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은 이색 영당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879
한자 牧隱 李穡 影堂
이칭/별칭 영모암,영정각,목은영당,영모영당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경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404년 - 이색 초상 제작
관련 사항 시기/일시 1433년 - 이색신도비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594년연표보기 - 문헌서원 건립
현 소재지 목은 이색 영당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지도보기
성격 영당
양식 맞배지붕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3칸
소유자 문헌서원
관리자 문헌서원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에 있는 목은 이색의 초상을 봉안한 사당.

[개설]

목은 이색 영당(牧隱 李穡 影堂)은 고려 후기 성리학자였던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의 초상을 봉안한 사당이다. 목은 이색 영당한산 이씨 8인을 배향한 문헌서원 안에 있다. 이색은 고려 후기를 대표하는 성리학자로 포은 정몽주, 야은 길재와 함께 ‘고려 삼은(三隱)’으로 불렸다. 이색 초상은 1404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문헌서원지』에는 1526년 이색의 5대손 이유청(李惟淸)이 고촌의 서원을 건립하여 이색 초상을 봉안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이색 초상이 이색의 묘소에 있던 암자 영모암에 보관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1594년 현재의 문헌서원이 건립된 이후, 1654년 모사된 이색 초상이 목은 이색 영당에 봉안되었다. 목은 이색 영당은 영정각, 목은영당, 영모영당이라고도 부른다.

[위치]

목은 이색 영당은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에 있다. 문헌서원의 가장 안쪽에 있는 효정사의 왼쪽에 있다. 솟을대문의 외삼문을 지나면 3개의 계단 위 높은 대지 위에 있다. 목은 이색 영당 입구에는 이색신도비가 있고, 인근에는 이색의 묘가 있다.

[변천]

목은 이색 영당은 1594년 문헌서원이 건립된 이후 건립된 것으로 생각된다. 목은 이색 영당에 봉안된 이색 초상은 1654년(효종 5) 모사된 것이다. 흥선대원군에 의하여 문헌서원이 훼철되었을 때 목은 이색 영당에 이색 초상이 봉안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

목은 이색 영당은 영당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양식 건물이다. 건물 중앙에는 ‘목은선생영당(牧隱李穡影堂)’이라고 적힌 현판이 걸려 있다.

[현황]

보물로 지정된 이색 초상 - 목은영당본은 현재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소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목은 이색 영당은 고려 후기 이색의 업적을 보여 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전쟁 등을 겪으면서 여러 차례 손실될 위기가 있었지만, 당대인들의 노력으로 이색의 본향이었던 한산 지역에 이색의 영정을 봉안할 수 있었다. 목은 이색 영당한산 이씨 가계의 결속력을 보여 주는 한편, 조선 시대 성리학에 대한 당대인들의 인식을 보여 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