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고시상(高時相)[1881~1963]은 1881년 7월 8일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 태성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 강점기 서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갑수(金甲洙)[1894~1938]는 1894년 9월 3일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종지리에서 태어났다. 1915년 같은 서천 출신인 이상재(李商在)와 함께 중국 상하이[上海]로 건너가 남양대학(南陽大學)에 재학하면서 여운형·서병호·조동호 등과 교유하였다. 한때 여운형(呂運亨)이 이끄는 전 중국 대학 축구 대표 선수로 선발되어 필리핀에 원...
-
개항기 충청남도 서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1885년 무렵 충청남도 비인군(庇仁郡)[현 서천군] 동면(東面) 판교리(板橋里)에서 태어났다. 가계와 신상, 성장과정은 알려져 있지 않다....
-
일제 강점기 서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8년 충남 서천군 동면 판교리(板橋里)에서 태어났다. 가계와 성장 과정은 알려져 있지 않다....
-
일제 강점기 서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영헌(金永憲)[1921~2000]은 1921년 11월 24일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어리에서 태어나 문산면 문장리에 거주하였다. 서천에서 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1937년 4월 상경하여 배재중학교에 입학하였다. 1942년 2월 학우 신낙현(申洛鉉)·정준영(鄭俊永) 등과 함께 항일 투쟁을 계획하였으며, 1942년 3월 배재중학교 졸업...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인두(金印斗)[1897~1946]는 1897년 11월 25일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안당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인애(金仁愛)[1898~1970]는 1898년 3월 6일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와초리에서 태어났다. 다른 이름은 최기물(崔氣物)이다....
-
일제 강점기 서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인전(金仁全)[1876~1923]의 본관은 김해(金海)이며, 호는 경재(鏡齋, 經齋)이다. 김인옥(金仁玉)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아버지는 수원군수를 지낸 개화 지식인으로 이상재(李商在)와 함께 황성기독청년회를 조직하고 계몽운동을 펼쳤던 김규배(金奎培)이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종련(金鍾鍊)[1901~1980]은 1901년 5월 14일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망월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 강점기 서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탁환(金鐸煥)[1884~?]은 1884년 8월 2일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군사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10월 2일 경성[현 서울특별시]에 있던 김강(金剛)의 집에서 이경헌(李景憲)·한호범(韓鎬範) 등을 만나 독립운동 자금 모금을 협의하였다. 김탁환은 한호범을 ‘김영희’라는 이름의 순사로 위장하게 하여 이경헌과 함께 수창동에 살고...
-
일제 강점기 서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나광열(羅光烈)[1921-2007]은 1921년 11월 21일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옥산리에서 태어나 1937년 4월 예산공립농업학교에 입학하였다. 1941년 예산공립농업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이던 나광열은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에 반감을 품고 있던 중, 육군 특별 지원병 신체 검사장에서 한국인을 일본군으로 징모하는 지원병 제도를 비판...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나상준(羅相俊)[1905~1950]은 1905년 8월 28일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서 태어났다....
-
개항기 서천 출신의 독립 운동가. 문석환(文奭煥)[1869~1925]의 본관은 남평(南平)이며, 자는 영백(英伯), 호는 운초(雲樵)이다. 아버지는 문철상(文相哲)이고, 어머니는 경주 김씨(慶州 金氏)이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문재봉(文在鳳)[1887~?]은 1887년 5월 10일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삼산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문태근(文泰根)[1882~?]은 1882년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망월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재엽(朴在燁)[1894~1942]은 1894년 6월 14일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송산리에서 태어났다....
-
개항기 서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백치서(白致西)[1868~1908]는 1868년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두산면에서 태어났다. 1907년 6월 헤이그 밀사 파견을 빌미로 7월에 고종 황제가 강제 퇴위당하고 8월에는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되자 의병 전쟁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백치서도 충청남도 일대에서 활동하던 김경명(金景明) 의진에 가담하였다....
-
일제 강점기 서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서상복(徐祥福)[1906~?]은 1906년 2월 8일 서천에서 태어났다. 서천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일본으로 유학하여 도쿄의 순천중학(順天中學)을 거쳐 1934년 4월 청산학원대학(靑山學院大學) 신학부를 졸업하였다. 1934년 8월에는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프린스턴대학에 입학하였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송기면(宋箕勉)[1896~1950]은 1896년 1월 6일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와초리에서 태어났다. 다른 이름은 송기선(宋奇善), 송기선(宋箕善)이다. 형은 송여직(宋汝直)이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송기주(宋基周)[1890~1950]는 1890년 8월 27일 충청남도 서천군 서남면 옥남리[현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옥남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송여직(宋汝直)[1889~1947]은 1889년 10월 28일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신장리에서 태어났다. 동생은 송기면(宋箕勉)이다....
-
일제 강점기 서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신현창(申鉉昌)[1923~1976]은 1923년 1월 25일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수성리에서 태어났다. 1944년 학병(學兵)으로 일본군에 강제 징집된 뒤 중국 장쑤성[江蘇省] 쉬저우[徐州] 지역에 배치되었다가 일본군 부대를 탈출하여 한국광복군에 입대하였다. 당시 쉬저우에서는 많은 학병들이 일본군을 탈출하여 있었다. 일본군에서 탈출한...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신형식(申亨植)[1903~?]은 1903년 11월 10일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추동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유성열(劉性烈)[1860~1934]은 1860년 10월 19일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종지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유한종(劉漢鍾)[1891~?]은 1891년 5월 5일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황사리에서 태어났다. 다른 이름은 유한종(柳漢鍾), 유동종(劉東鍾)이다....
-
일제 강점기 서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유희준(柳熙俊)[1880~1944]은 1880년 1월 3일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단상리에서 태어났다. 1929년 11월에 같은 고향 사람인 한우석(韓禹錫)·한태석(韓泰錫) 형제와 함께 대전군 기성면(杞城面)[현 대전광역시 서구 기성동]에 살던 부호 정순학[鄭淳學]의 집에 잠입하여 군자금 모집 활동을 하다가 일제 경찰에 체포되었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근호(李根浩)[1890~1968]는 1890년 12월 18일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구동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남률(李南律)[1903~1950]은 1903년 7월 23일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가공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 강점기 서천 지역에 은거하였던 독립운동가. 이사성(李思聖)[1883~1949]은 1883년 5월 4일 지금의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태어났다. 1906년 5월 의병장 민종식(閔宗植)이 이끄는 홍주의진에 가담하기 위하여 홍주성에 들어가 선봉장 박영두(朴永斗)로부터 소집장(召集將)의 첩지를 받았다. 이에 의병을 모집하기 위하여 임천(林川)[현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 도착하였으나...
-
일제 강점기 서천 출신의 독립 운동가. 이상재(李商在)[1850~1927]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계호(季皓), 호는 월남(月南)이다. 아버지는 이희택(李羲宅)이고, 어머니는 밀양 박씨(密陽 朴氏)이다. 부인은 강릉 유씨(江陵 劉氏)이고, 아들은 이승륜(李承倫)·이승인(李承仁)·이승간(李承侃)·이승준(李承俊)이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승달(李承達)[1898~1956]은 1898년 2월 2일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송곡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 강점기 서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오길(李吾吉)[1894~1943]은 1923년 4월 8일 서천 다고리[현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옥포리]에서 태어났다. 이주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1920년대에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안둥현[安東縣] 육도구(六道溝)[현 룽징시]에서 활동하였다....
-
일제 강점기 서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임종연(林鍾淵)[1882~1945]은 1882년 8월 29일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금당리에서 태어났다. 1920년 서울 내자동에서 지내면서 한일은행에 근무하고 있었는데, 이 무렵 조선민단(朝鮮民團)이라는 정치 단체의 발기인이며 간사인 김영만(金榮萬)이 독립 의식을 고취할 목적으로 대중 강연회를 계획하자 박무병(朴武炳)·이중각(李重珏)...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임학규(林學圭)[1897~1974]는 1897년 6월 23일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와초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일창(鄭日彰)[1899~1945]은 1899년 8월 18일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신장리에서 태어났다....
-
개항기 서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해두(鄭海斗)[1863~1932]는 1863년(철종 14) 지금의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에서 태어났다. 1905년 일제가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기 위하여 을사늑약을 체결하자 정해두는 1906년 홍주의병에 가담하였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남명(趙南明)[1870~1947]은 1870년 9월 24일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금당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 강점기 서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신환(曺信煥)[1909~1969]은 1909년 9월 29일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에서 태어났다. 1929년 3월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 3학년 재학 중 질병으로 퇴학하였고, 6월에는 광주지방법원 화순출장소에서 임시 직원으로 근무하였다....
-
개항기 서천 출신의 동학농민군. 조영구(趙英九)[1867~1950]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아버지는 조동석이다....
-
일제 강점기 서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烽南里) 출신이다. 가계와 성장 과정은 알려져 있지 않다....
-
일제 강점기 서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용산리 출신이다. 가계와 성장 과정은 알려져 있지 않다....
-
일제 강점기 서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함수만(咸壽萬)[1901~1930]은 1901년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관포리에서 태어났다. 전주 신흥학교(新興學校)에 재학 중이던 1930년 1월 광주학생운동에 영향을 받아 만세 시위를 전개하였다. 1929년 11월 3일 발발한 광주학생운동이 전국적으로 확대되자 신흥학교 학생들은 개교기념일인 12월 15일을 기하여 만세 시위를 벌이기로...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완(許完)[1880?~?]은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창외리에서 태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