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664 |
---|---|
한자 | 申賢 |
영어공식명칭 | Shin Hyun |
이칭/별칭 | 신경(信敬),운월재(雲月齋),불훤재(不諼齋),문정(文貞)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박수환 |
출생 시기/일시 | 1298년![]() |
---|---|
활동 시기/일시 | 1315년 - 신현 성균시 장원급제 |
몰년 시기/일시 | 1377년![]() |
사당|배향지 | 율리사(栗里祠)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검로287번길 18[율리 193]![]() |
성격 | 문신 |
성별 | 남성 |
본관 | 평산 |
대표 관직|경력 | 좌복야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율리에 있는 율리사에 배향된 고려 후기의 문신.
[가계]
신현(申賢)[1298~1377]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신경(信敬), 호는 운월재(雲月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적(申示+啇)이고, 할아버지는 신연(申衍)이다. 아버지는 좌대언을 지낸 신중명(申仲明)이고, 형은 신집(申諿)·신군평(申君平)이다. 아들은 신용의(申用義)·신상(申商)이다.
[활동 사항]
신현은 1298년(충렬왕 24)에 태어나 우탁(禹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315년(충숙왕 2) 성균시에 장원급제하여 국자감진선을 지냈고, 이후 벼슬이 좌복야에 이르렀다. 신현은 여러 차례 원나라에 다녀왔는데, 명제(明帝)가 스승의 예로 대하고 신현이 사망한 뒤 ‘불훤재(不諼齋)’라는 시호를 하사하였다고 한다. 신현은 정몽주(鄭夢周)·길재(吉再)·원천석(元天錫) 등의 제자를 배출하는 등 학문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1377년(우왕 32)에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신현의 저술로는 『화해사전(華海師全)』이 남아 있다. 『화해사전』은 신현을 핵심으로 우탁·신용희·정몽주 등의 언행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상훈과 추모]
신현은 사망한 뒤 영해군(寧海君)에 책봉되고 문정(文貞)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았으며, 지금의 비인면 성검로287번길 18[율리 193]에 있는 율리사(栗里祠)[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에 배향되었다. 율리사는 1851년(철종 2)에 건립되었으며, 평산 신씨 시조인 신숭겸(申崇謙)을 주배향자로 하고 신현을 비롯한 평산 신씨 후손 신혼(申琿)·신기(申淇)·신연(申演)·신철(申澈)·신오(申澳)를 배향하고 있다. 이 외에도 경백사, 화해사, 낙동서원, 사야서원 등에도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