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성기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1036
한자 致誠祈子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 신앙|의례

[정의]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아이를 낳고자 신명에게 치성을 올리는 의례 행위.

[개설]

기자(祈子)란 자식 낳기를 바라는 풍속 또는 의례이며, 특히 아들을 원하며 행하는 의례를 말한다. 기자는 의례 주체의 행위에 따라 치성기자, 주술기자 등으로 나뉜다. 이 중에서 치성기자는 절대적인 존재, 이를테면 자연신이나 산신, 용신, 칠성 등 특정 신명을 대상으로 자식을 점지하여 달라고 정성이나 기원을 드리는 의례이다.

충청남도 서천군에서는 전 지역에서 치성기자와 관련된 사례가 발견된다. 보통은 대가 끊길 위기에 있거나 나이가 먹어서도 자녀를 두지 못한 가정에서 치성기자를 행하였다. 가장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치성기자는 절에 가서 불공을 드리고 아들 낳기를 기도하는 유형이다. 또, 가정 내에서 삼신이나 칠성을 대상으로 치성을 올리는 사례도 적지 않은데, 삼신을 잘못 모셔서 자녀가 없는 것으로 여긴다면 삼신단지를 들이기도 한다. 삼신단지를 들인다는 것은 삼신에게 올리는 공물로 작은 단지에 조, 수수, 쌀 등 곡식을 담아 특정 장소에 가져다 놓는 것을 말한다. 이 밖에도 샘에서 용왕에게 치성을 드리거나 바위나 거목 앞에서 비손하는 사례도 전한다.

[연원 및 변천]

치성기자 의 원형은 고대의 단군신화에서 웅녀가 “신단수 아래에서 자식 잉태하기를 빌었다.”라는 대목에 잘 표현되어 있다. 이후로도 금와왕이나 김수로왕의 탄생 설화 등 다수의 출생담에서 치성기자의 전통이 나타난다. 고려를 거쳐 조선에 이르면 치성기자의 전통은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특히 조선 시대에는 조상 봉사와 혈통 계승을 중시하였기에 아들을 두고자 하는 관념이 강하였다. 현대에 들어서는 산업화의 속도가 가속화되고 혈통 계승에 대한 관념이 약화되면서 기자 행위 자체가 크게 위축되었다. 정확하게 시기를 지정하기 어려우나 대개 1970년대 이후부터 치성기자를 비롯한 기자 의례가 점차 약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절차]

치성기자 는 절대자를 대상으로 정성을 드리는 방식이기에 그러한 사례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반 종교의 신뿐 아니라 토착 신앙의 신, 가신(家神), 수목이나 암석 같은 자연신 등을 절대자로 상정하고 치성을 드린다. 치성을 드리는 방식은 대부분 제물을 차려 놓고 당자사가 직접 비손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제물은 떡이나 쌀, 맑은 물, 북어, 과일 같은 것이다. 이러한 제물을 준비하여 빌고자 하는 신명 전에 놓고 앞에서 주부가 비손을 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몸이 차거나 아기집[자궁]이 약한 경우에는 아이가 잘 생기지 않는데, 서천 지역에서는 이런 경우 몸을 따뜻하게 하려고 육모초[익모초]를 꾸준히 달여 먹으며 수태를 기원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