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학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682
한자 姜鶴年
영어공식명칭 Kang Haknyeon
이칭/별칭 자구(子久),복천(復泉),자운(紫雲)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85년연표보기 - 강학년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09년 - 강학년 생원시 합격
몰년 시기/일시 1647년연표보기 - 강학년 사망
출생지 활동리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활동리지도보기
거주|이주지 회덕 - 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동
외가|처가 강학년 외가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활동리지도보기
묘소|단소 강학년 묘소 -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매곡리
사당|배향지 문헌서원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지도보기
성격 학자
성별 남성
본관 진주

[정의]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학자.

[가계]

강학년(姜鶴年)[1585~1647]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자구(子久), 호는 복천(復泉)·자운(紫雲)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인(姜璘)이고, 할아버지는 강운상(姜雲祥)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강첨(姜籤)이고, 어머니는 신담(申湛)의 딸 고령 신씨(高靈 申氏)이다. 부인은 이덕기(李德沂)의 딸 한산 이씨(韓山 李氏)이고, 아들은 강호(姜鎬)이다.

[활동 사항]

강학년은 1585년(선조 18) 지금의 서천군 화양면 활동리에 있던 외가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내다가 열세 살 때 회덕[현 대전광역시 대덕구 읍내동]에 있던 본가로 돌아갔다. 1609년(광해군 1)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인조반정 직후인 1623년(인조 1) 학행으로 추천되어 연기현감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624년 1월에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 인조가 남쪽으로 피신하였을 때 행재소에 나아갔고, 2월에 진천현감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강학년은 1625년 세자익위사사어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1627년 정묘호란이 발발하여 조정 일부에서 화의(和議) 주장이 제기되자 부당함을 상소하였다. 1629년 이후 공조좌랑·형조좌랑·세자익위사익위·성균관사업·사헌부지평·예안현감·사헌부장령 등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634년 인성군(仁城君)을 사사한 것을 비판하는 상소를 제출하였는데, 상소의 “반드시 포악함으로 포악함을 갈아 치울 것[必有易暴]”이라는 대목이 논란이 되어 은진에 부처되기도 하였다. 강학년은 1647년 사망하였다.

[묘소]

강학년의 묘소는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매곡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강학년은 사망한 뒤 신원되고 사헌부대사헌에 추증되었다. 지금의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에 있는 문헌서원(文獻書院)과 회덕에 있던 용호서원(龍湖書院)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