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예부터 민간에 전승되어 오는 신앙. 민간 신앙은 예부터 민간에서 생성되어 대대로 유지·전승되어 온 신앙을 말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유래하다 보니 기성 종교처럼 체계적이지 못한 면이 있지만, 신앙이 미치는 영향 범주 내에서는 사람들의 삶에 녹아 일상처럼 지속되는 특징을 띤다. 오늘날 민간 신앙은 가신 신앙, 마을 신앙, 무속 신앙 등으로 나뉜다. 다만 무속...
가정 신앙
-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아기의 출산과 성장에 관련하여 가정에서 모셨던 신령. 충청남도 서천 지역 가정에서 모시는 삼신은 아기의 점지, 산모의 출산, 아기의 성장 등에 관여하는 산육신(産育神)이다. 주로 여성 신격으로 여겨 삼신할매, 삼신할머니라고도 한다....
-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각 가정의 집터와 건물을 보호하고 집안의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가신. 가신(家神)은 집 안 곳곳에 머물며 해당 가정의 여러 일에 관여한다고 인식되는 신들을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가신으로는 성주를 비롯하여 터주, 조왕, 삼신, 제석, 칠성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성주는 주택 본체의 상량에 머무는 건물의 신이며, 집안을 평안하게 하고 풍요에 관여하는...
-
충청남도 서천 지역의 가정에서 부엌과 불을 관장하는 가신. 나무로 불을 지펴 난방과 취사를 해결하던 시절에는 불의 중요성이 더없이 컸다. “불씨를 꺼트리면 집안이 망한다.”라고 하는 말이 나올 만큼 부엌의 불은 언제나 지속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불의 중요함에서 유래한 관념이 바로 조왕이라는 신격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집터를 관장하고 수호한다고 믿는 신령. 터주는 집터를 지키는 지신(地神)을 뜻한다. 터줏대감이라고도 한다. 충청남도 서천군에서는 터주를 당산이라고 부른다. 원래 서천 지역에서는 장독대를 당산이라고 하는데, 마을의 수호신이 머무는 공간을 당산이라고 하듯 가정의 수호신인 터주가 머무는 공간인 장독대도 당산으로 불리는 것이다. 요컨대, 의례 공간의 명칭이 신명의 이름...
-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아이를 낳고자 행하는 주술적인 풍속. 기자(祈子)란 자식 낳기를 바라며 행하는 풍속이나 의례를 말한다. 특히 아들을 통하여 대를 이으려고 하는 혈통 계승 관념이 강하였던 전통시대에는 아들을 낳고자 여러 가지 기자 행위를 시도하였는데, 그 가운데 자주 동원되는 방법이 주술을 통한 기자 행위, 곧 주술기자이다....
-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아이를 낳고자 신명에게 치성을 올리는 의례 행위. 기자(祈子)란 자식 낳기를 바라는 풍속 또는 의례이며, 특히 아들을 원하며 행하는 의례를 말한다. 기자는 의례 주체의 행위에 따라 치성기자, 주술기자 등으로 나뉜다. 이 중에서 치성기자는 절대적인 존재, 이를테면 자연신이나 산신, 용신, 칠성 등 특정 신명을 대상으로 자식을 점지하여 달라고 정성이나 기원을 드...
마을 신앙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위하여 지내는 마을 공동체의 신앙 의례. 마을 신앙은 충청남도 서천군의 각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 풍작이나 풍어 등 마을 공동체 공동의 목표를 위하여 행하는 의례 행위를 말한다. 서천군은 농촌과 어촌이 공존하는 지역인데, 마을 신앙은 각 마을의 특색에 맞게 산신제, 장승제, 답제, 용왕제, 노신제 등의 마을 공동체 의례로 발전하여 왔다. 이...
-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사당에 신주를 모시고 올리는 제사 의례.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집 안에 사당을 갖추고 있는 집은 대부분 종가이며, 이러한 종가들은 으레 집안의 조상 신주를 모신 사당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사당에 조상의 신주를 모시고 올리는 제사 의례를 사당제라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정월 초에 마을의 액운 퇴치와 수량 풍부를 기원하며 공동 샘에 지내는 고사. 샘제는 마을 주민들이 함께 사용하는 공동 우물에 물이 잘 나오게 하여 달라고 물의 신인 용왕에게 치성을 드리는 민속 의례이다.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는 샘제를 요왕제라 부르며 마을에 따라서는 유왕제, 샘고사, 우물고사 등으로 부르기도 하며, 주로 정월 초에 행한다....
당제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남전리에서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남전리 백사 당제는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남전리 백사마을 주민들이 해마다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는 공동체 의례이다. 제사는 당산 소나무에 지내는 당산제[서낭제], 마을 공동 우물인 백사정에 지내는 샘제, 마을 어귀에 있는 장승을 위하는 장승제로 구성되어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도둔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도둔리 남촌 당제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도둔리 남촌마을 주민들이 해마다 정월 초사흗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체 의례이다. 남촌마을에서는 당제를 지내고 나서 이어서 거리제와 용왕제를 지내는데, 이러한 구성은 산신·당산 등을 위하는 상당제와 샘·장승·돌탑·신목 등을 위하는 하...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도둔리에서 정월 대보름에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도둔리 요치 당제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도둔리 요치마을 주민들이 해마다 정월 대보름에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체 의례이다. 요치마을의 당제는 흔히 풍어제라고 부르며, 풍어제, 용왕제, 거리제의 순서로 진행되는데, 이렇게 하당제만 지내는 구성은 산신·당산 등을 위하는 상...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에서 정월 초사흗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위하여 지내는 마을 제사. 마량리 내도둔 당제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 내도둔마을 주민들이 해마다 정월 초사흗날에 마을의 평안과 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체 의례이다. 보통 마을 제사는 산신을 모시는 상당제와 마을 어귀의 신령을 모시는 하당제로 나뉘는데, 마량리 내도둔 당제는 산신제, 서낭제 순으로...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월호리에서 정월 초이렛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월호리 월하성 당제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월호리 월하성마을 마을 주민들이 해마다 정월 초이렛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체 의례이다. 윗당산[할아버지당산]과 아랫당산[할머니당산]의 당집을 중심으로 당제를 지낸다. 당산제 전체 과정을 보면 할아버지당산제-할머니당...
당산제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망월리에서 정월 초하룻날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망월리 신아 당산제는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망월리 신아마을 주민들이 해마다 정월 초하룻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체 의례이다. 신아마을의 당산제는 당산제, 유왕제, 거리제, 샘제의 순서로 진행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산신·당산 등을 위하는 상당제와 샘·장승·돌탑·신...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선도리에서 정월 대보름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냈던 마을 제사. 선도리 당산제는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선도리 주민들이 해마다 정월 대보름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체 의례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신송리에서 정월 초사흗날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신송리 하송 당산제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신송리 하송마을 주민들이 해마다 정월 초사흗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체 의례이다. 제사 대상은 마을 뒷산 언덕에 홀로 서 있는 서낭나무인 곰솔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심동리에서 음력 5월 8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심동리 하심 당산제는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심동리 하심마을 주민들이 해마다 음력 5월 8일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체 의례이다. 제사 대상은 마을 중앙에 서 있는 정자나무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옥포리에서 정월 초이렛날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옥포리 드르메 당산제는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옥포리 드르메마을 주민들이 해마다 정월 초이렛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공동체 의례이다. 제사는 ‘드르메’라고 불리는 산꼭대기에 있는 정자인 수고정(戍鼓亭)에서 당산제를 지내고 나서 하산하여 용왕제와 거리제를 순서대로 거행하는...
산신제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산정리에서 정월 초이튿날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산정리 밧산너머 산신제는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산정리 밧산너머마을 주민들이 해마다 정월 초이튿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체 의례이다. 밧산너머마을에서는 당산제와 이어 서낭제를 지낸다. 이러한 구성은 충청도 지역의 마을 신앙에서 자주 나타나는데, 상당제와 하당제를...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종천리에서 정월 초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종천리 백운 산신제는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종천리 백운마을 주민들이 해마다 정월 중 초이튿날에서 초사흗날 사이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공동체 의례이다. 산신제는 문수산 중턱의 산제당을 중심으로 지내며, 안산제와 바깥산제로 나뉘어 행하여진다. 마을 사람들은 산신제를 지내는 것을 “산제...
기우제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도둔리에서 비가 오기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도둔리 요치 기우제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도둔리 요치마을 주민들이 가뭄 때에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체 의례이다. 강우량이 생존과 직결되던 농경 중심의 전통 시대에는 왕이 제주를 맡아 제사를 지낼 만큼 기우제가 무척 중요한 의례였다. 민간에서도 강우량이 부족할 때는 마을 주민들이 힘을 합쳐...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월호리에서 비가 오기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월호리 월하성 기우제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월호리 월하성마을 주민들이 가뭄 때에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체 의례이다. 농경 중심 사회였던 전통 시대에는 강우량은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였기에 왕이 제주를 맡아 제사를 지낼 만큼 기우제는 무척 중요한 의례였다. 월하성마을에서는 마을 주민들이 힘을...
목신제·용왕제·풍어제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랑평리에서 정월 초하룻날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랑평리 솥등배 목신제는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랑평리 솥등배마을 주민들이 해마다 정월 초하룻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체 의례이다. 제사의 대상인 은행나무는 마을 중앙에 서 있다....
-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칠석날에 가정에서 칠성신과 용왕에게 지내는 의례.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는 예부터 칠석이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띠는 명절이었다. 농경사회에서는 한 해의 농사일을 시작하고 마무리 짓는 것이 중요한데, 특히 서천 지역에서는 마지막 논매기인 세벌매기를 마무리하면서 하루를 노는 풍속인 칠석두레먹이[호미씻이]를 칠석에 베풀었다. 이는 서천 지역이 한반도 중부권, 이른...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도둔리에서 정월 초이렛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도둔리 홍원 풍어제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도둔리 홍원마을 주민들이 해마다 정월 초이렛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체 의례이다. 홍원마을의 항구는 1종 어항으로서 큰 배들의 입항과 출항이 잦고 어업이 활황을 맞으면서 안전과 풍어를 기원하며 풍어제를 지내게 되었는...
고사
-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가을걷이를 끝내고 떡을 쪄서 가정의 수호신들에게 올리며 지내는 고사.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전하여 오는 갈떡고사는 가을걷이로 그해 벼농사를 갈무리하는 음력 10월 무렵에 갈떡[가을떡]을 쪄서 가신(家神)에게 바침으로써 수확에 대한 감사를 표하고 가업의 번창을 기원하는 세시 의례이다. 가을고사, 가을시루, 안택고사(安宅告祀)라고도 한다....
-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고기잡이가 잘되기를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 덤장은 바다에 길그물[철책처럼 일직선으로 길게 늘어놓은 그물]을 조성하고 그 사이사이에 통그물 또는 임통[통발]을 설치하여 물고기를 유인·포획하는 고기잡이 그물이다. 곧 덤장은 밀물과 썰물 때의 수위 차를 이용한 고기잡이 그물이다. 충청남도 서천군에서는 서면 마량리·도둔리의 앞바다 개펄에서 볼 수 있다. 주민들에 따...
-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어민들이 풍어와 해상 안전을 기원하며 배에서 지내는 제사. 뱃고사는 일반적으로 정월에 어민들이 고기잡이의 안전과 풍어를 물의 신인 수신(水神)이나 배의 신인 선신(船神)에게 빌며 지내는 제사이다. 지역에 따라 용왕제, 서낭제, 서낭고사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는 주로 해마다 섣달그믐이나 정초에 뱃고사를 지낸다. 뱃고사는 그해 고기잡이의...
-
충청남도 서천 지역의 민간에서 가족의 건강과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고자 지내는 고사. 안택고사는 집안을 돌보아 주는 여러 신령에게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고자 행하는 의례이며, 주로 음력으로 정월이나 시월에 이루어진다. 충청남도 서천 지역의 안택고사는 보통 해당 가정의 주부가 중심이 되어 제물을 준비하고 가정의 평안과 가족의 건강, 한 해의 재물복, 풍년, 만사형통 등을 두루 포괄하여...
-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자동차 사고를 예방하고자 지내는 고사.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전하여 오는 차고사는 자신이 소유하거나 운전하는 차량을 대상으로 지내는 고사이다. 자동차고사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차고사는 차량을 새로 구매하였을 때 지낸다. 정기적으로 1년 단위로 지내는 사례도 전한다. 이처럼 차고사를 지내는 이유는 무사고와 운전자의 안전을 기원하고자 함이다. 고사의 대상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