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670 |
---|---|
한자 | 李叔畝 |
영어공식명칭 | Yi Sukmyo |
이칭/별칭 | 양도(良度)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이근호 |
[정의]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인 문신.
[가계]
이숙묘(李叔畝)[?~1439]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도첨의찬성우문관대제학 이곡(李穀)이고, 할아버지는 판문하부사를 지낸 이색(李穡)이다. 아버지는 밀직사지신사 이종학(李種學)이고, 어머니는 이춘부(李春富)의 딸 양성 이씨(陽城 李氏)이다. 부인은 진안대군 이방우(李芳雨)의 딸 경혜옹주(敬惠翁主)이고, 아들은 이원증(李元增)·이형증(李亨增)이다. 형은 이숙야(李叔野)·이숙휴(李叔畦)·이숙당(李叔當)이고, 동생은 이숙복(李叔福)·이숙치(李叔畤)이다.
[활동 사항]
이숙묘는 1412년(태종 12) 숙위사대호군을 거쳐 1418년(세종 즉위년) 우군동지총제를 지냈다. 1419년 사은사의 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중군절제사와 황해도도관찰사를 거쳐 1420년 동지총제와 충청도·강원도·함길도의 도관찰사를 지냈다. 1423년 명나라 사신을 맞이하기 위한 관반사로 활동하였고 이어서 경상도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이숙묘는 1424년 형조참판에 제수된 뒤 의주선위사로 활동하였고, 1425년 이후 인순부윤과 평안도관찰사를 거쳐 1429년 진하사은사로 북경에 다녀왔다. 1430년 광주목사에 제수되었으며, 1431년(세종 13)에는 부인 경혜옹주가 한산군주(韓山郡主)로 책봉되었다. 1434년 형조좌참판을 거쳐 1435년 형조판서와 경창부윤 등을 지냈고, 1436년 판한성부사에 오르고 1437년에는 지돈녕부사를 역임하였다. 이숙묘는 1439년 사망하였다.
[묘소]
이숙묘의 묘소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184-19에 있다.
[상훈과 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