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685
한자 權韠
영어공식명칭 Gwon Pil
이칭/별칭 여장(汝章),석주(石洲)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화산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69년연표보기 - 권필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01년 - 권필 제술관 임명
몰년 시기/일시 1612년연표보기 - 권필 사망
추모 시기/일시 1623년 - 권필 사헌부지평 추증
거주|이주지 강화 - 인천광역시 강화군
거주|이주지 현석강 -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강동
묘소|단소 권필 묘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
사당|배향지 화산서원(華山書院)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화산리 152지도보기
사당|배향지 운암서원(雲巖書院) -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040[화암동 234]
성격 문인
성별 남성
본관 안동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화산리에 있는 화산서원에 배향된 조선 후기의 문인.

[가계]

권필(權韠)[1569~1612]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여장(汝章), 호는 석주(石洲)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억(權憶)이고, 할아버지는 좌승지 권기(權祺)이다. 아버지는 장례원판결사를 지낸 권벽(權擘)이고, 어머니는 정충인(鄭忠仁)의 딸 경주 정씨(慶州 鄭氏)이다. 부인은 송제민(宋齊民)의 딸 홍주 송씨(洪州 宋氏)이고, 아들은 권항(權伉)이다. 형은 권화(權鞾)·권인(權韌)·권온(權韞)·권겹(權韐)이다.

[활동 사항]

권필은 1569년(선조 2)에 태어나 정철(鄭澈)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한두 번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관직에 뜻을 두지 않았고, 여러 사람의 추천으로 동몽교관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강화도로 들어가 살면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1599년 강화부의 관원이 뇌물을 받고 아버지를 죽인 자의 죄를 제대로 다스리지 않자 권필은 상소를 올려 처벌받게 하고는 강화에서 현석강(玄石江)[현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강동 앞을 흐르는 한강] 옆으로 거처를 옮겼다. 1601년 제술관이 되어 접반사 이정귀(李廷龜)를 수행하였고, 1612년(광해군 4) 김직재(金直哉)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해남으로 귀양을 가다가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권필의 저술로는 시문집인 『석주집(石洲集)』 11권 4책이 전한다. 권필은 선조 대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꼽히는데, 부인이 금주를 권하자 지은 「관금독작(觀禁獨酌)」과 광해군 대에 외척 유희분 등이 권력을 농단하는 일을 비방한 「궁류시(宮柳詩)」 등의 작품이 있다.

[묘소]

권필의 묘소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에 있다.

[상훈과 추모]

권필은 인조반정 직후인 1623년 사헌부지평에 추증되었고, 지금의 서천군 기산면 화산리 152에 있는 화산서원(華山書院)과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040[화암동 234]에 있는 운암서원(雲巖書院)에 배향되었다. 화산서원에는 권필을 비롯하여 권양·권벽·권변(權忭)·권성(權𢜫)·조수윤(趙守倫)·홍미(洪冞)를 배향하고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