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011 |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승환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볼만한 9경에 대한 이야기.
[개설]
서천군의 9경은 1경 마량리 동백나무숲과 해돋이, 2경 신성리 갈대밭, 3경 한산모시마을, 4경 문헌서원, 5경 춘장대해수욕장, 6경 국립생태원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7경 금강 하구 철새 도래지, 8경 장항송림산림욕장과 장항스카이워크, 9경 유부도와 서천갯벌이다. 서천군의 9경은 서천군의 풍부한 생태 환경의 보고를 반영한 것이다.
[경과]
서천군청은 지난 2001년 발표된 기존의 서천8경, 즉 1경 마량리 동백나무숲과 해돋이, 2경 금강 하구둑 철새 도래지, 3경 한산모시마을, 4경 신성리 갈대밭, 5경 춘장대해수욕장, 6경 문헌서원, 7경 희리산휴양림, 8경 천방산 풍경이 선정된 지 오래되어 재선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2018년 2월, 군민과 관광객의 인식 및 기호 변화를 반영한 서천 대표 볼거리·먹거리·살거리를 새롭게 발굴하기 위하여 서천군민을 대상으로 서천의 9경·9미·9품을 공모하였다. 이후 2차 전문가 의견 조사, 3차 군민과 관광객 설문 조사를 통하여 부문별 후보 대상 30개씩을 정하였다.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 위원회 심의를 거쳐 경관성, 상징성, 문화적 우수성, 보전 가치를 고려한 9개 대표 볼거리를 결정하여, 2018년 7월 발표하였다.
[1경 마량리 동백나무숲과 해돋이]
마량리 동백나무숲은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서인로235번길 103[마량리 313-4] 일원에 조성되어 있다. 3월 하순 꽃을 피우는 500년 수령의 동백나무 80그루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1965년 4월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이라는 명칭으로 천연기념물 지정이 되어 관리되고 있으므로 관람하는 동안 동백꽃 잎과 씨앗의 채취가 불가능하다. 입구에서부터 10여 분 오르면 도달하는 숲의 언덕마루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중층(中層) 누각인 동백정이 있다. 동백정에서 바라보이는 오력도와 오력도 위로 내려앉는 일몰을 보기 위하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동백나무숲 남쪽은 바다로 둘러싸인 지형적인 특징 때문에 일출과 일몰을 모두 감상할 수 있다. 매년 12월 31일과 1월 1일 ‘서천 마량진항 해넘이 해돋이 축제’를 여는 마량포구가 있고, 북쪽에는 ‘서천 홍원항 자연산 전어 꽃게 축제’로 유명한 홍원항이 있다.
[2경 신성리 갈대밭]
신성리 갈대밭은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신성로 500[신성리 125-1] 일원 금강 변에 펼쳐져 있다. 우리나라 4대 갈대밭 중 하나이고,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한국 갈대 7선에도 선정되었다. 드라마 「킹덤」, 「추노」, 「자이언트」,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의 촬영 장소로 유명하다. 주차장에서 내려 신성리 갈대지구 농경 체험관 건물을 지나 오르막을 오르면 ‘신성리 갈대밭’이라는 나무 팻말이 보인다. 넓은 갈대밭을 둘러볼 수 있도록 관람대와 덱이 설치되어 있는데, 덱 중간중간에 갈대밭으로 내려가는 길이 여러 방향으로 나 있어 한 바퀴 걷는 동안 계단을 오르내리며 다양하게 관람할 수 있다. 매년 5월부터 초록의 갈대가 나기 시작하여, 9월이 되면 갈색빛 갈대 군락을 감상할 수 있다.
[3경 한산모시마을]
한산모시마을은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충절로 1089[지현리 60-1]에 있다. 2011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고, 우리나라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관리되고 있는 한산모시짜기 기능을 보호하고 전승하기 위한 마을이다. 관람객들의 한산모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모시짜기 관련 자료를 집대성하고 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서천한산모시전통농업은 국가주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방문자 센터에서 한산모시옷 입어 보기 체험과, 1년 후에 배달하는 느린 우체통을 운영하고 있다. 방문자 센터와 전통 공방, 한산모시전시관, 서천저산팔읍길쌈놀이 전수관, 한산모시 홍보관과 도로를 사이에 두고 건너편에는 전통 문화 교육관, 한산모시 공예 마을 초가집, 관광객 공예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상점들이 모여 있는 ‘한산모시 공예 마을 공예 공방’이 있다.
[4경 문헌서원]
문헌서원[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은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에 있다. 고려 후기 대학자 가정 이곡과 목은 이색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서원이다. 1611년(광해군 3) 나라에서 ‘문헌’이라는 헌판을 받아 사액이 된 곳이다.
문헌서원은 1871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891년 옛터에 단을 설치하고 제향하였고, 1969년 문중과 지방 유림의 공론으로 지금의 위치에 복설하였다. 이후 정부와 서천군의 문헌서원 전통역사마을 조성 사업 계획에 따라 2013년 전통 한옥으로 재건되었다. 8~9월 사이에 만개하는 배롱나무 경관으로도 유명하다.
향사는 가정 이곡과 목은 이색을 주향으로 현암 이종덕, 인재 이종학, 양경공 이종선, 문혜공 이맹균, 백옥헌 이개, 음애 이자의 학덕을 기리고 추모하는 문헌서원의 가장 큰 행사이다. 매년 봄과 가을 2번 치러지며, 춘기향례(春期享禮)는 음력 3월 중정일(中丁日)에, 추기향례(秋期享禮)는 음력 9월 중정일에 진행된다.
[5경 춘장대해수욕장]
춘장대해수욕장은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춘장대길 20[도둔리 1319] 일원에 있다. 완만한 경사와 얕은 수심, 발이 빠지지 않는 고운 찰모래로 널리 알려졌으며, 한국관광공사가 지정한 자연 학습장 8선 가운데 하나이다. 가족 단위의 휴양지로 주변에 캠핑장과 펜션이 밀집하여 있다. 매년 여름 ‘춘장대해수욕장 여름문화예술제’를 개최한다. 2024년 10월 춘장대 해양체험파크 준공을 앞두고 있다.
[6경 국립생태원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생태원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금강로 1210[송내리 223-3]에 있다. 국립생태원은 관람 구역인 금구리 구역, 에코리움 구역, 하다람 구역, 고대륙 구역, 니저어 구역과 연구교육 구역의 6개 구역으로 나뉜다. 국립생태원을 대표하는 에코리움은 열대관, 사막관, 지중해관, 온대관, 극지관의 세계 5대 기후대별 온실로 조성되어 있다. 실내외에 어류, 파충류, 양서류, 조류 등 세계 각국에서 수입되어 원산지가 증명된 3,700여 종의 동식물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자연스러운 생태 체험이 가능하다. 하다람 구역에는 가족들이 쉬어 가는 야외 놀이 구역인 하다람 놀이터를 가운데에 두고 한반도의 숲길이 조성되어 있다. 백두산, 설악산, 지리산, 한라산 등 고산에 자생하는 희귀 식물을 식재하여 우리나라의 기후대별 삼림 식생을 재현하였다. 하다람 구역과 고대륙 구역 사이에 있는 방문자 센터 미디리움에는 생태 미디어 체험관, 전망대, 서천군 관광 홍보관이 있다. 정문 매표소와 방문자 센터, 서문 매표소 사이를 전기차가 운행한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금강로 1210[송내리 84-1]에 있다. 1층은 어린이 체험 전시실과 해양 영상관, 생명의 탑, 바다뱀 연구소, 2층은 바다극장과 교육실, 3층과 4층은 제1전시실과 제2전시실, 인터랙티브 미디어 월로 구성되어 있다. 7,000여 점의 해양 생물 표본이 전시되어 있으며, 누리집에서 VR로도 관람이 가능하다. 1층의 어린이 체험 전시실인 ‘바다마을 고래고래’는 실내 체험, 놀이 공간으로 회당 50분, 120명의 입장 제한이 있다. 다양한 연령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상시 운영되고 있다.
[7경 금강 하구 철새 도래지]
금강 하구 철새 도래지는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장산로 916[도삼리 59] 일원에 있다. 매년 겨울이면 가창오리, 청둥오리, 고방오리, 큰기러기, 쇠기러기, 큰고니, 개리를 비롯한 오리류와 기러기류 등 40여 종, 50여만 마리 철새가 월동을 위하여 찾아오는 철새 도래지이다. 신성리 갈대밭까지 연결되는 갈대숲과 금강 하구의 풍부한 어족 자원이 물새들에게 먹이를 제공한다. 겨울철에는 가창오리 수만 마리가 강변에서 군무를 이루는 모습을 보기 위하여 철새 탐조객들이 찾아온다. 탐조대에 서천군 조류생태전시관이 건축되어 있는데, 금강호와 금강 하구가 내려다보이는 4층 옥상 정원은 어린이들이 놀이와 교육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철새를 관찰할 수 있는 전망대로도 활용된다.
[8경 장항송림산림욕장과 장항스카이워크]
장항송림산림욕장은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장항산단로34번길 74-45[송림리 산58-48] 일원,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서천갯벌에 있다. 1954년 식재한 사계절 울창한 곰솔 1만 2000여 그루가 27만 5703㎡ 면적에 1.5㎞의 해안을 따라 방풍림을 이루고 있다. 2019년 산림청 국가산림문화자산으로, 2021년 자연휴양림으로 지정되었다. 산책길에는 해국, 송엽국 등 다양한 꽃이 서식하는데, 그중 8~9월에 만개하는 보라색 맥문동 꽃으로 부각되어 2023년부터는 ‘장항 맥문동꽃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송림리 갯벌 체험장과 연계하여 방문이 가능하다. 유스호스텔, 청소년수련관, 솔바람캠핑장, 송림숙박단지가 인접하여 있다.
장항스카이워크는 기벌포해전전망대라고도 하며, 장항송림산림욕장 위를 지나는 높이 15m, 길이 250m의 철제 하늘길이다. 200m가량은 육지에서 소나무를 발아래 두고 걷다가 50m를 남기고는 바다로 나아가는 길이다. 장항스카이워크를 걷다 보면 검은머리물떼새, 유부도, 송림갯벌,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등 인근 지역에 대한 설명이 부착되어 있고, 200m 지점에 기벌포전투와 관련된 역사가 한글, 영어, 중국어, 일본어의 4개 국어로 설명되어 있다. 서천군은 2027년까지 장항스카이워크를 연장하는 맥문동 하늘길 100m를 추가 조성할 계획이다.
[9경 유부도와 서천갯벌]
유부도는 충청남도 최남단에 있는 작은 섬이다. 서천의 10여 개 작은 섬들 중 유일한 유인도이며, 철새의 주요 이동 경로상에 있어 100여 종의 희귀 철새들이 쉬었다 가는 도래지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고, 국제적으로는 세계 자연 보전 연맹[IUCN] 적색 목록 관심 대상[LC] 범주로 분류되는 검은머리물떼새 2,500여 마리가 겨울철이면 유부도에서 월동한다. 겨울철에 많게는 4,000여 마리의 검은머리물떼새가 발견되기도 하였는데, 이 때문에 내륙에서 유부도로 연결되는 정기선이 없지만 겨울철 탐조객의 방문이 이어진다.
서천갯벌은 장항읍, 마서면, 종천면, 비인면, 서면의 5개 읍면 68.09㎢의 면적에 걸쳐 있다. 생태 보전의 가치를 인정받아 2021년 유네스코 세계 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유네스코 세계 자연유산에 등재된 갯벌은 모래 갯벌, 펄 갯벌, 혼합 갯벌, 자갈 갯벌 등 지형에 따라 다양한데, 금강 하구의 강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기수 지역에 있어 펄과 모래 갯벌이 조화롭게 조성될 수 있었고, 생물 다양성도 우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