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660 |
---|---|
한자 | 申湛 |
영어공식명칭 | Shin Dam |
이칭/별칭 | 충경(沖卿),어성(漁城)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수환 |
출생 시기/일시 | 1519년![]() |
---|---|
활동 시기/일시 | 1540년 - 신담 생원시 합격 |
활동 시기/일시 | 1552년 - 신담 식년시 문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566년 - 신담 홍주목사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568년 - 신담 홍문관부수찬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577년 - 신담 충청도관찰사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578년 - 신담 충청도관찰사 파직 |
활동 시기/일시 | 1580년 - 신담 병조참의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582년 - 신담 경주부윤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591년 - 신담 예조참판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592년 - 신담 전주부윤 역임 |
몰년 시기/일시 | 1595년![]() |
출생지 | 활동리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활동리![]() |
묘소|단소 | 신담 묘소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추동리![]() |
성격 | 문신 |
성별 | 남성 |
본관 | 고령 |
대표 관직|경력 | 예조참판|전주부윤 |
[정의]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문신.
[가계]
신담(申湛)[1519~1595]의 본관은 고령(高靈)이며, 자는 충경(沖卿), 호는 어성(漁城)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희윤(申希潤)이고, 할아버지는 신계(申洎)이다. 아버지는 신영원(申永源)이고, 어머니는 이윤수(李允秀)의 딸 한산 이씨(韓山 李氏)이다. 형은 신엄(申淹)이고, 아들은 신자숙(申自淑)·신자점(申自漸)·신자심(申自深)이다.
[활동 사항]
신담은 1519년(중종 14)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활동리에서 태어났다. 1540년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552년(명종 7)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승문원정자와 성균관전적 등을 거쳐 1563년에는 사간원정언·사헌부지평을 역임한 뒤 1565년 사헌부장령이 되었다.
신담은 1566년 홍주목사로 부임하였고, 1568년(선조 1) 홍문관부수찬을 거쳐 1571년에는 군자감정으로 있으면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후 승정원의 동부승지와 좌승지 등을 역임하고 1577년 충청도관찰사로 부임하였으나 1578년 파직되었다.
1580년 병조참의가 되었으나 곧 사직하였고, 1582년 경주부윤으로 부임하여서는 경주부 내에서 처리하기 어려웠던 송사를 깨끗이 처리하였다. 1591년에는 홍문관부제학에서 예조참판으로 승진하였다. 전주부윤으로 재임 중이던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 2,000여 명을 모집하여 온양에서 왜군의 진격을 막아 내기도 하였다. 신담은 1595년 사망하였다.
[묘소]
신담의 묘소는 서천군 화양면 추동리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