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광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694
한자 申光洙
영어공식명칭 Shin Kwangsu
이칭/별칭 성연(聖淵),석북(石北),오악산인(五嶽山人)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712년 2월 3일연표보기 - 신광수 출생
활동 시기/일시 1750년 - 신광수 진사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761년 - 신광수 영릉참봉 제수
활동 시기/일시 1763년 - 신광수 사옹원봉사 제수
활동 시기/일시 1771년 - 신광수 연천현감 부임
활동 시기/일시 1772년 - 신광수 기로정시 장원급제
몰년 시기/일시 1775년 4월 26일연표보기 - 신광수 사망
출생지 한성부 가회방 재동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재동
거주|이주지 한산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지도보기
묘소|단소 신광수 묘소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대등리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고령
대표 관직|경력 승정원승지|영월부사

[정의]

조선 후기 서천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가계]

신광수(申光洙)[1712~1775]의 본관은 고령(高靈)이며, 자는 성연(聖淵), 호는 석북(石北)·오악산인(五嶽山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흡(申潝)이고, 할아버지는 신태제(申泰濟)이다. 아버지는 신호(申澔)이고, 어머니는 이휘(李徽)의 딸 성산 이씨(星山 李氏)이다. 부인은 윤두서(尹斗緖)의 딸 해남 윤씨(海南 尹氏)이고, 아들은 신우상(申禹相)·신기상(申夔相)·신위상(申渭相)·신석상(申奭相)·신보상(申甫相)이다.

[활동 사항]

신광수는 1712년(숙종 38) 한성부 가희방 재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재동]에서 태어나 한산(韓山)[현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거주하였다. 1750년(영조 26)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761년 영릉참봉에 제수되었다. 1763년 사옹원봉사를 지냈으며, 1764년 이후 의금부도사·예빈시직장·돈녕부주부·서부도사 등을 거쳐 1771년 연천현감으로 부임하였다.

신광수는 1772년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기로정시(耆老庭試) 문과에 장원급제한 뒤 승정원승지를 거쳐 영월부사로 부임하였다. 어려서부터 채제공(蔡濟恭)·이헌경(李獻慶)·이동운(李東運)·정범조(丁範祖)·목만중(睦萬中) 등과 교유하였으며, 1775년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신광수의 저술로는 문집인 『석북집(石北集)』 16권 8책이 전한다. 『석북집』에는 농촌의 피폐상이나 관리의 부정 등 현실을 담은 작품과 함께 신화나 역사를 소재로 한 한시 등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신광수의 대표적인 기행 작품들인 「서관록(西關錄)」·「여강록(驪江錄)」·「탐라록(耽羅錄)」·「북산록(北山錄)」·「임장록(臨漳錄)」·「월중록(月中錄)」·「관서악부(關西樂府)」가 수록되어 있고, 「서마기사사(西馬騎士事)」·「마생전(馬生傳)」·「호승전(虎僧傳)」·「검승전(劍僧傳)」 등과 같은 전기적 성격의 글도 수록되어 있다.

[묘소]

신광수의 묘소는 서천군 화양면 대등리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