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낙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754
한자 崔洛權
영어공식명칭 Choe Nakgwo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박민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23년 2월 10일연표보기 - 최낙권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36년 - 최낙권 공주고등보통학교 재학
활동 시기/일시 1936년 - 최낙권 항일 비밀 결사 공주명랑클럽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42년 9월 30일 - 최낙권 대전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3년형 언도
활동 시기/일시 1944년 12월 31일 - 최낙권 출옥
몰년 시기/일시 1947년 4월 3일연표보기 - 최낙권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77년연표보기 - 최낙권 대통령표창 추서
추모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최낙권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출생지 봉남리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지도보기
학교|수학지 공주보통고등학교 - 충청남도 공주시
활동지 공주 - 충청남도 공주시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23-1]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정의]

일제 강점기 서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가계]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烽南里) 출신이다. 가계와 성장 과정은 알려져 있지 않다.

[활동 사항]

최낙권(崔洛權)[1923~1947]은 1923년 2월 10일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에서 태어났다. 공주고등보통학교에 재학 중이던 1936년 3월 같은 학교 학생 구자훈(具滋勳)·김해인(金海仁)·천영관(千永寬) 등 10여 명의 동지들과 함께 항일 비밀 결사 공주명랑(公州明朗)클럽을 조직하였다.

공주명랑클럽은 일제에 항거하기 위하여 일본어 사용 금지, 신사 참배 거부, 일본인 교사 배척 등의 항일 투쟁을 전개하는 한편, 무궁화 식수 장려 운동 같은 민족의식 고취 활동과 미신 타파 같은 계몽 활동을 펼쳤다. 1942년 6월 무렵 공주명랑클럽 회원이던 천영관이 일제의 패망을 언급하다가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조직이 드러나고 관련 인물들이 붙잡혔다.

최낙권도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재판에 회부되었고, 1942년 9월 30일 대전지방법원에서 이른바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르다가 1944년 12월 31일 출옥하였다. 최낙권은 광복 이후인 1947년 4월 3일 사망하였다.

[묘소]

최낙권의 묘소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23-1] 국립대전현충원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최낙권의 공적을 기려 1977년 대통령표창을,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