初)의 옥사에 연루되어 이색과 함께 청주 감옥에 갇히게 되었는데, 마침 홍수가 나서 사면되었으나 이듬해 다시 먼 곳으로 유배되었다. 그 뒤 다시 소환되었으나 1392년 정몽주(鄭夢周)가 살해된 뒤 이숭인(李崇仁) 등과 함께 탄핵되어 함창에 유배되었다. 조선이 건국하자 정도전(鄭道傳) 등이 손흥종(孫興宗)을 시켜 이종학을 살해하려고 하였는데, 이종학은 당시 판관으로 있던 김여지(金汝知)의 비호를 받아 잠시 위기를 넘겼으나 장사현(長沙縣)으로 이배되던 중 무촌역(茂村驛)에서 정도전 일파에게 살해되었다.

[학문과 저술]

이종학의 저술로는 1973년에 간행된 시문집인 『인재집(麟齋集)』이 있다.

[묘소]

이종학의 묘소는 북한 장단군 소남면 유덕리에 있다. 후손들이 지금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도내동 첨산과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 문헌서원(文獻書院) 경내에 제단(祭壇)을 설치하여 배향하고 있다.

[상훈과 추모]

이종학은 신원된 뒤 문헌서원의 효정사(孝靖祠)에 배향되었다. 1611년에 사액된 문헌서원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1969년 영모리에 이전·복설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