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738 |
---|---|
한자 | 申鉉昌 |
영어공식명칭 | Shin Hyeonchang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수성리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박민영 |
출생 시기/일시 | 1923년 1월 25일![]() |
---|---|
활동 시기/일시 | 1944년 - 신현창 일본군 부대 탈영, 한국광복군 입대 |
활동 시기/일시 | 1945년 6월 - 신현창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부관처 부위 근무 |
활동 시기/일시 | 1963년![]() |
몰년 시기/일시 | 1976년 7월 16일![]() |
추모 시기/일시 | 1991년![]() |
출생지 | 수성리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수성리![]() |
활동지 | 중국 - 중화인민공화국 |
묘소 | 국립서울현충원 -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동작동 산41-2]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성 |
대표 경력 | 한국광복군 부위 |
[정의]
일제 강점기 서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신현창(申鉉昌)[1923~1976]은 1923년 1월 25일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수성리에서 태어났다. 1944년 학병(學兵)으로 일본군에 강제 징집된 뒤 중국 장쑤성[江蘇省] 쉬저우[徐州] 지역에 배치되었다가 일본군 부대를 탈출하여 한국광복군에 입대하였다. 당시 쉬저우에서는 많은 학병들이 일본군을 탈출하여 있었다. 일본군에서 탈출한 학병들은 모두 안후이성[安徽省] 푸양[阜陽]에 있는 제3지대로 인계되어 한국광복군훈련반에 들어가 군사 훈련을 받고 1944년 11월 졸업하였다.
신현창은 한국광복군훈련반을 졸업한 뒤 김준엽(金俊燁)·장준하(張俊河) 등 졸업생 33명과 함께 충칭[重慶]에 있던 대한민국임시정부로 향하였고, 1945년 1월 말 충칭에 도착하여 임시정부 요인들의 환영을 받았다. 신현창은 1945년 6월 광복군 총사령부 부관처에 소속되어 부위로 활동하였으며, 광복 후 귀국하여 1976년 7월 16일 사망하였다.
[묘소]
신현창의 묘소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동작동 산41-2] 국립서울현충원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신현창의 공적을 기려 1963년 대통령표창을, 1991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