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덕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617
한자 李種德
영어공식명칭 Yi Jongdeok
이칭/별칭 삼당(三堂),문양(文襄)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박수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351년연표보기 - 이종덕 출생
활동 시기/일시 1387년 - 이종덕 하정사로 명나라 파견
몰년 시기/일시 1388년연표보기 - 이종덕 사망
출생지 고촌리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고촌리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서천 - 충청남도 서천군
묘소|단소 이종덕 단비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
사당|배향지 문헌서원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한산
대표 관직|경력 동지밀직사사

[정의]

고려 후기 서천 출신의 문신.

[가계]

이종덕(李鍾德)[1351~1388]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호는 삼당(三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읍감무 이자성(李自成)이고, 할아버지는 도첨의찬성우문관대제학 이곡(李穀)이다. 아버지는 판문하부사 이색(李穡)이고, 어머니는 권중달(權仲達)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부인은 문하평리 유혜손(柳惠孫)의 딸 진주 유씨(晉州 柳氏)이고, 아들은 이맹유(李孟㽥)·이맹균(李孟畇)·이맹준(李孟畯)·이맹진(李孟畛)이다. 동생은 이종학(李種學)·이종선(李鍾善)이다.

[활동 사항]

이종덕은 1351년(충정왕 3)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고촌리에서 태어났다.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고려 우왕(禑王) 때 동지밀직사사를 지냈으며 1387년(우왕 13) 하정사(賀正使)로 명나라에 파견되기도 하였다. 1388년 5월 이성계(李成桂) 일파가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우왕을 폐위시켜 귀양 보내고 최영(崔瑩)을 살해하자 이종덕은 부당함을 꾸짖고 반대하다가 투옥되어 장형(杖刑)을 받고 사망하였다.

이종덕은 아버지 이색의 시에 “얼음 속 생선과 겨울 죽순은 하늘이 알아주었네.”라는 구절이 등장할 정도로 평소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글씨를 잘 써서 이름이 높았다고 한다.

[묘소]

이종덕의 묘소는 북한 지역인 장단군 소남면 흥화리에 있다. 후손들이 지금의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에 있는 문헌서원(文獻書院)[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경내에 제단(祭壇)을 설치하여 배향하고 있다.

[상훈과 추모]

이종덕은 사망한 뒤 문양(文襄)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았으며, 문헌서원의 효정사(孝靖祠)에 배향되었다. 1611년에 사액된 문헌서원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1969년 영모리에 이전·복설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