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695 |
---|---|
한자 | 申芙蓉堂 |
영어공식명칭 | Shin Buyongdang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근호 |
출생 시기/일시 | 1732년![]() |
---|---|
몰년 시기/일시 | 1791년![]() |
출생지 | 한산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
거주|이주지 | 한산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
성격 | 문인 |
성별 | 여성 |
본관 | 고령 |
[정의]
조선 후기 서천 출신의 여류 문인.
[가계]
신부용당(申芙蓉堂)[1732~1791]의 본관은 고령(高靈)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흡(申潝)이고, 할아버지는 신태제(申泰濟)이다. 아버지는 신호(申澔)이고, 어머니는 이천령(李千齡)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남편은 윤두서(尹斗緖)의 손자인 윤운(尹惲)[1730~1773]이고, 아들은 윤규영(尹奎永)·윤지눌(尹持訥)[족보명은 윤규응(尹奎應)]이다.
[활동 사항]
신부용당은 1732년(영조 8) 한산(韓山)[현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서 태어났다. 당대의 문장가로 이름을 날린 신광수(申光洙)·신광연(申光淵)·신광하(申光河)의 동생으로, 어려서부터 조카들과 함께 자라며 자연스럽게 오빠들의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신부용당은 1773년 남편 윤운이 사망하였을 때 남편을 따라 순절하려고 하였으나, 조카 신석상(申奭相)이 간절하게 설득하여 마음을 돌리게 되었다고 한다. 신부용당은 1791년 충청북도 진천의 수령으로 부임하는 둘째 아들 윤지눌을 따라갔다가 진천에서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신부용당의 저술로는 시문집인 『부용시선(芙蓉詩選)』이 전한다. 『부용시선』은 기존의 여성 문집과는 달리 서, 제문, 잡저 등의 형태를 갖추어 편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